950 988

Cited 0 times in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생존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자-
dc.date.accessioned2015-12-24T10:43:57Z-
dc.date.available2015-12-24T10:43:5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778-
dc.description간호학교육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동종조혈모세포 이식생존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후 삶의 질 정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을 대상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수는 112명으로 국내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고 6개월이 경과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접면담과 우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순교(2001)가 개발한 동종골수이식 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51문항중 1문항을 제외하고 본 연구자가 성기능장애 측정을 위한 7문항을 추가하여 총 5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성검정,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조사시점에서의 연령분포는 18세부터 51세까지였으며, 이식당시 연령은 15세부터 48세였고 평균연령은 32.26세였다. 2. 대상자들의 이식 후 경과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75개월로 평균 45.04개월이었고, 대상자의 94.6%(108명)가 이식 후 1년 이상 생존자들이었다. 3. 대상자의 삶의 질 측정 점수는 평균 186.49점이었으며(도구의 중간값 167.5), 각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는 신체적 영역에서 52.19(도구의 중간값 45점), 심리적 영역에서 47.78점(도구의 중간값 45), 사회 경제적 영역에서 48.28점(도구의 중간값 42점), 영적 영역 에서 21.78점(도구의 중간값 18점), 성기능영역에서 18.04점(도구의 중간값 16점)이었다. 4. 본 연구에서 이식 후 직업을 가지고 있고(p=.004), 가정의 월수입이 많을수록 (p=.000) 삶의 질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5. 이식 후 경과기간이 길수록(p=.007), 전신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대상자(p=.037)에서, 이식 후 입원경험이 없는 경우(p=.000), 그리고 성생활 시작시점이 빠를수록(p=.004)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식편대숙주반응과 이식당시의 연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식 후 입원경험, 성생활 시작시점, 그리고 경제상태였으며 이들 요인들은 삶의 질을 36.4% 설명해주고 있었다. 7. 성생활이 가능한 생존자에게 있어서 성별에 따른 성기능 장애정도는 여자생존자가 남자생존자에 비하여 현저하게 (p=.000)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평균이상의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직업의 유무, 경제적 상태, 전신방사선조사치료, 이식 후 입원경험 그리고 성생활시작시점 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기능 장애정도는 남자보다 여자생존자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전과 후의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여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전과 후의 성기능상태에 대한 정확한 연구를 바탕으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영문]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a basis for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vide adequate information and to promot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ho have had an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used and 112 survivors of transplants for hematologic disorders participated as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ality of life scale for patients with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s developed by Lee, Sun Gyo. The scale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 and a scale was added for the domain, sexual dysfunction. Descriptive statistics,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ith the SPSS win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cores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ranged from 57 to 258 with a mean of 186.49. The mean scores (range 1-5) for each domain on the scale were, physical domain, 3.47; psychological domain, 3.18; socioeconomic domain, 3.52; spiritual domain, 3.63; sexual domain (range 1-4), 2.57. 2. In the post transplant period, employment status, monthly income, admission history after transplant, TBI(Total Body Irradiation), and the timing of the resumption of sexual life after the transplant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urvivors for sexual dysfunction (p=.000). Female survivors had more sexual dysfunctions than male survivo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urther study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design to measure quality of life pre and post transplant and also to study sexual satisfaction after a transpla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동종조혈모세포이식 생존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ung J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