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6 1079

Cited 0 times in

수중분만 산모군과 통상분만 산모군의 분만 경험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between mothers who had waterbirth and mothers who had the usual type of childbirth. 
Authors
 윤경숙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수중분만 산모군과 통상분만 산모군의 분만경험을 비교한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수중분만 산모군과 통상분만 산모군과의 분만유형별 분만지각, 분만통증,분만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것으로 최근에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수중분만에 대한 분만경험이 산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최근 출산 경험자 중 통상분만과 수중분만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중분만한 산모와 통상적인 방법으로 분만한 산모 각 5인에게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자료수집 현재, 1년 이내에 통상분만한 50명, 수중 분만한 50명의 산모로서 연구대상 병의원에서 분만한 산모를 임의 표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01년 4월 1일부터 2001년 5월 10일까지였으며 총 100부의 설문지 중 결측치를 제외한 97부의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분만유형별 분만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Marut와 Mercer(1979)가 개발한 분만경험 지각 척도(Perception of birth Scale, 1979)를 조미영(1988)이 번안한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방법은 연구가설에 따른 x²검정, t-test 그리고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수중분만 산모군이 통상분만 산모군보다 분만지각이 더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p=.000) 즉, 수중분만 산모군이 통상분만 산모군에 비해 분만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에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이전 분만경험이 분만방법과 교호작용으로 인해 분만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검정한 결과 두 변수 사이에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수중분만 산모군이 통상분만 산모군에 비해 분만통증이 적을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되지 않았다. 이는 두 집단간의 분만통증에 대한 차이검정에서는 수중분만군이 통상분만군에 비해 분만통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전 분만경험과 분만방법 간의 교호작용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유의수준 5%에서 분만통증에 이전 분만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분만통증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초산모끼리 비교해 보면 통상분만군이 분만통증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산모끼리 비교해 보면 수중분만군이 분만통증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간의 분만통증에 대한 경향을보기가 어려웠다.

3."수중분만 산모군이 통상분만 산모군보다 분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p=.000) 즉, 수중분만 산모군이 통상분만 산모군에 비해 분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이전 분만경험과 분만에 대한 만족도와의 교호작용을 검정해 본 결과 이전 분만경험과 분만에 대한 만족도 간에 교호작용이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원 배치분석을 한 결과 수중분만군이 통상분만군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4.남아 선호사상이 강한 우리나라의 정서상, 두 집단간 일반적 특성 중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출산아 성별이 분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 두 분만 방법과 출산아 성별 간의 교호작용을 검정한 결과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출산아 성별은 분만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수중분만군이 통상분만군에 비해 분만에 대한 지각이 높으며 분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중분만으로 태어난 아기들과 통상분만으로 태어난 아기들 간의 성장발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수중분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회를 확대하여 산모에게 긍정적인 분만지각을 가질 수 있게 하고 분만에 대한 만족을 높임으로써 어머니로서의 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할 것이다.

[영문]

Waterbirth has become popular recently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others, but little study has been done evaluating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mothers between those having a waterbirth and those having the usual childbirth experience. The study aim was to identify differences with regard to perception of delivery, pain during the delivery, and satisfaction with the delivery between the two groups of mothers.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as as follows :

A convenience sample of 50 women who had a waterbirth and 50 who had the usual type of childbirth within the past year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was the "Perception of Birth Scale" developed by Marut & Mercer in 1979 and translated and adapted by Cho, Mi-Young. The researcher pretested it with five women from each group for clarity and ease of respons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etween April 1, 2000 and May 10, 2000 and analysis was done on a total of 97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cross-table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o test the hypothe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Hypothesis 1 "that mothers who experience a waterbirth will show more affirmative responses than mothers who experience the usual type of childbirth" was accepted (p=.000).

Hypothesis 2 "that pain for mothers who experience a waterbirth will be less than for those having the usual type of childbirth" was not accepted (p=.000).

Hypothesis 3 "that mothers who experience a waterbirth will show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having the usual type of childbirth mother" was accepted (p=.000).

In Korea where boys are preferred,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elivery according to the baby's gend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delivery method according to the baby's gender.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who experienced a waterbirth showed more affirmative and more satisfactory responses than those who experienced the usual type of childbirth as far as perception of delivery and delivery method. But, there

is still a need to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lessen the uneasiness and the pain of childbirth by expanding the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waterbirth and to choose the type of delivery. This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affirmative cognition of childbirth and the woman's identity as a mother.
Files in This Item:
T00681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7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