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644

Cited 0 times in

혈장 섬유소원 농도와 섬유소원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NA polymorphisms at βfibrinogen loci and plasma fibrinogen concentration 
Authors
 이미화 
Issue Date
1997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의 혈장 섬유소원 농도와 섬유소원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성별, 연령, 흡연여부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1996년 11월부터 1997년 2월 사이에 연세의대 부속 영동세브란스병원 건강검진 센터에 내원하여 검진을 받은 109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흡연여부 등을 조사하였고, 채혈한 혈액으로 혈장 섬유소원 농도를 측정한 후 백혈구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β섬유소원의 섬유소원 유전자 다형성 분석을 위하여HaeⅢ, MntⅠ, AluⅠ, BclⅠ 제한효소를 사용하였다. 유전자형의 분류는 HaeⅢ,MnlⅠ, AluⅠ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절단된 경우를 1형, 절단되지 않은 경우를2형으로 하였고, BclⅠ 제한효소에서는 절단되지 않은 경우를 1형, 절단된 경우를 2형이라 정하였다. 그 결과, 제한효소 절단길이 다형성 조사에서는 네경우 모두 동종접합체인 1,1 유전자형( H^^1 H^^1, M^^1 M^^1, A^^1 A^^1, B^^1 B^^1형 )과 이형접합체인 1,2 유전자형( H^^1 H^^2, M^^1 M^^2, A^^1 A^^2, B^^1 B^^2형 )만이 관찰되었다. 또한 혈장섬유소원 측정 결과와 섬유소원 유전자 다형성을 성별, 연령, 흡연여부 등과 연관하여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1) 성별에 따른 섬유소원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 연령별로는 50세 이상의 연령군이 49세 이하의 연령군보다 섬유소원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3) 전체 연구대상을 흡연여부에 따라 나누어 보았을 때 섬유소원 평균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남자군에서는 연령과 관계없이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섬유소원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유전자형과 관련하여서는 HaeⅢ, MnlⅠ, AluⅠ 다형성의 H^^1 H^^1, M^^1 M^^1. A^^1 A^^1 유전자형보다 H^^1 H^^2, M^^1 M^^2, A^^1 A^^2 유전자형이 섬유소원 농도 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BclⅠ 다형성의 B^^1 B^^1, B^^l B^^2 유전자형은 모두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유전자형 내에서 성별에 따른 섬유소원 평균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연령별 분류에서는 5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H^^1 H^^2, M^^1 M^^2, A^^1 A^^2 유전자형의 섬유소원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흡연과 관련하여서도 5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H^^1 H^^2, M^^1 M^^2. A^^1 A^^2 유전자형의 섬유소원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일부 한국인의 섬유소원 유전자형은 혈장 섬유소원농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50세 이상 연령군의 경우 유전자형과 흡연여부에 따라 섬유소원 농도가 유의한 상승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 발생위험을 상대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보다 많은 예를 대상으로 유전자형과 섬유소원 농도의관련성에 관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임상적 이용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Many prospective studies have now confirmed the predictive value of plasma fibrinogen levels for vascular diseases, including ischemic heart disease. Several polymorphisms of the βfibrinogen gene including HaeⅢ polymorphism in the promotor region of the gene and BclⅠ polymorphism in its downstream reg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relation to plasma fibrinogen levels.

But, studies of the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these polymorphisms and plasma fibrinogen concentrations in the Korean population have not been carried out.

For this study, the blood samples for DNA were collected from 109 healthy Koreans who have no relationship by blood(67 males and 42 females) in due consideration of some other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smoking status. Four polymorphisms of the βfibrinogen gene that consist of HaeⅢ, AluⅠ, MnlⅠ, and BclⅠ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RFLPs)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RFLPs and plasma fibrinogen levels. The investigation into the RFLPs were mad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zyme digestion. The alleles with the restriction site and the non-cleavable alleles were designated H^^1 and H^^2 for the HaeⅢ polymorphism, M^^l and M^^2 for MnlⅠ Polymorphism, A^^l and A^^2 for the AluⅠ polymorphism, and B^^2 and B^^l for the BclⅠ polymorphism,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otype H1H1 and H1H2 in HaeⅢ RFLPs were detected from 69(61.5%) and 40(38.5%) persons among the above 109 control subjects respectively. Genotype M^^1 M^^1 and M^^1 M^^2 in MnlⅠ RFLPs from 70(64.2%) and 39(35.8%) persons respectively. Genotype A^^1 A^^1 and A^^1 A^^2 in AluⅠ RFLPs from 69(61.5%) and 40(36.7%) persons respectively.

Among 95 control subjects, genotype B^^1 B^^1 and B^^1 B^^2 in BclⅠ RFLPs were shown in 70(73.7%) and 25(26.3%) persons respectively. The HaeⅢ, AluⅠ, MnlⅠ RFLPs were in tight linkage disequilibrium, while BclⅠ RFLPs not being in it. 2. Th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HaeⅢ, AluⅠ, MnlⅠ RFLPs(H^^1 H^^2, M^^1 M^^2, A^^1 A^^2) and plasma fibrinogen were ascertained in both aged people(≥ 50 years) and smokers, whereas the associations between BclⅠ RFLPs and plasma fibrinogen were absent showing no connection with age or smoking status.

3. Plasma fibrinoge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 ages(≥ 50 years) than in the younger ages(≤ 49 years) in male, and also higher in smokers than in nonsmokers.

In conclusion, genetic polymorphisms(H^^1 H^^1, M^^1 M^^2, A^^1 A^^2) of the βfibrinogen gene are associated and increased with plasma fibrinogen levels, especially in aged people and in smok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riation at the fibrinogen gene locus may contribute to the differences in plasma fibrinogen

level. Considering that plasma fibrinogen is a risk factor for ischemic heart disease, stroke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t seems to be certain that these genotype polymorphisms have the predictive values for these vascular diseases in Koreans. Further studies to confirm this possibility are highly expected,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6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