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1180

Cited 0 times in

한국인 복강신경총의 형태학적 변이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철령-
dc.date.accessioned2015-12-24T10:38:39Z-
dc.date.available2015-12-24T10:38:39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69-
dc.description의학사/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상복부의 장기에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상복부와 요배부의 통증이 격심하여졌을 때, 신경차단에 의한 통증치료법으로서 �ㅀ�키宴�차단이 권장되고 있다. 복강신경층차단은 성공율이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그 원인 중에는 복강신경층의 해부학적인 다양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복강신경층과 그 주위구조에 대하여 미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여 해부학적으로 관찰한 보고는 있으나 아직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저자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복강신경층의 위치 및 형태와 복강 신경층과 그 주위 구조와의 관계를 해부하고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 시체는 남자 21예와 여자 5예였고, 평균연령은 69.9 15.5세였고, 평균신장은 155.5 8.3cm(143∼172) 였다. 2. 복강신경절의 모양은 대개 난원형이었고 갯수는 1∼4개였으며 우측과 좌측의 평균은 각각 2.3 1.9개와 1.9 0.8개였다. 평균크기는 우측이 18.9×8.0mm**2, 좌측이 18.6×9.5mm**2이었다. 3. 복강신경절은 양측이 다 제1요추의 상 1/3과 중 1/3에 존재하는 예가 제일 많았고(우측 65.5%, 좌측 64.0%), 복강신경절의 수직범위는 척추체를 3등분한 것을 한 간격으로 보았을 때 우측이 평균 1.5 0.6 간격, 좌측이 평균 1.6 0.7 간격으로 비슷하였으며, 우측에서는 제1요추의 상 1/3에 있는 신경절들이 평균 1.8 0.5 간격, 좌측은 제1요추 하1/3이 2.3 0.6 간격으로 가장 큰 수직범위를 가지고 있었다. 4. 우측의 복강신경절은 좌측보다 평균 5.0mm만큼 더 정중선에 접근하여 존재하였으며, 수평길이는 우측이 좌측보다 더 길었다. (우측 24.2 9.2mm, 좌측 18.8 7.0mm). 5. 좌우측 복강신경절 사이에 척추골 높이가 같은 예가 60%로 많았으며,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우측이 좌측보다 높은 예와 좌측보다 우측이 높은 예가 각각 20%로서 서로 같았다. 6. 복강동맥기시부는 제1요추의 상 1/3과 중 1/3에 존재하는 경우가 61.6%로 가장 많았으며, 복강신경절이 복강동맥기시부와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이 우측이 61.6%, 좌측이 52.0%였다. 7. 내장신경이 횡격막의 복측면을 관통하는 높이는 좌우측 공히 제1요추의 상 1/3과 중 1/3에 가장 많았다(우측 66.6%, 좌측 66.7%). 8. 횡격막의 양측 다리가 척추체의 전면에서 기시하는 높이는 제1·2요추추간에서부터 제4요추의 상 1/3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으며, 우측은 제2요추의 하 1/3에서 제3요추의 상 1/3사이에서 기시하는 예가 57.6%, 좌측은 제2·3요추추간에서 제3요추의 중 1/3사이에서 기시하는 예가 69.3%로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한국인 복강신경절의 형태학적 변이는 일본인과는 비슷하나 미국인과는 약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차단침의 끝의 위치가 제1요추의 1/3의 전연을 넘지 않고서도 횡격막각후방 내장신경차단(배측법)이 가능하다는 한 근거를 제공했다고 사료된다. [영문] Celiac plexus block is recommended in the patients with intractable upper abdominal cancer pain. The success rate of celiac plexus block is variable among the authors. One of the causes of this is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celiac plexus. There has not been a study concerning anatomical observations of the celiac plexus in Korean cadavers. So, anatomical dissections were performed and observations were made of the celiac plexus and related structures in Korean cadaver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were 21 male bodies and 5 female bodies. The mean age at death was 69.9±15.5 years(range 37∼93). The mean height was 155.5±8.2cm (range 143∼172). 2. The number of celiac ganglia ranged from 1∼4. The mean numbers were 2.3±1.9 in the right plexus and 1.9±0.8 in the left and the mean sizes were 18.9±7.7×8.0±3.8mm**2 and 18.5±8.3×9.5±3.9mm**2 respectively. 3. Celiac ganglia were most frequently located at the upper third and middle third of L1 in both sides(65.5% in right, 64.0% in left). The vertical range of celiac ganglia ranged from 1 space, which is 1/3 the height of one vertebral body, to 4 spaces. Mean vertical ranges were 1.5±0.6 spaces in the right plexus and 1.6±0.7 spaces in the left. The celiac ganglia located at the level of the upper third of L1 in the right and the lower third of L1 in the left side had the largest vertical ranges respectively(1.8±0.5 spaces in right, 2.3±0.6 spaces in left). 4. Right side celiac ganglia were located near the midline of the vertebrae compared to the left ones(mean 5.0mm). The horizontal dimension was greater in right ganglia(24.2±9.2mm) than in left ganglia(18.8±7.0mm). 5. There was no vertebral level difference between both celiac ganglia in most cases(60%). However, of the 40% of cases at different levels, in half of these(20%) the right ganglia were located higher than the left ganglia; and in the other 20%, this was reversed. 6. The origin sites of the celiac artery were most frequently in the upper third and middle third of the L1(61.6%). The celiac ganglia were usually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the site of origin of the celiac artery(61.6% in right, 52.9% in left). 7. The vertebral level of the splanchnic nerves piercing the abdominal surface of the diaphragm were most frequently in the upper third and middle third of L1(66.6% in right, 66.7% in left). 8. The level of origin of diaphragmatic crura from the anterior surface of the vertebral bodies varied from the L1-L2 interspace to the L3-L4 interspace. Right crura most frequently originated at the level of the lower third of L2 to the upper third of L3(57.6%), while left crura originated from the level of the L2-L3 interspace to the middle third of L3(69.3%). From the above results, we realized that there were som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celiac plexus and its relations to adjacent structures in Korean bodies. However, when the needle point is behind the anterior margin of the upper third of L1,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uccessful retrocrural splanchnic nerve block.-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 복강신경총의 형태학적 변이-
dc.title.alternative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celiac plexus in Korean cadav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ur, Chul Ry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