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37

Cited 0 times in

간호전문성(看護傳門性) 준거(準據)와 교육과정(敎育課程) 요인(要因)의 체제적(體制的) 상관연구(相關硏究)

Other Titles
 A systematic correlational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and curricular factors 
Authors
 고자경 
Issue Date
1988
Description
교육학과/박사
Abstract
[한글]

1.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현대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高等敎育은 大衆化 성향을 띠게 되었고, 아울러 專門職敎育과 밀접한 關係를 갖게 되었다. 이는 모든 職種은 專門職을 통하여 專門性 伸張을 추구하려고 한다는 점과도 無關하지않다. 看護專門職도 그 자체의 專門性 伸張을 위한 敎育的 努力이 高等敎育 水準에서 다양하게 경주되어 왔다. 그러나 敎育課程 理論化의 맥락에서 볼 때, 지금까지의 大學에서 看護敎育課程 및 看護敎育 그 自體에 관한 硏究는 專門性 伸張과 敎育課程과의 關係에 대한 本質的인 理解가 미흡하였던 가운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곧, 效率的인 看護敎育課程 改善 및 敎育課程 理論發達을 위해서는 看護專門性 伸張과 敎育課程과의 關係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本 硏究의 具體的인 目的은 첫째, 一般的인 專門性 伸張과 敎育課程과의 關係를 규명하고; 둘째, 看護專門性 準據에 대한 糾明과 관련 敎育課程 要因을 추출하고; 세째, 看護의 專門性과 敎育課程과의 關係를 實證的으로 分析·提示하고자 하였다.

2. 硏究의 問題

本 硏究에서는 첫째, 文獻硏究를 통하여, 1) 專門性에 대한 槪念規定과 專門性 伸張의 方法 및 戰略, 2) 專門性 伸張의 戰略과 敎育課程과의 關係, 3) 看護專門職의 特性과 專門性 準據, 4) 體制的 接近에 의한 敎育課程 要因의 7分類 및 下位要因, 5) 敎育課程 理

論化에 입각한 看護敎育課程 硏究動向에 대한 問題들을 理論的 背景으로서 탐색 ·규명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理論的 背景을 토대로 1) 看護專門性을 構成하는 準據는 무엇인가? 2) 이에 대한 敎育課程 要因의 影響程度는 어떠한가? 3) 看護專門性 伸張과 敎育課程 要因과의 相關關係는 어떠한가? 의 세가지 問題의 해답을 구하는데 調査硏究의 초점을 맞추었다.

3. 硏究의 方法 및 節次

本 硏究에서는 理論的 背景에 기초하여 두 가지 調査道具를 硏究者가 開發한 바, 하나는 看護專門性 伸張 影響要因에 관한 조사도구이며, 다른 하나는 看護專門性 準據의 重要度 조사도구이다. 이들 조사도구는 두 차례의 豫備調査를 통하여 內容妥當度 및 信賴度를 검정하여 개발되었다. 調査對象者는 看護 實務指導者, 看護大學 卒業生과 在學生 및 敎授의 네 집단으로 분류하고, 全國的인 標集을 통하여 實務指導者와 大學生은 전국의 종합병원 수간호원급 이상 看護員 中에서 300명과 '87년 卒業 新入看護員 256 명을 대상으로 하고 大學生과 敎授는 전국의 三年制 및 四年制 看護大學의 졸업반 學生 中 316 명과 敎授 139 명을 표집하여 대상으로 하였다. 調査는 1987年 6月 5日부터 6月 25日까지 本 硏究者가 조사대상자의 소속기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또는 우편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調査

結果의 통계적 처리는 平均값, 標集差異 및 相關係數와 같은 기본적인 記述的 統計値를 먼저 산출한 다음, t-檢定法, 分散分析, 비모수 후드리만 檢定, 階段別 重回歸分析에 의하여 集團間의 差異, 變因間의 相關關係 및 線型關係를 檢定하였다.

4. 硏究의 制限點

1) 本 硏究에서 사용된 調査道具의 妥當度는 敎育課程 要素別 分類에대한 理論的 妥當性을 制定集團의 制定에 맡기는 방식으로 內容妥當度를 검정하였으나, 統計的 方法에 의해서는 확인하지 않았다. 특히, 外的準據와의 經驗的 妥當度를 검정하지 않았다.

2) 本 硏究의 調査對象者 중 實務指導者와 卒業生은 주로 綜合病院을 대상으로 표집하고, 그 외 소규모 병 ·의원, 보건소, 의무실 등에 근무하는 간호원은 調査對象에서 제외하였다.

3) 本 硏究에서 想定한 槪念模型은 看護專門性과 敎育課程 要因의 相互作用 關係 中에서 敎育課程 要因이 看護專門性 伸張에 미치는 影響에 국한하였다.

5. 硏究의 結果

本 硏究의 主要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看護專門性에 대하여서는 집단간 의견차이가 다양하지만 여덟가지의 일반적인 專門性 準據 모두가 중요한 準據로 制定되었다. 看護專門性 準據의 重要度 順位는 집단간에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專門知識 및 技術은 중요도 순위가 네 집단 모두의 경우, 높게 나타났으면서도 集團間의 意見差異는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敎育課程 要因이 看護專門性 伸張에 現在 미치는 影響程度와 必要한 影響程度의 差異( 改善要求 )는 敎育課程의 네 要素 모두에 대해서 在學生, 敎授, 卒業生, 實務指導者의 順으로 네 집단 모두가 뚜렷이 나타났다. 在學生의 경우, 機關의 地域, 規模, 類型 및 設立財團 등에 따라 의견차이가 뚜렷하였고, 특히 還流要素에 대해서는 敎授者의 最終學歷 및 臨床·강의 經驗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현격하였다.

세째, 敎育課程 要素間의 相關은 現在 미치는 影響程度 및 必要한 影響程度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나, 看護專門性 準據의 重要度와 敎育課程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나, 必要한 影響程度에서만 다소 높은 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槪念模型에 대한 重回歸方程式의 線型關係는 卒業生의 專門知識 및 技術과 召命意識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敎育課程 要因의 專門性 準據에 대한 豫測力은 必要한 影響程度에서 準據別로 집단간에 차이가 났으며, 그 중 敎授가 28.7%로 가장 높다. 그리고 看護專門性은 각 準據마다 적합한 敎育課程 要素가 영향을 미쳐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간에는 일치하지 않고 다양한 견해를 나타냈다.

6. 結論

本 硏究의 理論的 背景과 調査結果에 기초한 結論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看護專門性은 일반적인 여덟 가지 專門性 準據가 相互 複合的으로 構成되어 있으나, 集團間의 의견차이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에 대한 意見調整이 우선되어야 看護專門性 伸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召命意識은 看護專門織에 固有한 專門性 準

據로서 이를 伸張함으로 看護專門性의 伸張 및 固有性을 확립할 수 있다.

둘째, 看護專門性 伸張을 위해서는 看護敎育課程 改善要求가 전반적으로 시급히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現行 看護敎育課程 施行狀態에 대한 재검토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還流要素에 대한 敎授와 在學生의 敎育課程 改善要求가 우선되어야 한다.

세째, 敎育課程 要素 相互間의 相關關係는 開放體制로서의 敎育課程體制의 力動性을 입증한다. 看護專門性 準據와 밀접한 敎育課程 要素는 각 準據에 따라 다르고, 이러한 關係가 敎授, 學生, 卒業生, 그리고 實務指導者의 네 집단간에는 서로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각 準據別로 看護專門性 伸張에 적합한 敎育課程 要素의 糾明을 위하여 集團間의 認識이 조정되어야 한다.

7. 提言

敎育課程 理論化를 위한 硏究方法上의 提言으로서는, 첫째 敎育課程 要因의  出 및 要素別 分類를 보다 세련화시켜 統計的 方法에 의하여 확인함으로써, 看護專門性 準據와 敎育課程 要因과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보다 包括的인 敎育課程 本質에 대한 이해와 敎育課程 理論化를 위하여 敎育課程 硏究의 水準과 內容의 領域을 확대하여 分析·比較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째 看護專門性이 아닌 他 專攻 領域의 專門職 敎育課程에 대한 硏究를 실시하고 이를 本 硏究와 比較硏究를 하여 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看護敎育課程 改善을 위한 提言으로서는 첫째, 看護專門性 準據와 敎育課程에 대한 敎授者와 學習者間에 病院과 大學間에 認識 調整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現行 學習者間 施行狀態의 재검토를 위하여 諸 關職 集團의 意見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세째, 看護專門性 準據別로 本 硏究에서 제시한 敎育課程 下位要因을 具體的으로 分析하여 敎育課程 開發過程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1. Need for and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modern industrializing society, every occupation is seeking it's professionalization, since higher education has been popularized and closely related with professional education. Nursing profession has also pursued it's professionalization with multiple educational efforts. But in the light of the context of curriculum theorizing, there has been a paucity in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zation and curriculum. The very need for the present study on relationship of nursing professionalization and curricular factors comes from such paucity in research as well as in increasing effort toward improving nursing curriculum effectively and advancing curriculum theorizing.

In accordance with such a need for the study, this study was aimed at 1) identifying relation of professionalization and curricular factors, 2) closely examining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and educing related curriculum factors, and 3) analyzing correlation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urriculum.

2. Problems for the Study

Firstly,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cerned with the present study subject, this study had several problems to be investigated as follows: 1) defining professionalism and methods of and strategies for professionalization, 2) elaborating the relationships of the strategies and curriculum, 3) identifying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of nursing profession, 4) classifying curricular factors and educing subfactors by system approach and reviewing, 5) a trend of nursing curriculum study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theorizing.

Secondly,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had three problems to be answered as follows: 1) What are the criteria to constitute of nursing professionalism? ; 2) What is the extent of the curricular factors' influence on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 and 3) How is the correlations of nursing professionalization and curriculum factors?

3. Methods and Proced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two sets of questionnaire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fter reviewing literature and researches. One was "a survey on factors that influence on nursing professionalization", which included 53 statements on nursing curriculum, and the other was "a survey on importance of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which included 8 items on professionalism, after assessing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by two pilot tests with the judge group.

These questionnaire were managed to four interest groups including a total of 1,011 subjects (300 nurse instructors, 256 new graduate nurses, 316 students, and 139 professors). The subjects were sampled randomly in a nation wid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using SPSS so as to obtain such descriptive statistics as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correlation and linearity through t-test, one-way

ANOVA, nonpar-Friedma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both .05 and .01.

4. Major Findings

To summarize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they include the followings :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four interest groups. But all of eight professional criteria were perceived as important components for nursing professionalism.

Particulary "commitment to calling" with "professional knowledge & skill"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criteria than the others.

Second, the extent of desired influences of curricular factor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urrent influences, representing a strong need for curriculum betterment. The degree of differences between desired and current influences in students was the greatest, and that in nurse instructors was lowest among the four group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of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and the degree of curricular factors influence on it is relatively high in only desired influence. And the desired influence of curricular factors perceived by the professors explained nursing professionalism more than that by the other groups did. According to the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s of four elements of curricular factors (input, process, output, and feedback) on nursing professional criteria vary in great extent.

5. Conclusions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eight professional criteria are interchangeably composed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here are considerable conflicts among the interest groups. So for the effective nursing professionalization, an effort should be exercised to coordinate their understanding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cond, a great deal of need for nursing curriculum improvement exists in order to strengthen nursing professionalization. And to make nursing curricular improvement more effective, actual nursing curricular practice should be reexamined profoundly with reflecting professo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it.

Third, the desired influence of curricular factors demonstrates theoretical model of curricular system which is basically composed of input, process, output and feedback. Therefore, nursing professionalization should be pursued in close relation with curricular factors, whatever there may be wide conflict among interest groups.

6. Recomendations

1) For further research for curriculum theorizing:

First, there is a need to analyze more accu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urriculum after classifying curricular factors by in-depth statistical analysis.

Second, for the broad understanding of curriculum in essence and theorizing curriculum, a study should be conducted which extends its inquiry level and con-tent,

Third, to overcome locality in scope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compare this study with curriculum study in other professional fields.

2) For the nursing curriculum improvement:

First,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coordinate thei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curriculum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between actual nursing practice and theoretical nursing education.

Second, for better improvement of nursing curriculum, not only professors but also the other interest group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reexamination of current curriculum practice, and their opinions should be reflected in it.

Third, there is a need to reflect real shape the curricular subfactors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for eight professional criteria respectively.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6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