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42

Cited 0 times in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간 결혼적응이 아동의 부적응정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순옥-
dc.date.accessioned2015-12-24T10:38:04Z-
dc.date.available2015-12-24T10:38:04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47-
dc.description간호교육/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간 결혼적응이 아동의 부적응 정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것 입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국·공립 국민학교에 재학중인 9세∼13세 아동 150명을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부적응 정서행위아군은 각 반에서 학생 생활지도 기록부와 가정통신에 의해 소위 문제아동으로 지목받은 학생으로써 본 연구자가 설정한 문제행위 분류에 속하는 아동을 임의 추출하여 문제아군으로 선정하였다. 정상아군은 부적응 정서행위아와 동일한 학교, 학년, 반에서 가정생활 정도와 부모의 나이, 교육정도 등이 비슷한 아동을 입의 추출하여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각 국민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과 담임선생의 협조를 구하여 대상자인 아동에게 설문지를 주어 어머니로부터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전체 배부된 설문지는 210부였으나 실제분석에 사용된 대상은 정상아군 75명, 부적응 정서행위아군 75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1983년9월26일부터 10월15일까지 약 20간이었다. 연구도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선행도구와 참고문헌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25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도구의 문항분석을 이용한 내적 신뢰도를 Cronbach's 신뢰계수에 의해 검증한 결과 신뢰도 .72를 나타내어 25개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Graham B. Spanier의 부부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이미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신뢰도가 검증된 것으로 96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어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에 의한 전산통계처리를 하였다. 문제아군과 대조군의 일반적특성에 대한 유사성을 x**2로 검증하였고, 검증을 위하여 두그룹간 부모의 양육태도 점수와 부부간 결혼만족도 점수 차이를 t-test로 검증 비교하였으며 부부간도 결혼만족도 점수와 부모의 양육태도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대한 유사성 검증결과 부적응 정서행위아군과 정상아군의 아버지의 학력 (x**2=12.102, p<.01), 어머니의 학력 (x**2=8.612, p<.05), 아버지의 직업 (x**2=18.957, p<.01), 결혼년수 (x**2=7.009,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부적응 정서행위아군의 양육태도 평균점수는 63.01, 정상아군의 양육태도 평균점수는 54.81로 나타나 부적응 정서행위아군과 정상아군간의 양육태도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5.78. p<.001). 그러므로 제1가설인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점수는 정상아군에 비해 부적응 정서행위아군에서 높을 것이다는 받아들여졌다. 셋째, 부부간 결혼만족도 점수는 정상아군에 비해 부적응 정서행위아군에서 낮을 것이다.는 부적응 정서행위아군의 결혼만족도 평균점수는 106.33, 정상아군의 결혼만족도 평균정수는 112.74로 나타나 정상아군과 부적응 정서행위아군간의 결혼만족도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01. p<.01). 그러므로 제2가설은 받아들여졌다. 넷째, 부부간 결혼만족도 점수와 부모의 양측태도 점수 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제3가설인 부부간 결혼만족도 점수가 낮을수록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점수는 높을 것이다는 받아들여졌다(r=-.4998, p<.001). 다섯째, 추가분석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간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변수를 확인하기 위해 변량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남편의 학력 (p<.01). 부인의 학력 (P<.001), 부인의 직업 (p<.05), 가족의 한달 총수입 (p<0.5)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간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marital adjustment of the spouses affect the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 The subjects were 150 childrens between 9 and 13 years selected at random from three public primary Schools in Seoul. Each number of the normal children and the malajusted children is seventy five. The control group children were individually matched with the maladjusted children for economic state and education of parent in the same school, same grade and same clas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he children's mothers to respond it. A questionnaire. And Grahan B. Spanier's marital adjustment scale was employed to assess the exten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Spouse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5, 1983 after the pretest and reliability test of the instrument. To analized the data and test the hypothesis the t-test with mean difference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were used. Result were as follow; 1.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were noted in education livel of father (x**2=12.102, p<.01), education level of mother (x**2=8.612. p<.05), Occupation of father (x**2=18.957, p<.01). and lengh of marriage(x**2=7.009. p<.05), between two groups. 2. Comparing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mean score, the experimental group is score was 63.01 while the control group's score was 54.81. The difference were statistscally significant (t=-5.78. p<.001). The hypothesis that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score of the maladjusted children ha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score was supported 3. Concerning the exten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spouses,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 was 106.33 and the Control group's mear score was 112.74.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3.01, p<.01). The hypothesis 2 was accepted. 4. Research revealed that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the spouses. (r=-.4998 p<.001). The hypothesis 3 was accepted. 5. In order to determine the variables affect the parent child-rearing attitude and marital satisfaction, ANOVA was employ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of father (p<.01), education level of mother (p<.001), occupation of mothers (p<.05), and family in-come. (p<.05).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marital adjustment of the spouses had affected the children's mal adjusted behavior. The research findings would be served as a teaching material for parent teaching, counselling and enlightening in order to prevent the incidence of the problemed children. The results would be also useful to assess the family mental health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bout the problemed behavio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간 결혼적응이 아동의 부적응정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marital adjustment of the spouses affect the children's malajusted behavio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Soon Oc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