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5 750

Cited 0 times in

백내장수술의 적절성 평가와 환자 진료 결과 분석

Other Titles
 The appropriateness and patient outcomes study of cataract surgery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2000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RAND의 백내장 적절성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백내장수술에 대해 4가지 등급(매우적절, 적절, 불명확, 부적절) 평가를 하고 이러한 수술의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며 둘째,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수술전 시기능, 시력, 증상 등을 통제한 뒤 백내장수술의 적절성이 수술후 12개월 환자진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4개 대학 및 종합 병원에 근무하는 20명의 안과전문의에게 1997년 4월말부터 6월 중순까지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적절성 평가 연구대상자는 222명이었다. 수술전과 수술후 12개월의 환자에 대한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면접 및 전화조사를 하였으며 의사에 대한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조사로 수행하였으며 백내장 수술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백내장수술의 적절성 평가의 결과로 백내장수술이 매우적절한 경우가 68명(30.6%), 적절한 경우가 103명(46.4%), 불명확한 경우 34명(15.3%) 그리고 부적절한 경우가 17명(7.7%)이었으며 적절성 평가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수술전 수술한 눈의 시력이 나쁜 경우, 수술전 시기능이 낮은 경우, 수술전 시력만족도가 높은 경우, 안과적 질환이 없는 경우와 의료제공자의 연간 백내장 수술횟수가 201회 이상인 경우에 적절한 수술이었다.

환자진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시기능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가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 수술이 적절한 경우는 시기능 변화, 시력만족도와 지기인식 건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시력과 관련된 기능적(수술한눈의 시력, 시기능, 중상)

및 주관적(시력 불편도 및 만족도) 결과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니었다.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대상 병원이 대도시의 대학 및 종합 병원이므로 이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적절성의 평가가 우리나라와는 환경이 다른 미국에서 실시된 것이므로 수정, 보완하여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적절성 평가방법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적절성 평가가 임상진료지침과 다른 점은 세부적으로 많은 임상적 사례들에 대해 사례별로 적절성에 대한 평가를 하여 모든 상황에 자세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이며 이전 우리나라에서는 적절성 평가가 입원, 재원기간과 퇴원 등에 대해도구를 이용한 조사만이 이루어졌으며, 미국에서는 주관적 판단에 의한 적절성 평가 연구가 진행되었고 환자진료결과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전문위원들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수술후 12개월의 환자진료결과를 추적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적절성 평가의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증거가 되는 연구이며 이러한 적절성 평가와 환자진료결과연구는 의사와 환자에게 의료시행에 대한 환자의 객관적 자료와 더불어 주관적 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시행 전에 최선의 결정을 도와주며 환자의 진료결과를

환류하여 의료의 효율화를 이를 수 있다.

[영문]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cataract surgery and to assess the outcomes of cataract patients for postoperative 12 months. For this purpose, cataract surgery was rated as 'necessity/crucial', 'appropriate','uncertain', and

'inappropriate' based on RAND Ratin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outcomes and appropriateness ratings was analyzed. The patients outcomes include the changes in patients outcomes,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outcomes(the visual

acuity of operated eye, visual function, symptom score), the subjective outcomes(satisfaction with vision, trouble with vision) for postoperative 12 months.

For this assessment, the cases of 222 patients were studied. These patients have undergone cataract surgery for either one eye or both eyes. The surgery were performed by 20 ophthalmologists who were practicing at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Patients were interviewed and clinical data were obtained.

Doctors were questioned with self-entered Questionnaire forms.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surgery process.

The ratings were as follows: 30.6% of the surgery belonged to the bracket of 'necessity/crucial', 46.4% to 'appropriate', 15.3% to 'uncertain', and 7.7% to 'inappropriate'. The preoperative lower level of snellen visual acuity, cataract symptom scor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the frequency of

surgery per year, no occurrence of ocular disease were associated with appropriate surgery.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is the highest R**2,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health status in overall are related with appropriate surgery.

The preoperative lower level of visual function, higher level of cataract symptom score and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functional outcomes for postoperative 12 months. The preoperativ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the frequency of surgery per year, no occurrence of ocular disease were associated with the subjective outcomes for postoperative 12 months.

We conclude that, for postoperative 12 months, appropriate surgery is not related to the functional outcomes and subjective outcomes.
Files in This Item:
T0054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