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528

Cited 0 times in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의 간호요구 및 만족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ursing needs and service satisfactory of us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Authors
 정현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의 간호요구 및 만족도



오늘날 사회가 고도로 산업화되고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며, 핵가족화 되어감에 따라 가족 내에서 해결해 왔던 산후조리가 더 이상 가족내 관리가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산후 한달간 산후조력자의 도움을 받으며 회복되어야 한다는 문화적 신념과, 생리 심리적회복의 조력을 위한 대안으로 산후조리원이 생겨나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산후조리원에 관한 연구가 없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의 간호요구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산후조리원의 서비스 실태와 여러 관련요인들을 파악하여 향후 산후조리원의 올바른 정착과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산후조리원의 서비스를 받은 산모의 간호요구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3월 20일부터 6월 5일까지 두 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산모들 중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 14명과, 서울시와 경기도 고양시, 성남시 분당구 소재의 산부인과 외래를 통하

여 우편발송으로 32명, 산후조리원 5 곳의 퇴원예정인 산모 35명에게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한 전산통계과정을 거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 중 가장 높게 나타나는 연령층은 26-30세로 주부인 경우가 많았으며, 남편의 직업은 전문직이 가장 많았고, 가계의 월수입은 100-199 만원이 많았으며, 산모와 산모의 남편 모두 전문대학교 이상의 학력이 가장 많았다. 즉, 고학력의 높은 경제수준의 산모들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고 있었다.

2)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들의 분만관련 특성 중 자연분만이 58.0%, 제왕절개가 42.0%이었고, 신생아의 성별은 남아가 59.3%, 여아가 40.7% 이었다.

분만횟수는 첫 번째가 가장 많았으며, 분만 후 정규날짜에 퇴원 후 입소하였으며, 1-3일의 경과기간후의 입소가 가장 많았다.

2. 산후조리원의 서비스 실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들이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이유는 산후조리를 더 잘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많았고, 남편의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입소 전 2-3개의 산후조리원을 방문한 후 입소하였으며, 경험자의 소개로 선택한 산모가 가장 많았다.

2)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기간은 평균 17.6일, 부대비용을 제외한 총소요비용은 평균 122.9만원, 1일 소요비용은 69,800원이었으며, 지불시기와 방법은 선지불과 현금으로 지급하였고, 중간퇴원을 안 하는 경우가 많았고, 중간 퇴원시 환불을 안해주거나 불가피한 경우만 환불해주었다. 그리고 정규비용 외에도 분유, 유축기, 종이 기저귀, 피부관리, 체형관리, 영양제, 주사제 등에 부대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후조리원의 실제비용은 정규비용과 부대비용을 합한 것으로 모두 개인이 부담하여야 하는 비용이다.

3) 산후조리원에는 산모방(1인실)과 신생아실을 전부 갖추고 있으며 그밖에 식사조리실, 식당, 좌욕실, 휴게실, 샤워시설을 과반수 이상이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이외에도 34.6%의 산후조리원이 적외선 치료실을, 29.6%가 치료실등의 의료시설을 갖추고 있었다.인력으로는 과반수 이상의 산후조리원이 간호사, 피부관리사, 청소담당을두고 있었다.

4) 수유방법은 모유와 분유를 혼용하였고, 밤시간에는 모유를 보관하여 신생아실 직원이 먹이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보양식으로 호박물과 가물치 다린 물을 주는 경우가 과반수 이상으로 많았으며, 23.5%에서는 한약을 제공하고 있었다.

5)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주관식 문항의 응답 결과를 보면, 산모에 있어서는 유방관리를 잘못하여 염증이 생긴 경우(1명), 산후풍이 생긴 경우(1명)가 있었으며, 신생아의 경우에는 감기가 전염되거나(5명), 눈병이 생긴 경우(1명), 피부습진(1명), 신생아 황달(3명), 아구창 (4명), 기저귀발진(1명) 등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감염예방이나 비위생적인 젖병과 기저귀 관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

3.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의 간호요구와 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의 간호요구는 모든 항목에서 70%이상의 비율로 간호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성생활과 피임에 대한 교육과 회음부 소독에 대한 간호요구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의 서비스 만족도를 보면 모두 2.5점 이상으로 대체적으로 만족하다는 결과이다. 그러나 성생활과 피임에 대한 교육, 육아에 대한 교육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회음부 소독과 신생아의 정서적 안정에 관한 만족도도 낮게 나타났다.

3)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와 신생아의 간호요구와 만족도에서 간호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은 신생아에 대한 간호요구이며, 가장 낮게 나타난 항목은 교육에 대한 간호요구이었다. 만족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은 신생아에 대한 간호요구에 관한 만족도 항목이며,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환경적 간호요구에 대한 만족도 항목이다.

4)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의 간호요구와 서비스 만족도의 관계를 보면 신생아의 간호요구에 대한 항목만이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산모의 간호요구와 만족도와의 관계와 산후조리에 대한 태도와 간호요구, 만족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산모의 간호요구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고, 전통적 산후조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간호요구는 높고 만족도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5)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산모의 산후조리원 재이용 의사는 61.7%의 산모가 재이용 하겠다고 응답하였고, 그 이유로는 신생아를 맡길 수 있어서라는 항목이 가장 많았다. 28.4%의 산모는 재이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비용에 비해 시설이나 서비스가 부족하다라는 항목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37%가 산후조리원의 광고와 비교하여 과잉선전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의 간호요구와 만족도를 살펴보았으나, 산후조리원이 산모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으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과 더불어 여성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관으로서, 시설과 인력, 서비스에 대한 기준 마련과, 유사시법적 규제와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기준, 촉탁의사나 가정간호사와의 연계, 간호사 등 의료인의 의무적인 고용과, 산후조리원 직원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일선 행정기관의 전담관리 등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These days, as the society has been in the trends of highly industrialized and the family has been downsized, there is remarkably increasing number of women who follow occupation. These changes have made it more difficult for the family to help post-partum mother, which had been performed in side of house.

By the help of social belives that during at least 1 month after childbirth professional nursing program is indispensable for both maternity protection and physical-mental recuperation, now many post-partum care centers for post-partum mother have been in operation. Although these post-partum care center have been in use for a long time, no study was performed before this study on the same subject. Data were analysed using by SA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

1. The general features of the user of the post-partum care center

1) The predominant band of user's age is extended from 26 to 30. The users are mainly housewives and they are in higher level of incomes and educations.

2) As for the feature of delivery methods, they performed the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method by 58.0% and the Caesarean operation method by 42.0%.

As for the sexuality for babies, 59.3% of infants are male, and 40.7% are female.

3) The highest delivery order of users is first and admission after 1-3days delivery is highest.

2. The results for the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ost-partum care center are as follow:

1) About the main reason for entrance of the post-partum care center was found to be the needs for the better nursing programs for recuperation after childbirth.

This demands are also supported by their husbands.

2) The average length of stay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is 17.6 days and the average expense is 1.229 million won.

They are paying accessory fees besides promised expenses; powdered milk, milk-suckers, disposable dippers, skin cares, body shape cares, entrophics, injections.

3) The post-partum have private rooms for mother and infants. Over the half of the post-partum care center have similar step organization : the nurses, the skin carers, the cleaners.

4) Mostly both ways of feeding powdered milk and breast feeding are in use, and mother's milk is preserved in the night time to be given to infant by nurse in charge.

3.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users' nursing demand to the post-partum care center and satisfaction are as follow:

1) The ranking order of nursing demand of mothers who used the is that; infant care demands, environmental demands, emotional and mental care demands, education and training demands. As much as 70% of the respondents have dissatisfaction in nursing program.

2) The ranking order of service satisfaction of mothers who used appears to be higher following order ; satisfaction in infant care demand, satisfaction in physical nursing demand, satisfaction in emotional and mental nursing demand,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demand, satisfaction in environmental nursing demand.

3) The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between nursing demand and service satisfaction of mothers who used are found to be relative noticeable in the level of 0.05. only infant care

4) The 61.7% of the women who used the post-partum care center. are responding that they will reuse the same post-partum care center again.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5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