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24

Cited 0 times in

노인인구의 간호요양원(nursing home) 필요예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stimation of nursing home needs in elderly people 
Authors
 강임옥 
Issue Date
1999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인구에서 간호요양뭔을 필요로 하는 집단의 크기를 예측해 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는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간호요양원서비스의 필요기준을 파악하고, 선정된 간호요양원 입원 적격기준에 따라 연구대상 집단인 일반노인군에서 간호요양원서비스 필요군을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총 노인인구 중에서 간호요양원 필요군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각 서비스 필요도를 산출하기 위해 전문가집단에게 설문을 시행하였다. 여기서 전문가집단은 간호사집단과 의사집단으로 구분되는데, 간호사집단은 다시 가정간호사와 보건진료원으로, 의사집단은 노인병학회 회원인 의사집단과 가정간호사가 추천한 의사집단으로 구성된다. 4가지의 전문가집단으로부터 얻어진 서비스 필요도의 최빈값을 이용하여 간호요양원 입원 적격기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간호요양뭔 입원 적격기준에 근거하여 일반노인군 중 간호요양원의 입원이 필요한 사람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였다. 여기서의 일반노인군은 '보건사회연구원'이 '노인생활실태조사'를 위해 우리나라 전국 106개 조사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인구 중에서 추출된 2,058명의 노인인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 선정된 간호요양원 입원 적격기준을 살펴보면, 대부분 동거하는 자가 없는 노인은 일차적으로 간호요양원의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활동이 매우 어렵거나 전혀 못하는 상태이면서 도움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이에 해당되었다. 이밖에는 각 차원의 세부 항목에 따라, 또는 전문가집단에 따라 기준의 내용이 조금씩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나 대체로 질병상태나 어려움 정도가 심한 상태이면서 비가족과 동거하거나 동거인이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되었다.

이러한 적격기준에 따라 간호요양원서비스 필요군을 추출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의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체적 기능 차원인 일상생활지장정도(ADL)에 관한 기준만을 가지고 간호요양원 필요군을 추출한 경우에는 일반노인군 중 약 8-9%가 이에 해당되었다. 반면 만성질병에 관한 기준을 가지고 같은 방식으로 간호요양원 필요군을 추출한 경우는 그 값의 변이가 커서, 가정간호사의 추천을 받은 의사의 관점에서 보면 30%가 넘은수가 간호요양원서비스를 필요로 한다고 나타났다. 한편 모든 차원의 기준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는 일반노인군의 13-38%정도가 간호요양원 필요군에 해당되었다. 신체적 기능 차원과 만성질병 차원을 합쳐서 간호요양원 필요군을 산출하면 4가지 차원을 모두 사용하여 산출한 것과 가장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in study is to estimate the population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among elder1y people in Korea. This study identifies the need of nursing home services determined by health care profesaionals and estimates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 according to the admission criteria.

Surveys were conducted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including medical doctors, home care nurses, and nurse practitioners. They were asked to assess nursing home needs baeed on four content areas: physical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hronic disease, physical symptoms(incontinence), mobility, eating, and sensory func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ly determined need criteria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was estimated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1994 Survey on the Living Statue of the Korean Elderly.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to estimate nursing home needs who were 60 and older totaled 2,058.

The moa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 admission eligibility criteria wart the elderly living alone. Other factory related were the elderly being unable or having difficulty carrying out activities, and having insufficient help from other

members of the household.

Using only physical function,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wag 8-9%. When only chronic disease wart used, proportions varied widely; for the doctor's group, the proportion was over 30%. Using all areas, the proportions of elderly people requiring nursing home were between 13% and 38%. The estimate using chronic disease and physical function wag simitar to the one using all area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