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487

Cited 0 times in

한 사업장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건강실천행위 및 건강수준간의 구조분석

Other Titles
 Structural modeling of stres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industrial employees 
Authors
 오장균 
Issue Date
1999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스트레스, 건강실천행위 및 건강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건강검진시 수전자들에게 포괄적이고 양질의 임상 예방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사후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측정 사회심리적 측정도구(psychosocial welling index; PWI)를 사용하였고, 건강수준 측정은 간질환 및 고지혈증에 관련된 혈액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한 사업장 근로자 46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은 SAS version 6.11과 LISREL(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 version 8.12i(1998)와 PRELIS 2.12i를 사용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스트레스 정도와 건강실천행위와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스트레스는 우의한 관계가 없었다.

2.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인 군이, 교육 수준이 높은 군이, 월 수입이 많을수록, 종교를 가진 군이, 연구직이 그리고 근무년수가 높은 군 즉 사회 인구학적 특성이 좋은 군일수록 건강행위 실천율이 좋았다.

3.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음주량과 흡연량이 많았고, 운동은 적게 하였으며, 수면상태가 불충분하였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스트레스 정도 및 건간실천행위에 따른 건강수준과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및 분산분석을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결혼군이 미혼군에 비하여 고지혈증의 빈도가 높았다.

2. 스트레스와 건강수준 사이에서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관찰할수 없었다.

3. 건강실천행위중 음주군, 운동량이 적은군, 비만인 경우 간질환이 많았고, 음주군, 흡연군, 운동량이 적은군, 수면상태가 불충분한 군, 비만인 경우 고지혈증이 많았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고려하고 스트레스 정도, 건강실천행위, 건강수준간의 관계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희귀분석 및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음주 및 흡연량이 많았고, 운동량은 적었으며, 수면상태는 불충분하였다. 또한 이들 건강행위 실천율이 낮은 군은 간질환과 고지혈증의 높은 빈도와 상관성이 있었다. 비만인 경우에도 스트레스와는 독립적으로 간질환 및 고지혈증의 높은 빈도와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건강 실천행위 특히 적절한 음주 습관과 금연, 규칙적인 운동, 수면 습관 그리고 체중관리가 만성 퇴행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근로자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와 직장 및 사회적 차원에서 근무 분위기 향상 및 사기 진작 전략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건강 검진시 질환자, 요주의자 및 건강자들의 부적절한 생활습관에 대한 행동과학적 접근으로 적절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정기적인 보건 교육과 사후관리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ess affecting the health behaviors(such as alcohol consumption, smoking, exercise, sleep disturbance, obesity),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res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in industrial employees.

Research Methods :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health survey and laboratory test(such as liver enzymes and lipid profiles) in 463 Industrial Employees.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was used in stress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version 6.11 ,LISREL version 8.12i and PRELIS 2,12i. The analytic methods for study were chi-squar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ress; (2) The older person, married,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economic status and researcher group included the good health behaviors; (3) The higher stress groups included the more alcohol consumption, more smoking, less exercise and more sleep disturbance;

(4)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status(liver enzymes and lipid profiles) ; (5) Alcohol consumption, less exercise and obesity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bnormal liver enzymes. Alcohol consumption,

smoking, less exercise, sleep disturbance and obesity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bnormal lipid profil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ructural model of stres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was established and then consider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as used. The higher stress scores included the bad haelth behaviors The bad health behaviors included the lower health status. Regardless stress, obesity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ealth status.

Conclusion : Control of stress was initiative clues in health-promotive behaviors. Less alcohol consumption, no smoking, regular exercise, no sleep disturbance and not obese were health-promotive behaviors. Stress influenced the health behavior, and then the health behaviors influenced the health status.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8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