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251

Cited 0 times in

미용성형 수술이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atient's mental health change related to esthetic surgery 
Authors
 변금순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인간의 신체 모습이 각 개인에게 주는 의미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자존감, 인간관계, 행동양식 등에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과 보다 더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욕구에 부응하여 미용성형 수술을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미용성형수술이 다른 질병보다 훨씬 심리적 문제를 많이 가지게 됨에도 불구하고 외국의 경우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수술 전후의 미용성형 환자의 정신건강의 변화에 관하여 연구된 것이 별로 없었다. 그러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수술전후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하여 정신건강의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미용성형 수술을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전후의 정신건강 상태를 평가하여, 미용성형 수술이 환자에게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알아보고 이들의 정서적 지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기간은 1997년 1월 15일부터 4월 10일 사이에 서울 시내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 성형외과에 내원하여 미용성형 수술을 받은 환자 64명이었으며 질문지와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얻어 SAS로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이정신 진단검사(SCL-90)로 측정된 대상자의 수술전 정신건강 수준은 최소 0점에서 최고 400점의 범위중 평균점수 68.17점(표준편차 48.26)이었고 수술후 정신건강 수준은 평균점수 58.03점(표준편차 46.93)으로 수술전후에 -10.14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어 미용성형 수술후 정신건강상태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냈다(p<.01).

2. 대상자의 신체 만족도 점수는 만점 100점중에서 수술전 평균 58.54점(표준편차 23.14), 수술 후 평균 78.14점으로 19.05점의 변화가 있었으며 수술전후의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3. 대상자의 신체 만족도 점수와 정신건강 상태의 변화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r=-0.42로 신체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정신건강 점수가 호전되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술전 정신건강 점수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을 때 수술전 정신건강 점수가 61점이상인 그룹은 r=-0.59로 나타나 정신건강 점수가 61점이상인 그룹에서 상관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p<.01).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미용성형 수술전후의 정신건강 상태의 변화정도가 달라지는가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그 이외에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없었다(p<.05).

5. 대상자의 수술에 따르는 특성에 따라 미용성형 수술전후의 정신건강 상태의 변화정도가 달라지는가 분석한 결과는 수술후 가족의 지지가 p=0.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그 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여러 가지 연구의 제한점이 있지만 인간의 신체 모습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와 미용성형 수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의 변화로 늘어나는 미용성형 수술환자의 증가에 부응하여, 그들의 정신의학적 측면을 이해하고 정신건강에 대한 미

용성형 수술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들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보며 앞으로 다양한 미용성형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에게 장기간 추적을 통한 체계적인 추후연구가 꼭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영문]

The impact of an individual's appearance on their ow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can be said to be profound, though it is largely affected by societal values which vary at different times indifferent cultures. In this context and considering current social pressures to be physically attractive, cosmetic surgical procedures have gained wide acceptance and their practice is steadily increasing. In view of the fact that candidates for esthetic surgery bear the potential for subtle psychological problems, which are not so obvious as in other medical dilemmas, we decided that an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hange was in order. Such studies haven't been undertaken before in Korea, in contrast to several overseas reports.

Therefore, an assessment of the mental health status both before and after the operative procedure could provide important data, and possibly help to lend emotional support for these patients.

The study was undertaken from 1997.1.15 to 4.10, and included 64 patients operated on for cosmetic purposes. All patients had been seen at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given questionnaires prior to individual interviews. The SAS software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mental health score was 68.17(SD=48.26) preoperatively and 58.03(SD=46.93) postoperatively, thus an increment of -10.14 was noted. The scores were graded on a scale of 400(p=0.0101).

2. The average physical satisfaction quotient was 58.54(SD=23.14) preoperatively and rose to 78.14(SD=18.30) postoperatively. The increment was 19.05(p=0.0001).

3.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ental health score and the physical satisfaction quotient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r=-0.42). The correlation was strongest in the group displaying low mental health scores preoperatively(r=-0.59).

4. Among the general features or variables, only age factor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other variables was statistically irrelevant.

5. Family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mental health score.

This study is obviously limited by the number of subjects studied and by the relatively short follow-up period at the time of postoperative assessment. The authors are aware that no generalization can be inferred from this study alone, and a well designed prospective study with a longer follow-up period is anticipat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13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4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