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7 866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유방암 수술 환자의 소득계층과 사망률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Income status and mortality of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in South Korea 
Authors
 박미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득계층에 따라 건강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외국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 여러 질병 중에서 현재 사망원인 1위인 암 질환과 관련해서는 암환자의 생존율에 대해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일정집단내의 암 발생률, 사망률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소득계층과 사망률, 사망위험률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계속적으로 발생률을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의 연구에서 소득계층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방암의 경우 더욱 그 필요성이 느껴지며 유방암 환자의 소득계층과 사망률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이 연구에서는 2002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 사이에 유방암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험료를 소득계층의 대리변수로 사용하여 소득계층별로 사망률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6년 6월 30일까지 최대 4년 6개월의 관찰기간을 거쳐서 수술환자 10,318명의 사망여부를 확인하여 분석하였고, 이 연구의 자료는 건강보험 급여자료, 건강보험 가입자 자격자료, 요양기관 현황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특성상 소득계층을 알 수 없어서 소득계층의 대리변수로 보험료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보험 가입자의 형태에 따라 보험료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의료급여 대상자는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각각의 최하위 소득계층으로 포함시켰다.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예측 등에 의해 연령과 수술형태, 동반상병지수, 입원 경로, 의료기관의 수술건수의 변수를 포함하여 각 변수들에 대한 사망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경우 연령에서는 40세 미만과 60세 이상일 때, 수술형태는 major수술일 때, 동반상병 지수는 2점 이상일 때, 외래로 입원한 경우, 의료기관의 수술건수가 적을 때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경우 연령에서는 40세 미만과 60세 이상일 때, 수술형태는 major수술일 때, 동반상병 지수는 2점 이상일 때, 응급실로 입원한 경우, 의료기관의 수술건수가 적을 때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Cox모형으로 생존 분석한 결과를 보면, 소득계층별로 유방암 수술환자의 사망률 차이가 있었으며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아졌다. 소득계층을 제외한 연령, 수술형태, 동반상병지수, 입원경로, 의료기관의 수술건수의 변수를 통제한 후 사망위험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 수술환자의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모든 소득계층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방암 수술을 한 건강보험가입자의 가장 높은 소득계층에 비해 소득계층이 낮아질수록 사망위험률이 높아졌고 의료급여대상자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사망위험률을 보였다.이는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던 유방암 수술환자의 소득계층과 사망률간의 관련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소득계층에 따른 선별검사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나 수술 후 계속적인 의료의 접근 및 추후적인 관리의 차이를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중 유방암 수술 받은 대상자의 소득계층과 사망률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이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 유방암 수술 환자에 대한 대표성을 가지는 매우 의미있는 연구이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의 사망률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과거력, 진단 시 병기, 건강행태 등에 관한 변수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변수들이 포함되어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07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2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