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 2075

Cited 0 times in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코칭 행동과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숙영-
dc.date.accessioned2015-12-24T10:10:21Z-
dc.date.available2015-12-24T10:10:2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321-
dc.description간호관리와 교육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코칭 행동과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코칭 행동의 중요성과 코칭 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간호행정 관리에 기여 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2개 종합전문요양기관과 1개의 종합 병원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인 일반간호사 4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4월 6일부터 4월 17일 까지 총 12일간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로는 관리자의 코칭 행동에 최치영(2003)이 개발한 도구를, 임파워먼트는 Spreitzer(1995, 1996)가 개발한 도구를 이광용(200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는 고유경, 이태화,임지영(200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적 통계,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간호사가 인지한 관리자의 코칭 행동 수준 총점은 65점 만점에 42.95 ±9.27점으로 나타났으며, 코칭 행동 요인 중 수행평가가 5점 척도 기준 평균평점 3.45±0.8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계가 3.34±0.80점, 개발이 3.28±0.83 점, 방향 제시가 3.13±0.76점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수준 총점은 100점 만점에 67.99±10.80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력,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고, 간호업무성과 수준 총점은 85점 만점에 62.79±9.60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에서는 업무수행능력, 업무수행태도, 업무수준향상, 간호과정적용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칭 행동 인지의 차이에서 현 부서 근무경력(F=3.854, p=.010), 현 부서 직원 구성수(F= 5.57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칭 행동 인지와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살펴 보면 코칭 행동 인지와 임파워먼트는 r=.383(p=.000), 간호업무성과는 r=.254 (p=.000)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와 간호 업무성과는 r=.674(p=.000)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간호관리자 코칭 행동 인지와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에 임파워먼 트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증을 살펴보면, 1, 2단계의 분석에서 매개 조건을 충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F=180.802, p=.000, R²=.454로 나타나 간호사의 간호관리자 코칭 행동 인지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 임파워먼트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간호 단위 관리자의 코칭 행동은 간호업무성과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임파워먼트는 이들 간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결국 간호업무의 질적 향상과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한 간호업무 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관리자의 코칭 행동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관리자의 코 칭 행동은 간호사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자발적인 참여와 창의력으로 스스로 일을 할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을 부여할 때, 간호업무성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코칭 행동은 조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간호 조직의 인력 관리에 효율적인 관리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들이 코칭 행동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간호 인력 관리를 통한 병원 조직의 목표 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룰 것으로 사료 된다 [영문] This descriptive study aims to improv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manager’s coaching behaviors and skill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taff nurse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managers’ coaching behaviors, and nurses'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management of nursing environment.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38 staff nurses with at least 6 months of job experience working at hospital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12 days from April 6 2009 to April 17.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2.0 program.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1. The mean of coaching behavior was 42.95± 9.27 with a range of 1- 65. The means of sub-domain of coaching behavior were 3.34±0.8 for relation domain, 3.28± 0.83 for development domain, and 3.13±0.76 for the suggestion of future plan.2. The mean of empowerment was 67.99± 10.80 out of 100. In terms of sub-domain, meaningfulness is the highest, followed by capability, self decision, and influence. The mean of job performance of nurses were 62.79±9.60 out of 85. In terms of sub-domain, the mean of Job performance abil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ttitude, improvement, and th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aching behavior in terms of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marital status, religion, age, education, total years of experience, except years of experiences at current department (F=3.854, p=.010) and the number of manpower in current department (F= 5.578, p=.001).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urse manager’s coaching behavior and empowerment (r=.383, p=.000), between nurse manager’s coaching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of nurse (r=.254, p=.000), and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 of nurse( r=.674, p=.000).5.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manager’s coaching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of nurse (β₄=.676, p=.000).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manager’s coaching behavior is essential to improve job performance of nurse by enhancing the quality of nursing and utilizing the work force efficiently. Accordingly if nurse managers should have better understanding about coaching behavior and adopt the concept actively, hospital will accomplish it’s goal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efficient nurse work force manageme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코칭 행동과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s of nursing managers,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s of staff nur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yu, Suk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