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9 457

Cited 0 times in

암정보센터 웹기반 교육내용 구성을 위한 요구도 조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소은-
dc.date.accessioned2015-12-24T10:09:41Z-
dc.date.available2015-12-24T10:09:4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95-
dc.description간호관리와 교육/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암환자 및 가족에게 웹기반 교육내용 구성항목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암정보센터의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교육요구도 조사를 위한 측정도구는 문헌 고찰 및 국내외 의료기관 홈페이지, 관련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교육내용 예비항목을 도출 한 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자료는 2008년 12월 1일부터 14일에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암센터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 및 가족 전수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전문가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지수(CVI : Content Validity Index)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료기관 및 암협회 홈페이지 분석을 통하여 76개의 교육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일반적 정보 24항목, 증상관리 21항목, 일반생활 5항목, 치료요법 15항목, 지지요법 11항목의 5개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2. 국내외 의료기관의 교육내용 구성항목은 국내에서는 ‘암 통계‘, ’재발 증상‘, ’보건의료제도‘, ’성생활‘, ’임신과 출산‘, 치료시 부작용 감소방법’ 등의 항목이 제공되고 있는 반면 국외 의료기관에서는 제공되어 지지 않고 있었으며 국외에서는 ‘유전’, ‘가정과 직장에서 간호하는 방법과 일을 할 수 있는 정도’, ‘병원에 오거나 즉시 보고해야하는 증상’, 암 관련 사이트 제공‘, ’암 극복 사례‘. ’신약 임상참여 방법‘, ’응급상황 대처방법’, ‘직장 및 학교 복귀’, ‘건강 관련 자료’, ‘치료동안 거주할 장소 소개’ 등의 항목이 제공되고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제공되어 지지 않는 등 교육내용 구성항목에 차이가 있었다. 3.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서 일반적 정보 10항목, 증상관리 3항목 , 일반생활 1항목, 치료요법 12항목, 지지요법 3항목의 총 29개의 교육항목이 도출되었다. 4. 국내외 문헌의 교육내용 구성항목을 살펴보면 국내 문헌에서는 ‘암의 원인’, ‘암의 증상’, ‘보건의료제도’, ‘식욕감퇴, 오심, 구토 증상’, ‘기침 증상’, ‘수술’, ‘정신 심리적 지지’, ‘보호자, 가족에 대한 지지’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나 국외 문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딸꾹질 증상’, ‘방사선 요법의 부작용’, ‘수술 부작용’등의 내용은 국외 문헌에서는 나타났으나 국내 문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등 교육내용 구성항목에 차이가 있었다. 5. 웹기반 암교육내용 예비항목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전문가 합의율이 0.8이상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교육요구도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가 타당도 0.8이하인 두 항목도 포함하여 모든 항목을 웹기반 교육내용 구성 예비항목에 포함하였다. 6. 암환자의 교육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점 평균 3.37±0.65점이었으며 증상관리 영역의 ‘딸꾹질’, 일반생활 영역 중 ‘성생활’, ‘임신과 출산’, ‘흡연과 음주’ 등 네 항목을 제외하고 72항목에서 3점 이상의 교육요구도를 나타냈다. 가족의 교육요구도는 평점 평균 3.41±0.63점이었으며 모든 영역의 전체 76항목에서 3점 이상의 교육요구도를 나타냈다. 교육내용 구성항목에 대해 전문가의 교육요구도는 평점 평균 3.49±0.63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영역의 전체 76항목에서 3점 이상의 교육요구도를 나타냈다. 7. 웹기반 암교육내용의 최종 구성항목으로 일반적 정보, 증상관리, 일반생활, 치료요법, 지지요법의 5개영역으로 구분하여 일반적 정보 영역에는 암의 정의, 암 통계, 암의 원인, 유전, 암의 예방 또는 이차성 암예방 등 24항목, 증상관리 영역에는 구강 건조증, 구내염, 림프부종, 변비, 설사 등 21항목, 일반생활 영역에는 운동, 식생활, 성생활, 임신과 출산, 흡연과 음주 5항목, 치료적 정보 영역에는 항암요법의 목적, 항암화학제의 약리작용, 항암요법의 계획, 항암요법의 부작용, 항암요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 15항목, 지지요법 영역에는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정신 심리적 지지,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 보완대체요법의 종류, 암환자의 외모관리, 보호자 및 가족에 대한 지지 등 11항목을 포함하였다. 결론적으로 암정보센터의 웹기반 교육내용으로는 일반적 정보, 증상관리, 일반생활, 치료요법, 지지요법 등을 총괄하여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암환자의 질병특성에 따른 특수성을 감안하는 것이 요구되고 국외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간과되고 있는 교육내용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교육요구도가 높은 항목에 대해 웹상에서의 암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에서의 교육 뿐 아니라 off line상에서 암의 질병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웹상에서 표준화된 암 관련 정보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을 시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their needs for the contents of the web-based education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the web-based education programs at Cancer Health Information Center.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homepages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institutes and searched for relevant websites to determine the preliminary survey items which would be referred to the experts to be tested for their validity. Thu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50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 the patients had been outpatients or inpatients at the cancer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or the period from December 1 through December 14,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AS program for T-test and ANOVA.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tested by experts according to the CVI (Content Validity Index)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75 items of education could b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the homepages of medical institutes and cancer association. The items were grouped into 5 categories : 24 items about general information, 21 items about management of symptoms, 5 items about every day life, 15 items about treatment and 11 items about supporting therapies. 2.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vided for by domestic medical institutes but not provided for by foreign counterparts were 'statistics about cancers,' 'symptoms of recurrence,' 'health and medical service systems,' 'sexual life,' 'pregnancy and delivery' and 'how to reduce the side effects of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vided for by foreign medical institutes but not provided for by domestic medical institutes were 'how to care for the patients at home and workplace and the extent to which the patients can be engaged in job,' 'symptoms for immediate visit or report to hospital,' 'cancer-related special sites,' 'cases of overcoming the cancers,' 'how to participate in the clinical test treatment of new drugs,' 'how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return to job and school,' 'health-related data,' and 'introduction to the places where patients can stay during treatment.' 3. As a result of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 total of 29 items of education could be identified : 10 items about general information, 3 items about management of symptoms, 1 items about every day life, 12 items about treatment and 3 items about supporting therapies. 4. The items of education informed by domestic literature but not informed by foreign literature were 'causes for cancers' 'symptoms of cancers' 'health and medical service systems,' 'symptoms of declining appetite, bad feeling and emesis,' 'surgery,' 'psycho-psychological support' and 'support to guardians or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the items of education informed by foreign literature but not informed by domestic literature were 'symptom of hiccup,' 'side effects of the radiotherapy' and 'side effects of surgery' 5. As a result of referring the preliminary items of education to the experts for their validity test,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agreement was 0.8 or higher in all items. The items rated less than 0.8 by experts were included in the preliminary contents of the web-based education to be compared with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needs for education. 6. Cancer patients' needs for education scored 3.37±0.65 on average on a 4-point scale ; their needs for education scored 3.0 or higher in 72 items but 'hiccup' in the category of symptom management, 'sexual life,' 'pregnancy and delivery' and 'smoking and drinking' in the category of every day life. Their family members' needs for education scored 3.41±0.63 on average ; their needs for education scored 3.0 or higher in 76 items. Experts' need for education scored 3.49±0.63; their needs for education scored 3.0 or higher in all 76 items of 5 categories. 7. The final items of the web-based education were grouped into 5 categories : general information, management of symptoms, every day life, treatment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rapy. The category of general information consisted of 24 items including definition of cancers, statistics about cancers, causes for cancers, heredity and prevention of cancers or secondary cancers, while the category of symptom management consisted of 21 items including xerostomia, stomatitis, edema in lymph node, constipation and diarrhea. The category of every day life consisted of 5 items including exercise, dietary life, sexual life, pregnancy and delivery, smoking and drinking, while the category of treatment information consisted of 15 items including purpose of anti-cancer treatment, pharmacological action of anti-cancer chemicals, planning of anti-cancer treatment, side effects of anti-cancer treatment and methods of reducing the side effects of anti-cancer treatment. The category of supporting therapy consisted of 11 items including psycho-psychological support to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how to get financial aid, types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patients' management of their looks and supports to guardians and family members. As the above findings suggest, it is deemed required of Cancer Health Information Center to develop the web-based cancer education program covering general information, symptom management, every day life, treatment and supporting therapies. Furthermore, cancer patients' characteristics of diseases should be reflected, while the contents of education emphasized in foreign cancer education programs but overlooked in domestic ones should be included. Lastly, it is hoped that the items of educ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for further validity test will be tested by future studies to be included in development of cancer information service and education program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암정보센터 웹기반 교육내용 구성을 위한 요구도 조사-
dc.title.alternativeNeed assessment of web based health education at cancer health information cent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g, So E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