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797

Cited 0 times in

시지각력이 대면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은진-
dc.date.accessioned2015-12-24T10:08:38Z-
dc.date.available2015-12-24T10:08:3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54-
dc.description언어병리학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신경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한 언어 장애 평가의 범주에는 ‘이름대기 능력’이 포함되는데, 이는 이름대기 장애가 연결 발화에서 에둘러 말하기 등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름대기 평가 과제 중에서도 ‘대면이름대기’는 자극 목표물에 대한 시지각적 사물인식 단계, 의미적 단계, 음운적 산출 단계 등을 거치는 이름대기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과제이다. 치매군들이 이름대기 평가 과제에서 저하된 수행력을 보이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알쯔하이머성 치매의 경우에는 대면이름대기 능력이 유의하게 손상되며, 그 오류 양상에 있어서 자극 그림과 비슷하게 생긴 사물의 이름으로 대치하는 오류인 시각 오류가 관찰된다. 한편, 파킨슨병 치매군의 이름대기 능력이 손상되는지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자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더욱이 언어 능력 저하보다 운동 장애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그들이 이름대기 과제에서 나타내는 오류 유형에 대해서는 질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치매군의 시지각력과 이름대기 능력을 표준화 도구를 활용하여 검사함으로써 두 치매군 간의 양적 및 질적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시지각력 점수와 이름대기 수행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알쯔하이머성 치매군 32명과 파킨슨병 치매군 17명이었다. 두 치매군의 연령, 성별, 학력 및 중증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표준화된 시지각력 검사도구인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format(MVPT-V)와 대면이름대기 능력 검사 도구인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를 사용하여 각 수행력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대면이름대기 능력에 대해서는 오류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치매군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오류 유형은 시각, 의미, 음소, 그 외 오류 등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시지각력이 이름대기 수행력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VPT-V 검사 결과에 따르면, 알쯔하이머성 치매군과 파킨슨병 치매군의 시지각력은 정상 노인에 비해 저하되었으나, 그 수행력 정도에 있어서는 두 치매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로써, 두 치매군 모두가 겪는 신경병리학적 변화에는 사물의 모양과 형태를 분석하는 시지각 경로의 손상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알쯔하이머성 치매군이 파킨슨병 치매군보다 더 낮은 K-BNT의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알쯔하이머성 치매는 피질성 치매로 주로 기억력이 손상되어 대면이름대기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파킨슨병 치매의 경우는 피질하성 치매로 주의력, 실행 기능 등이 손상되며 이들이 대면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이다. 셋째, 오류 유형의 빈도에 있어서는 모름, 무응답 등을 포함하는 그 외 오류를 제외하고는 알쯔하이머성 치매군과 파킨슨병 치매군 간에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두 치매군 모두가 시지각력 저하를 겪으며, 그러한 저하가 대면이름대기 과제 상에서 시각 오류의 출현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알쯔하이머성 치매군의 시지각력이 저하될수록 시각 오류의 빈도는 높아졌는데, 이를 통해 시각 오류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선행 연구에서와는 다른 각도로 검증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두 치매군의 시지각력은 대면이름대기 수행력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매군의 이름대기 장애를 중재할 때, 시각 자극의 지각적 수준을 쉽게 조절하면 이름대기 능력의 향상이 더 수월할 것이다. [영문]Evaluating the naming ability of patient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language assessment because naming impairments trigger circumlocution in patients and make them feel uncomfortable while speaking. Generally, confrontation naming involves three stages: the visual-perceptive stage, the semantic stage and the phonological output stage. Especially,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AD) may exhibit more errors at the visual-perceptive stage on confrontation naming tasks as the disease progresses. On the other hand, the nature of the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ith dementia(PDD) is not fully understood so far because their motor symptoms are more remarkable than their language impairment. However, the patients with PDD are investigated for impairment in visual perception like the patients with AD. Accordingly,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visual perception and confrontation naming abilities between patients with AD and patients with PDD by using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and to explore if the patients with PDD also exhibit visual errors on confrontation naming task like patients with AD. We also explored if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affects the confrontation naming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ith AD and 17 patients with PDD who were out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tient groups in age, education, gender and the dementia severity. We conducted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Forma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We further classified the patients' naming responses into four error types(visual, semantic, phonemic, miscellaneous errors) in order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naming performances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 perception abilities of the two dementia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people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e could confirm that the neuropathological changes of these two subtypes of dementia involve visual paths that analyze the form and shape of visual stimuli. Second, the patients with A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confrontation naming task than the patients with PDD. This is because patients with AD typically go through cortical dementia, which primarily includes memory dysfunction, while the patients with PDD typically show cognitive deficits in some domains such as attention, executive function. These characteristics make them called as subcortical dementia. Third, on the basis of qualitative analysis about the types of errors from the confrontation naming, the component ratio of error types of patients with PDD showed no difference to that of patients with AD. That is, the individuals with PDD showed visual errors on confrontation naming and accordingly, we can infer that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is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visual errors in confrontation naming tasks. Also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visual perception scores of the patients with AD had an effect on the ratio of visual error significantly, we could support the visual hypothesis that has been proposed from previous studies. We conducted this experiment and obtained these results by matching the age, education, gender, and the severity of dementia of the two different groups and using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Further study, however, is needed investigating the longitudinal deterioration of the task performan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application/pdf-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시지각력이 대면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on confrontation naming performance : Alzheimer's disease versus Parkinson's disease with dementia : 알쯔하이머성 치매와 파킨슨-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ek, Eun J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