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04

Cited 0 times in

일부 군 장병의 최고호기유량 관련 요인분석

Authors
 박성하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역학및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일부 군장병의 최고호기유량(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의 수준을 파악하고 최고호기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 소재 3개 부대, 서울 시내에 위치한 1개 부대 및 문산 근처의 1개 부대 등 수도권

지역 현역장병 740명이었다. 1998년 10월 14일부터 10월 20일까지 1주일간 각 개인의 생활 습관 중 흡연 및 음주 여부와 기간 및 양을 각각 조사하였다. 식이 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채소류, 등 푸른 생선, 육류 섭취 여부와 빈도 등을 조사

하였다. 혈압 측정은 군병원 병실 근무 경력이 1년 6개월 이상된 의무병을 선발하여 수은 혈압계 및 청진기를 이용하여 2회 측정 후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최고호기유량은 Mini-Wright Peak Flow Meter (Clement Clarke International Ltd, Harrow, U.K.)을 사용하여 3

회 측정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신장은 173cm, 평균체중은 65kg, 그리고 평균 군 복무기간은 14개월이었다. 연구대상의 최고호기유량의 평균은 522.6 (중앙값 520) ㎖/min이었고 표준 편차는 68.7㎖/min이었다.

2. 이변량분석에서 최고호기유량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p=0.0001), 본인이 인지하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p=0.02). 병과별로는 행정이나 의무병과에 근무하는 장병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흡연여부, 흡연량 그리고 흡연기간에 따라 최고호기유량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본인이 숨찬증상이 없다고 응답한 군이 있다고 응답한 군보다 최고호기유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2).

3. 다변량분석결과 신장이 1cm 클수록 2.12㎖/min증가하였고, 교육수준이 고졸에 비해 전문대 이상인 경우 12.6㎖/min 높았다. 또한 숨찬증상이 있는 경우15.8㎖/min 낮았다. 이밖에 최고호기유량에 수축기혈압, 육류섭취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

한 요인들은 연령, 비만도, 흡연 및 음주력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들은 장병들의 최고호기유량을 약 12% 설명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최고호기유량 관련 요인은 장병들의 폐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병들의 폐기능 증진을 위한 좀더 체계적인 연구가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특히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요인들의 원인-결과 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앞으로 전향적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영문]

The PEFR(Peak Expiratory Flow Rate) values were measured and the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in 740 military soldiers-three groups in Kyung-Gi Provincial, one group in Seoul, and one group near Moonsan city from 14 to 20 Oct. 1998, smoking and drinking habits, and diet habits. The vegetable, blue barked fish, meat intake were surveyed on the frequency and quantity level, etc., using the self-recording question card. Blood pressures were measured two times and averaged using a stethoscope and mercury manometer by paramedics with the experience over 18 months

in the military hospital wards.

The PEFR values were measured three times with Mini-Wright Peak Flow Meter (Clement Clarke International Ltd, Harlow, U.K.) and the highest values were chos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age of the survey group is 22 years with th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14 months averagely. The average PEFR value is 522.6 ㎖/min (Median 520㎖/min, S.D. 68.7 ㎖/min).

2. In the bi-variate analysis, the PEF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ell-educated persons with the higher self-recognition of health. Soldiers in the Medical or Administration class have the higher valu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smoking and non-smoking group. Persons who has answered "No" for the short breath have the higher value than the group answered "Yes".

3.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value was increased 2.12㎖/min by the 1 cm increment of height, and the better educated group - college graduate or higher - has the 12.6㎖/min higher value than the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group with

short breath has 15.8㎖/min lower value than the group without. Also it seems that the value is related with the systolic pressure, the meat intake. These factor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age, obesity, drinking, and smoking history. These

variables explain the 12 percent point increase in the value wish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se result can be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PEFR in military soldiers, and further study is needed. Also the 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PEFR should be elucidated by advanced stud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2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