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74

Cited 0 times in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보건소 직원의 인식분석

Authors
 남미숙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수립하고 있는 지역보건으료계획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보건소 업무에 효율적인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은 1997년부터 1998년까지의 제1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후 1999년부터 2002년까지의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중인 경기도 40개 보건소와 인천광역시 10개 보건소의 직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에서 제작한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작성 실무교재와 지역보건법을 참고로하여 본 연구자에 의해 작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간호학 교수 2인과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연구원 1인의 자문을 받아 내용을 검토 한 후 보건소 직원 8명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에서 제작한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작성 실무교재와 지역보건법을 참고로하여 본 연구자에 의해 작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간호학 교수 2인과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연구원 1인의 자문을 받아 내용을 검토 한 후 보건소 직원 8명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10월 19일부터 11월 3일까지 총 16일간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해당 보건소 직원들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질문지 110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배부하였으며 동봉한 반송봉토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배부한 100부중 85부가 회수되었으

나 결과분석이 곤란한 질문지 2부를 제외하여 최종 통계처리에 사용된 것은 83부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보건소 직원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의 분석은 SAS에 의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소 업무에 효율적인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을 위한 보건소별 실태조사결과 보건소 직원들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제1기에 비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건소장의 관심도 향상이 5점만점에 3.92점으로 나타났다.

2)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과 관련하여 보건소 직원의 86.7%가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실무교육을 보건소의 업무팀별 1명씩으로 확대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적당한 교육기간으로는 1주가 66.3%, 2주가 21.7%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보건소 업무추진에 있어 지역

보건의료계획이 중요성을 5점 만점에 3.95점으로 나타나 보건소 직원들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4년간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기간에 대해 보건소 직원의 57.8%가 계획기간이 길다고 응답하였으며 길다고 응답한 직원중 계획수립의 적당한 기간으로는 3년이 54.2%, 2년이 37.5%, 1년이 8.3%로 나타났다. 또한 연차별 계획서 제출에 대한 필요성 조사에서 보건소 직원들은 3점 만점에 1.75점으로 나타나 연차별 계획서 제출이 필요하지 않다고 나타났다.

4) 제2기 계획 수립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보건소 직원의 53%가 지역보건의료계획서의작성 서식이 너무많고 복잡하다고 하였으며, 실용적인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을 위하여서는 작성 계획성의 획일화된 서식개선의 필요가 34.9% 전문인력 확보 및 직원의 자질향상

이 33.7%로 나타났다.

5) 수립된 지역보건의료계획의 의회의결과 관련하여 보건소 직원의 54.2%가 의회의결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의결을 거치는 시간과 절차의 번거러움이 62.2%로 가장 높았다. 한편 의회의결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보건소 직

원은 458.8%였으며 의회의결이 필요한 이유로는 보건사업 예산 수립시 의회의결 용이가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한 때는 제1기 계획 수립때에 비하여 보건소장의 관심도와 보건소의 기획능력 면에서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서 작성과 관련하여 실시하는 실무교육은 보건소의 업무팀별 1명씩으로 교육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작성되는 계획서가 획일적이고, 서식이 사업을 특성없이중복하여 기술하게 하므로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계획의 의회의결과 관련하여서는 시간과 절차의 번거러움으로 행정력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으나 보건사업에 대한 홍보로 의원들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증가 및 보건사업 예산 수립시의회의결이 용이한 장점도 있으므로 의회의결 대신 의회보고 같은 방법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and its improvement on the general course of Local Public Health Plan which has been established by each self-governing community so that they can set up the effective Local Public Health Plan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Health Center as basic data.

The study population consists of 100 staffs from forty Public Health Center in Kyung-ki province and ten in wide area City of Inchon where the second Local Public health Plan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years of 1,999 to 2,002.

For the study method, a questionnaire was used, performed by reference of the second Local Public Health Plan and Local Public health Law which was offered from Korea Institute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The questionnaire Was evaluated with

the approval of eight staffs of Public Health Center for its validity, assisted by two nursing professors and one of Korea Institute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The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for 16 days from Oct.19,1997 to Nov.3. Among 100questionaries, 85 were collected, and only 83 were used for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AS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the current condition of each Public Health Center was examined to establish effective Local Public health Plan in the management of Public Health Center, the staffs seemed to think that the second plan had been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first. Under the plan, the interest of the chief in the Public Health Center went up to 3.95, and then the management efficiency 3.92.

2) In relation with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Plan, the 86.7% staffs agreed that there should be one staff from each team for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or the plan They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Local Public Health Plan as much as 3.95

total score out of 5. And also, to propel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Health management the plan afterwards is absolutely needed.

3) the 57.8% of the staffs said the planning period is too long for the four years Local Public health Plan period. Among them the proper period for the plan is considered as; 3 years(54.2%), 2 yearly planning is not necessary, for they got 1.75 total score out of 3 in terms of the yearly planning.

4) 53% staffs are complaining of the complicated instruction for the second planning. For the practical local plan, there should be uniformity of the instructions(34.9% staffs agreed), the secure of professionals and the efficient staffs(33.7%)

5) About the result of Congress, 54.2% staffs said, it is not necessary to wait because it takes too much time for its processing. So the expected troubles of proceeding is 62.2%,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45.8% staffs said the agreement

congress is necessary because the effects of the agreement is 44.7%, the highest in establishing up the budget for public Health Plan.

In conclusion, the second Local Public Health Plan has much improved in the chief's interest of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efficiency of planning than the time of the first. The education for the instruction of how to make the Plan is necessary so that one staff from each department of the Center can obtain the

chance of the education. Also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licated instruction, the uniformity of it is needed for the proper guidance. And for the result of congress it revealed the improvement of procedure is necessary due to its complicated processing.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