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85

Cited 0 times in

일부 고혈압환자들의 식염에 대한 인지도와 식염섭취량

Authors
 김남순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역학및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고혈압은 조기사망이나 신체장애의 발생위험들중 중요한 질병이며, 고혈압 치료 목적은 궁극적으로 심혈관계 합병증을 막아 이환율 및 사망률을 줄이는데 있다. 고혈압 환자에서 식염섭취제한은 혈압을 낮추고 항고혈압약물의 효과를 증가시킨다고 한다. 그러나 고

혈압 환자들의 식염섭취량에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하며 고혈압 환자의 식염섭취에 대한 인지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고혈압환자들의 식엽섭취감량을 위한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1998년 6월부터 8월까지 광명성애병훤과 광명시보건소의 고혈압 환자중심혈관계 합병증이 없으며 6주이상 같은 항고혈압 약물을 사용하였고 소디움 배설에 영향을 주는 다른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면서 신기능이 정상인남자환자 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신장기능 검사, 의무기록을 통한 자료수집을 했고 식염섭취량은 24시간 소변내 소디움배설량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24시간 소변내 소디움배설량은 233.1±97.1mmol이었고 이를 식염섭취량으로 환산하면 13.6±5.7g이었다. 포타슘 배설량은 60.8±25.6mmol, 소디움/포타슘배설량비는 4.3±1.8로 나타났다. 연령, 월소득, 교육수준, 유병기간, 비만증, 건강관리행위 및

항고혈압 약물의 종류와 24시간 소변내 소디움 배설량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식염섭취도에 대한인지도에서 '짜게 먹는다'고 한 사람이 48.3%로 가장 많았고 24시간 소변내 소디움 배설량과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24시간 소변내 소디움 배설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현재혈압과 고혈압 진단전후를 비교한 식염섭취행위변화 유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본 연구대상자들의 식염섭취량은 정상인에 비해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현재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 사람들은 식염섭취를 제한하고 있었다.

앞으로 우리나라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식염과 혈압에 관한 많은 연구가 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고혈압 환자들이 식염섭취감량을 할 수 있도록 식염섭취실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인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순응도향상을 위해서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야 할 것이다.



[영문]

Hypertension is the major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Dietary salt restriction is an initial therapeutic approach for patients with un uncomplicated hyper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lt intake and prceptions that some Korean hypertensives have about salt.

Among subjects with uncomplicate essential hypertention who had been registered at Kwayungmyung Sung-ae Hospital and Public health of Kwayungmyung city, 60 men who had not changed antihypertensive drugs for 6 weeks were entered into study from

June '1998 to August '1998. Daily 24-hour urine collections were obtained for measurement of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Other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 anthropometric measurement, laboratory data and medical chart.

Urinary sodium excretion was 233.1±97.1 mmol/24h and urinary potassium was 60.8±25.6 mmo1/24h. In this study,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was not associated with age, duration of hypertension, economical status, education level, health behaviours and antihypertensive drugs. To the question "How much salt do you eat compared to normal people?" 48.3% of subjectives answered "more". Blood pressure and the perception of change of salt intak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24-housed urinary sodium.

In this study I concluded that 24-houred urinary sodium of the subjects was not higher than normal persons. The perception of salt intake was incorrect but the perception of change of salt intake was relatively reliable marker of salt intake.

Furthermore, the subjects with well controlled blood pressure had less salt intake than the subjects with uncontrolled blood pressure. As a follow-up measure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medical staff continously monitor and give feedback to correct the amount of salt intake of hypertensives. I hope one will develop new program for law salt intake and lead to moderate reduction of salt intake in hypertensive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