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7 748

Cited 0 times in

간호사의 의료분쟁대비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demands to prepare for medical disputes among nurses 
Authors
 한현희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보건의료법윤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사회 및 경제적 변화에 따라 전 국민 의료보험이 실시되었으며 그에 따른 의료 인력도 빠르게 증가 하였고 생활의 여유가 생기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의료사고와 분쟁의 위험성 또한 더불어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간호업무영역에 있어서의 간호 업무와 관련된 분쟁에 대한 경험과 관련교육의 요구도를 분석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서울소재 A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4월 16일부터 2008년 4월 27일까지 12일 동안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chi-square test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분쟁 건수는 91건이며 전체 대상자중 29.3%가 간호업무관련 분쟁을 경험하였고 이중 3.4%는 5건 이상 분쟁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분쟁의 진행결과를 모르고 있었다. 대상자들의 20.2%가 환자 측으로 부터 위기감을 느꼈으며 언어폭력이 가장 많고 난동행위와 신체적 위해를 겪은 경우도 각각 61.9%와 50%이고 대상자들이 분쟁 후 조언을 구한 곳은 주위동료나 선배, 상급관리자 순이었다.

둘째, 대상자들 중 학부와 졸업 후 의료인의 법적의무와 분쟁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거나 2시간 이하인 경우가 41.5%와 77.3%로 조사되었고 대부분 교육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분쟁 해결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의료인의 법적의무와 의료분쟁에 대한 예방 및 관련교육의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육 방법 및 내용으로 학부 4년 동안 의료관계 법규 및 의무에 대한 교육을 바탕으로 학부 1,2 학년 때는 의사소통 방법과 윤리,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학부 3,4 학년은 판례경향 및 분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졸업 후에는 의료관계법규, 의료 법규상의 의무, 최근 판례경향 및 분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분쟁발생은 근무부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위와 근무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분쟁경험에 따른 의료분쟁에 대한 부담감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육필요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울소재 한 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전체로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간호업무 관련 분쟁이 의료분쟁과 달리 특수과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분쟁이 발생한 경우 의료인을 보호하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곳이 요구되며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분쟁관련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교육내용으로 의사소통 방법과 윤리, 인성교육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 시키는 것이 의료인으로서 가치관이 형성되는 학부교육의 기초가 되어야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판례경향 및 분석을 통한 실제적인 사례 교육으로 보완한다면 간호업무관련분쟁 예방에 한걸음 나아간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nationwide medical insurance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which has in turn rapidly multiplied the size of medical staff. As people lead a richer life and take more interest in their health, the risk of medical incidents and disputes has also increas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nurses' experiences with nursing-related disputes and their demands for related education and to provide data needed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m.

A survey was taken among 208 nurses working for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or 12 days from April 16 to 27, 2008. Using the SAS 9.1 program,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hi-square test.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disputes was 91. Among the subjects, 29.3% experienced nursing-related disputes, and 3.4% of them underwent five or more disputes. Most of the subjects were not aware of the progress of their disputes. In addition, 20.2% felt a crisis because of the patients, and 61.9% and 50% suffered from their violent acts or physical harm caused by them, respectively, with the biggest portion of them dealing with verbal violence. The nurses consulted their colleagues, predecessors, and supervisors in the order with respect to their disputes.

Second, 41.5%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the legal duties and disputes of medical personnel in college or after graduation, and 77.3% received two hours of such education or less. Most of them felt the education was not enough and far from helpful in the resolution process. And they voiced their opinions about prevention education regarding the legal duties and medical disputes of medical staff and the related education.

Third, as for th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ey said that education about communication methods, ethics, and personality should be provided to freshmen and sophomores and education about precedent trends and analyses to juniors and seniors based on the fundamental education about the laws and duties of medical relations.

And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pute occurrences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positions and career. While a sense of burden for medical disputes according to the dispute experiences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a need for education did not.

Although it'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investigated the case of a hospital in Seoul, the results do offer important insights that nursing-related disputes were not concentrated on certain departments unlike medical disputes, that there should be places medical staff can go to for protection and consultation in case of a dispute, and that most of the nurses felt a definite need for dispute education. Furthermore, the basis of undergraduate education should be the desirable values for medical staff through education about communication methods, ethics and personality. When such education is accompanied by practical case education through precedent trends and analyses, they will be one step closer to the prevention of nursing-related disputes.
Files in This Item:
T01054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