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1 434

Cited 0 times in

확률론적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 조기검진 전략

Other Titles
 Development of cancer screening strategies in Korea : based on stochastic process 
Authors
 정성화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위암, 대장암,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권고안을 바탕으로 검진주기 및 검진연령 변화에 따른 다양한 검진전략들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비용-효과 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통하여 비용-효과적인 대안을 찾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중앙암등록본부의 2002년 악성종양의 원발 부위에 따른 연령별, 성별분포 자료와 Lee와 Zelen(1998)에 의해 제안된 확률론적 모형을 이용하여 고려된 검진전략의 검진의 민감도(schedule sensitivity)와 검진대상 집단 내에서 무증상 상태에 있는 암 환자를 발견할 확률(detection probability) 및 검진비용을 추정하여 비용-효과 분석을 시행하였고,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통하여 제안된 검진전략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위암 검진의 경우는 남녀 모두 45세부터 75세까지 매 3년마다 위내시경 검사(endoscopy)를 받는 검진전략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대장암 검진에서는 대변잠혈반응검사(fecal occult blood test)를 이용할 경우는 55세부터 75세까지 2년 주기의 검진전략이, 대장내시경 검사(colonoscopy)를 이용할 경우는 55세부터 65세까지 10년 주기의 검진전략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장내시경 검사보다는 대변잠혈반응검사를 이용한 검진전략의 효율성이 더 높았다. 또한 유방암 검진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35세부터 65세까지 매 3년마다 유방촬영술 검사(mammography)를 받는 검진전략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자궁경부암 검진에서는 자궁경부세포검사(pap smear test)를 이용한 35세부터 65세까지 3년 주기의 검진전략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민감도 분석에서도 각 검진전략의 효과와 비용을 추정하는데 사용된 모수의 변화에 상관없이 제안된 검진전략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주요 암 조기검진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확률과정론에 근거한 접근방법은 새로운 조기검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어 이론적으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cost-effectiveness screening strategies for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in Korea.

We calculated the age-specific cancer incidence rate from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2003), and then estimated the schedule sensitivity, detection probability, and screening and confirmative costs of each screening strategy based on the stochastic process(Lee and Zelen, 1998). The efficiency of the screening strategy was evaluated by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gastric cancer was endoscopy every 3 years between the age of 45 and 75 years. In the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was biennial fecal occult blood testing from age 55 to 75 years, and colonoscopy every 10 years was also cost-effectives strategy among ages 55 to 65 years. Mammography screening every 3 years from age 35 to 65 years was the most cost-effectiveness strategy for female breast cancer screening.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was every 3 years pap smear test between the age of 35 and 65 years in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valuate efficiency of cancer screening strategies, an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early detection of cancer in Korea.
Files in This Item:
T01050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2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