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256

Cited 0 times in

일개 종합병원 성인중환자실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균집락의 위험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신영-
dc.date.accessioned2015-12-24T10:06:51Z-
dc.date.available2015-12-24T10:06:5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84-
dc.description감염관리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병원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위장관계 집락화가 주된 선행요인으로, 환자가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에 집락화되면 환자의 위장관내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면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감염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병원감염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무증상 보균상태로 존재하면서 주위환경을 오염시키고 의료진의 손이나 병원내 오염된 의료 기구에 의해 다른 환자나 의료진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균집락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환자실 입원환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 감시배양(active surveillance culture)을 시행하여, 중환자실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유입률과 획득률을 파악하고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예방을 위한 관리지침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적극적 감시배양은 2006년 4월 1일 부터 2007년 3월 31일(2006년 7월 제외) 까지 경기도 소재 I시의 일개 대학병원 신경외과와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입실 24시간 이상 48시간 내에 모든 입원 환자의 직장 도말 검사를 실시하고 음성인 환자는 매주 2회 중환자실 퇴실 시까지 배양검사를 반복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균집락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의무기록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기타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5.0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에 대한 두 군간의 차이는 χ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사용한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단변량 결과 유의한 변수에 대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증은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과 중환자실과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수는 총 1,567명 이었으며, 이 중 967명(61.7%)에게 적극적 감시배양을 실시하였다. 중환자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유입률 2.5% 이었으며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획득 발생률은 1.8% 였다. 2)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획득된 17명 환자에게 분리된 반코마이신 내성 장 구균은 모두 E. faecium 이었으며 17건 모두 적극적 감시배양에서 분리되었으며 타부위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이 동반되지 않은 보균환자였다. 3)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환자의 위험요인으로 단변량 결과에서는 연령이 많은 경우, 질병의 위중도가 높은 경우, 1년 내 병원 입원력, 중심정맥 도관, 기관 지내 삽관, 인공호흡기, 위장관 영양을 받은 경우, 유치도뇨관 삽입 기간, 기관지 내 삽관 기간, Ampicillin/Sulbactam, 3rd Cephalosporins, Carbapenem 계열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세 가지 이상의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패혈증 포함한 감염질 환이 있는 경우로 분석 되었다. 4)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환자의 위험요인으로 다변량 분석 결과 패혈증 포함한 감염질환이 있는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13.20배(OR=13.20; 95% CI=1.12-155.78, p=0.01), 기관지내 삽관 사용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4.18배 (OR=4.18; 95% CI=1.30-13.42, p=0.04)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을 획득할 위험이 더 높았다. 5) 2006년 4월부터 2007년 3월까지 감시 배양을 통해 17건의(재원환자 1,000일당 3.43건) 중환자실에서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 환자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 까지는 임상검체를 통해서 4건의 (재원환자 1,000일당 0.79건)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환자를 발견 할 수 있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에 감염관리 효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적극적 감시 배양과 함께 감염관리 세부지침의 이행도와 이에 따른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획득률을 파악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영문]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is one of major pathogens of nosocomial infection and is known to be transmitted among patients through medical staff's hands, contaminated medical instruments and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rectal colonization of VRE among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o study the risk factors for nosocomial acquisition of VRE, and to obtain the baseline date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VRE infection within the hospital. Active surveillance for VRE by rectal culture was performed at ICU admission during 11-month period. Patients who stayed in the ICU for more than 48hours had rectal cultures performed twice weekly and at discharge form the ICU,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Data collected for all study patient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spitalization history during past 1 year, usage of antibiotics, device in ICU and APACHE II score. In statistical analysi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riables found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through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During the study period, 967 (61.7%) of 1,567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had an admission rectal culture performed. On admission, 2.5% of patients were colonized with VRE. During hospitalization, 2.48% of patients had acquired VRE. 2. Seventeen patients were found to be colonized with VRE(E. faecium), but there were no patients with VRE infection during the study period. 3. In univariate analysis, age, APACHE II score, previous history of hospitalization with 1yrs , using a central catheter, endotracheal tube, ventilator, enteral feeding, duration of urinary catheter, endotracheal tube, using a 3rd Cephalosporins, Carbapenem, three or more kinds of antibiotics, presence of acute infection with sepsis were found significant for VRE acquisition. 4. In multivariate analysis, presence of acute infection with sepsis (OR=13.10; 95% CI;1.12-155.78, P=0.01) and using a endotracheal tube (OR=4.18, 95% CI;1.30-13.42, P=0.04)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VRE acquisition. 5. VRE acquisition rates were 0.79 cases per 1,000 patient-days at baseline period (30 April 2005 - 31 March 2006) to 3.43 cases per 1,000 patient-days at study period (30 April 2006 - 31 March 2007). Therefore, active surveillance culture is important for identifying hidden reservoirs of V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argeted active surveillance cultures of patients on high-risk hospital uni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일개 종합병원 성인중환자실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균집락의 위험요인-
dc.title.alternative(The) risk factors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acquisition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