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0 810

Cited 0 times in

의료급여1종 수급권자에 대한 외래 본인부담제 도입이 의료이용 및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s of implementing outpatient cost-sharing system to medicaid type 1 recipient on the health utilization and 
Authors
 김영옥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한 의료급여1종 수급권자의 외래진료에 대한 본인부담 도입 전후 1종 수급권자의 의료이용 및 비용을 비교분석하여 본인부담도입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동제도가 갖는 의미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외래진료에 대한 본인부담도입 전인 2006년 10월과 도입 후인 2007년 10월 진료 분에 대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된 보건기관 및 의원급 이상의 의료급여 전산청구명세서 중 본인부담면제대상을 제외하고 양 시점 모두에서 의료급여1종 청구실적이 있는 수급자의 명세서 전수인 1,323,054건(404,7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도 시행 전후의 의료이용과 진료비를 비교하기 위해 환자특성별, 의료기관특성별로 t검정으로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월간 건당 평균 외래 방문일수 및 진료일수는 2.87일에서 2.15일, 4.95일에서 3.83일로 각각 25.09%와 22.63% 감소하였고 월간 건당 평균외래진료비 및 원외처방약제비도 50,762원에서 40,085원, 50,957원에서 42,238원으로 제도 시행 후 각각 21.03%와 17.11% 감소한 결과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외래 본인부담도입이 본인부담이 없는 입원진료 및 보건기관으로의 이동을 야기하였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월간 건당 평균 입원일수와 입원진료비 및 보건기관의 외래 의료이용과 진료비의 변화도 함께 관찰한 결과 입원일수 및 입원진료비는 15.53일에서 15.16일, 1,205,390원에서 1,110,799원으로 각각 2.38%와 7.8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입원일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보건기관의 외래 방문일수 및 진료일수는 1.35일에서 1.32일, 8.03일에서 7.96일로 각각 2.22% 와 0.87% 감소하였으나 방문일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외래진료비는 12,914원에서 12,720원으로 1.51%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원외처방약제비는 20,472원에서 22,435원으로 9.59%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다른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제도시행이 의료이용 및 진료비에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제도시행이 외래방문일수와 진료일수 및 외래진료비와 원외처방약제비 감소에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나 본 연구의 모형으로 제도시행의 효과라고 설명할 만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므로 확고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으나 제도시행이 의료급여재정절감측면에서는 그 효과성이 인정된다고 해석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 시행이후 외래 의료이용과 진료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본인부담 도입 외에 파스류의 급여제한, 사례관리 강화 등 여러 정책이 동시에 실시되어 여러 정책이 동시에 실시되어 본인부담도입만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좋은 정책이란 제도시행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바 향후 새로운 제도를 시행할 때에는 제도시행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되며, 제도시행이 본인부담 능력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들이 의료기관 이용이 필요함에도 경제적인 이유로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제한받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실시하지 못한 의료급여 수급자들의 경제적 수준과 의료의 필요성 및 접근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의료급여 재정의 안정화 속에서 의료급여 대상인 저소득층이 적정부담으로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뒷받침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며, 동 제도시행의 영향이 충분히 나타나는 기간을 대상으로 주사료, 이학요법료, 처치 및 수술료 등 항목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설명력을 높일 수 있는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의료이용 및 비용 변화와 의료기관의 진료행태 변화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outpatient Cost-Sharing system to Medicaid type 1 recipient since July 2007. Also the study included the analysis of the utilization, expendi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ions, by focusing upon a total of 1,323,054 claims(404,745 patients) among the electronic bills from health center and those above the level of medical clinics, submitt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HIRA) for medical treatments in October 2006 and October 2007,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outpatient Cost-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verage days of visiting medical institutions and treatment per month by the recipient per case were reduced from 2,87 to 2.15 (25.09%) and from 4.95 to 3.83 (22.63%) respectively the treatment fee and medicine fee per case prescribed externally per month were reduced from 50,762 won to 40,085 won (21.03%) and from 50,957 won to 42,238 won (17.11%) respectively.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order to figure out if the new system introduction has diverted the patients to the admission and health center in which there is no fee for the patients, I have also surveyed the change in the average hospitalized days and expenditure, diagnosis/treatment expense per month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recipient us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expense for their treatment of the health center. Hospitalized days and diagnosis/treatment fee were reduced from 15.53 days to 15.16 days (2.38%) and from 1,205,390 won to 1,110,799 won (7.85%) respectively. The change in hospitalized day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utpatients’ visiting days and diagnosis/treatment days of the health center changed from 1.35 days to 1.32 days (2.22%) and from 8.03 to 7.96 (0.87%) days respectively. Outpatients’ diagnosis/treatment expense changed from 12,914 won to 12,720 won (1.51%), which was not significant re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medicine fee prescribed externally showed an increase from 20,472 won to 22,435 won (9.59%),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ot including other elements, I hav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the new system may have influenced like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diagnosis/treatment expense The outcome revealed that the new system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atients’ visiting-medical-institution days, diagnosis/treatment days, and the expense of medicine prescribed externally. Such change did not have explanatory force to be named a model of this study, but we can say that the new system introduction has been effective in terms of economizing the expense of medical care.

This study revealed that outpatients’ us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ir diagnosis/treatment expense have been significantly reduc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Along with the cost-sharing system introduction, other policies like limited medical care to pain-relieving patches, stricter case review, etc have been practiced simultaneously. Therefore, it is hard to tell the effect of cost-sharing system alone. A good policy requires accurate assessment in advance. So in the future, a policy has to be practiced step by step on the basis of accurate advance assessment. We need to take steps with this new system so that the Medicaid type 1 recipients who are relatively more burdened by the new cost-sharing system can not limit their visiting medical institutions just because of economical reasons. Besides, I hope the low income class people can get quality medical service with appropriate cost sharing based on stabilized medical care fund as a result of wide-range study on the economical level of Medicaid recipients, their need for medical service, their access to medical service, etc, which this study could not deal with. I also hope that by the time when this new system has full effect we will be able to conduct deep study on the change in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s by Medicaid recipients, their medical care expense, treatment type of medical institutions, etc along with detailed analysis on injection fee, physical therapy fee, first aid fee, operation fee, etc applying a more explanatory analysis model.
Files in This Item:
T01035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