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4 1370

Cited 0 times in

관상동맥 우회술 후 자가 통증조절방법이 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우진-
dc.date.accessioned2015-12-24T10:04:47Z-
dc.date.available2015-12-24T10:04:4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105-
dc.description중환자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수술 후 통증에 대하여 다양한 통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수술 환자의 50 -75%가 통증 관리에 만족하지 못하며, 특히 수술 후 24시간 동안 수술 환자의 64 - 90%가 심한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수술 후 통증 및 심리적 반응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산소 소모량의 증가, 심호흡 및 적극적인 기침 방해로 인한 폐활량 및 기능적 잔기량의 감소 , 호흡기계 분비물의 배출 방해, 심혈관계 합병증, 폐 기능의 악화, 도덕성 쇠퇴 등의 정신 심리적인 부작용 및 회복지연을 초래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심혈관계 합병증은 수술 후 사망과 유병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심혈관 수술중의 하나인 관상동맥 우회술 후 자가 통증조절방법으로 인한 통증관리가 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수술 후 자가 통증조절장치의 효과로 환자들에게 시각적 아날로그(Visual Analog Scale)를 사용하여 통증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신체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혈압, 맥박의 측정치를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추가로 사용된 진통제의 용량, 중환자실의 체류기간 및 퇴원까지의 재원일수를 비교, 분석하였다.연구 설계는 200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소재 Y병원의 흉부외과 중환자실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자가 통증조절방법의 사용유무를 구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별한 뒤 각각의 그룹에서 30명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sion 12.0)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t-test로 검증하였다.연구 결과는 통증의 경우 수술 후 8시간, 24시간, 48시간의 세 시점에서 측정한 통증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술 후 마취에서 회복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추가로 투여된 진통제 용량은 자가 통증조절장치를 사용한 그룹이 morphine, pethidine의 사용량이 작았으며 중환자실의 체류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퇴원까지의 재원 일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관상동맥 우회술 후 환자는 수술 후 통증을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스스로 통증이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심호흡 및 기침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또한 마약성 진통제의 추가 투여량을 줄여 그로 인한 합병증도 줄 일 수 있었다. 따라서 관상동맥 우회술 후 자가 통증조절방법은 수술 후 적절한 통증관리의 방법이라고 말 할 수 있고 이는 환자의 빠른 회복도에 영향을 미쳐 재원 일수의 단축 및 의료비 절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oracotomy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ainful surgical procedures.Thus optimal pain control is essential in the postoperative care of thoracotomy patients. Pai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sponsible for ineffective ventilation and cough in patients undergoing thoracotomy.Due to severe pain after open thoracotomy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is essential to decrease pulmonary complications, and improve a patients recovery.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s widely used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ical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n postoperative patients,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To compare the effect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60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were chosen randomly. They underwent pain management with either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r intermittent intravenous opioid regimen. Pain intensity(VAS),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additional used of opioid dos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ere measu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postoperative 48 hours after measurement of preoperative baseline values. Comparisons were then made between the two groups and among individuals within each group.Data were of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of multiple comparison using the SPSS 12.0 program.IV-PCA improved postoperative pain relief, but did not suppress efficiently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IV-PCA group did small dose of opioid than intermittent intravenous opioid regi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urations of their ICU stay but IV-PCA groups is shorted their hospital stay than ones.The use of PCA provided better pain relief o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관상동맥 우회술 후 자가 통증조절방법이 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n patients with coronary bypass grafting surger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o J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