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 460

Cited 0 times in

경제위기시의 실업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Unemployment and mortality during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in Korea 
Authors
 김형렬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본 연구에서는 경제위기시기에 실업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보여준 거시지표를 이용한 생태학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실업이전 시기의 건강자료를 조사하여 이의 영향을 배제한 후에도 실업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적 경제위기상황에서 실업과 사망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의 한 건강진단기관에서 1996년도에 건강진단을 받은 31,12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업은 고용보험자료를 이용하여 실업급여를 수급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실업군과 고용유지군의 사망원인을 비교하기위해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실업군과 고용유지군간의 실업 이후 4년의 관찰기간 동안 사망의 발생 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업군을 실업급여 수급 시기에 따라 다시 4개 군으로 구분하고, 각각 고용유지군과 비교하여 사망에 대한 위험비(relative risks)를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때 남녀를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군의 암, 심장 및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이 고용유지군에 비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실업군에서 실업이후 4년간의 사망이 연령, 성, 질병유무의 영향을 배제하고도 고용유지군에 비해 1.80(95%CI 1.38 - 2.36)배 높았다. 셋째, 여성에 있어서는 1998년도 실업군의 사망이 연령, 질병유무의 영향을 배제하고도 고용유지군에 비해 2.28(95%CI 1.16 to 4.73)배 높았다. 남성에 있어서는 1998년도 실업군의 사망이 1.71(95%CI 1.27 - 2.31)배, 1999년도 실업군의 사망이 1.99(95%CI 1.31 - 3.03)배 높았다.본 연구를 통해 경제위기시에 개인의 성, 연령, 건강상태의 영향을 배제하고도 실업의 경험이 사망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unemployment on mortality during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in Korea.Study subjects were 31,127 workers who received the worker's health examination in a occupational health clinic in Incheon, Korea in 1996.Workers who received benefits from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were defined as unemployed group.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causes of death between unemployed and employed group,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unemployment on mortality. Unemployed group was divided into 4 subgroups according to the year of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1997-2000), and relative risk for mortality was calculated to compare each subgroup with employed group by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mortality by cancer,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in unemploy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employed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mortality during the first 4 years after being unemployed in unemployed group was 1.80 times higher than that in employed group even after the effect of age, sex and health status were adjusted. Third, female mortality in 1998-year subgroup was 2.28 times higher than that in employed group after the effect of age and health status were adjusted. Male mortality in 1998 and 1999-year subgroup were 1.71 times and 1.99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that in employ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employment during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increased mortality in Korea.
Files in This Item:
T00932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9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