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6 761

Cited 0 times in

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 및 만성폐쇄성폐질환과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후연-
dc.date.accessioned2015-12-24T10:00:59Z-
dc.date.available2015-12-24T10:00:5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956-
dc.description보건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배 경: 최근 수십 년 동안 사망률은 전체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대표적 호흡기계질환으로서 향후 감염성 질환의 감소,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흡연의 증가로 인해 질병의 사회적 부담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질병에 비해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건강의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 지표들 간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많이 부족하다.목 적: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주관적 건강수준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이용하여 알아보고, 사회경제 지표들 간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방 법: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그리고 한국산업안전공단이 공동으로 시행한 폐기능검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40세 이상 총 4,448명 중 폐기능검사는 2,217명(49.8%)이 완료하였다. 사회경제적 수준은 교육, 직업, 소득의 세 가지 주요 지표를 이용하였고,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로 정의하였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결 과: 교육, 직업, 그리고 소득수준에 따라 주관적 건강수준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에 차이가 있었다.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고- v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은 높았다. 사회경제 지표들 간의 관계는 교육, 직업, 소득의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지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여성의 경우 교육과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 불평등 정도가 남성보다 컸다.결 론: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사회경제 지표들은 직접적으로 또는 상호 의존적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경제 지표들은 각 지표들 나름대로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 대체적이지 않다. [영문]Context: Socioeconomic differences have been shown to exist for a number of diseases including ischemic heart disease, many types of cancer, respiratory diseases. In addition, despite a general fall in mortality during recent decades, the relative disadvantage of low socioeconomic status continues to increase.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on socioeconomic factors and mortality is increasing sharply in Korea but, although there are indicators that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respiratory diseases are greater still, ver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disease entity. Many previous studies o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have neglected the causal interdependencies between different socioeconomic indicators.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on development of health inequality assessing self-rated health and chronic pulmonary obstructive disease(COPD) and the pathways between thre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ill health.Design, setting, and participants: Cross sectional survey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prevalence study of COPD in 2001 were use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448 adults over the age of 40 years. The participation rate was 49.8% for spirometry. Socioeconomic indicators were education, occupational class, and household income. Health indicators were self-rated health and prevalence of COPD. Inequality indices were calculated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Main results: Each socioeconomic indicator showed a clear gradient with self-rated health and COPD except occupation indicator among women. Among men a large part of inequalities in self-rated health by education were mediated through occupational class and household income. Inequalities by occupational class were largely explained by education. Half of inequalities for income were explained by education and occupational class. The pathways for COPD were broadly similar.Conclusions: Socioeconomic differences have been shown to exist for self-rated health and COPD. Parts of the effects of each socioeconomic indicator on health are either explained by or mediated through other socioeconomic indicators. Analyses of the predictive power of socioeconomic indicators on health run the risk of being fruitless, if interrelations between various indicators are neglect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사회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 및 만성폐쇄성폐질환과의 관계-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c.typeThesis-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localIdA0334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oo Ye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Lee, Hoo Yeo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