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29 1827

Cited 0 times in

백혈구 수치가 심·뇌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white blood cell count on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uthors
 윤수진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이 연구에서는 백혈구 수치가 심·뇌혈관 질환 발생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1년 동안 추적된 한국인 암 예방 연구(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 KCPS) 코호트 자료, 446,878 명을 분석하였다.질환자의 발생 확인은 설문지 응답 및 입원자료를 근거로 하였고, 사망 확인은 통계청의 신고 자료에 근거하였다. 백혈구 수치를 4분위 구간으로 나누어 <5,500(Q1), 5,500-6,499(Q2), 6,500-7,599(Q3) ≥7.600×106(Q4) cells/liter 로 구분하였고, <5,500(Q1)을 기준 군으로 분석하였다. 연령, 비만, 총콜레스테롤, 혈압, 공복혈당, 당뇨병, 고혈압, 음주, 흡연, 운동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백혈구 수치의 증가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 위험도 증가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당뇨병과 백혈구 수치의 상호 작용이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효과수정(effect modification)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11년의 추적 결과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은 7,925명(2.83 %)이었고 이 중 남자가 907명(0.32 %), 여자가 7,018명(2.51 %)이었고, 심·뇌혈관 질환의 사망은 4,561명(1.63%) 이었으며 그 중 남자가 862명(0.31%), 여자가 3,699명(1.32%) 이었다.백혈구 수치와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알아보기 위해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에 의하여 비교위험도 값을 분석한 결과, 백혈구 수치가 가장 낮은 기준군(Q1)에 비해 백혈구 수치가 가장 높은 군(Q4)에서 심·뇌혈관 질환에 의한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다. 각각의 발생 위험도를 살펴보면 남자에서는 전체 심·뇌혈관 질환 10%, 심근경색증 74%, 허혈성 심질환 10%, 전체 뇌졸중 16%, 출혈성 뇌졸중 17%, 혈전성 뇌졸중 19% 씩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전체 심·뇌혈관 질환 14%, 심근경색증 54%, 허혈성 심질환 23%, 전체 뇌졸중 17%, 출혈성 뇌졸중 10%, 혈전성 뇌졸중에서 23% 씩 증가하였다.심·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에 대한 분석 결과, 백혈구 수치가 가장 낮은 기준군(Q1)에 비해 백혈구 수치가 가장 높은 군(Q4)에서 심·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이 증가하였다. 남자에서는 비교위험도가 질환별로 각각 72%, 40%, 59%, 67%, 73%, 72% 씩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31%, 69%, 75%, 22%, 0%, 41% 씩 증가하였고, 남자는 뇌혈관질환에서 여자는 심혈관질환에서 사망 위험이 더 높았다.연구 시작 당시 건강인에서 추후 뇌혈관질환 발생 후 백혈구 수치를 통한 사망을 예측하고자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비교위험도를 구한 결과 백혈구 수치가 가장 낮은 기준군(Q1)에 비해 백혈구 수치가 가장 높은 군(Q4)에서 심·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 예후위험이 증가하였다.당뇨병과 백혈구 수치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발생 위험을 보면 남자는 출혈성 뇌졸중에서, 여자는 전체 뇌졸중과 혈전성 뇌졸중에서 당뇨병과의 상호 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당뇨병과 백혈구 수치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보면 남자에서 심근경색증이나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등의 모든 질환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여자에서 심근경색증과 허혈성 심질환에서 당뇨병과의 상호 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당뇨병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은 백혈구 수치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더 높고, 이와는 달리 사망 위험은 백혈구 수치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당뇨병과 백혈구 수치의 상호 작용 결과 허혈성 심질환 발생자에서의 사망률은 백혈구 수치 기준군에 비하여 당뇨병이 있고 백혈구 수치가 높은 경우 남자는 1.51배이었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여자는 2.20배로서 백혈구 수치와 당뇨병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백혈구 수치의 증가는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과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고, 또한 심·뇌혈관 질환 발생이후의 사망 예후 위험을 높이며, 당뇨병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특히 여성에서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과 사망 위험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The role of white blood cell count(WBC) as a predictor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ASCVD) risk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blood cell count and risk of ASCVD in Koreans.11-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of 446,878 Koreans (116,391 men and 330,487 women) aged 40-over years were carried out. They received health insurance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had a biennial medical evaluation in 1992-1995. They follow up to 11 years from death of ASCVD or hospital admission for ASCVD. We estimated relative risk of incidence and death, 95% confidence interval(CI), effect modification of interaction between white blood cell count and diabete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Cox models were adjusted for age, BMI,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diabetes, alcohol, smoking, exercise.During the 11 years of follow-up, the incidence of ASCVD were 7,925(2.83%) from 446,878, 907(0.32%) in men and 7,018(2.51%) in women. The death of ASCVD were 4,561(1.63%) from 446,878, 862(0.31%) in men and 3,699(1.32%) in women. In Both men and women, compare with lowest quartile of white blood cell count (<5,500 ×106cells/liter), the highest quertile of white blood cell count (≥7.600×106cells/liter) had higher risk of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ASCVD. There was interaction on relationship of incidence between hemorrhagic stroke and diabetes in men (p<0.05), and between total stroke and thrombotic stroke and diabetes in women (p<0.05). There was interaction on relationship of death between myocardial infarction and ischemic heart disease and diabetes in women (p<0.05).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white blood cell count and ASCVD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white blood cell count and diabetes. White blood cell count predicts morbidity and mortality in ASCVD independently related other risk factors.
Files in This Item:
T00911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9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