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9 618

Cited 0 times in

알코올 중독 관련 주종 및 주종별 알코올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Authors
 신성식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음주인구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알코올로 인한 폐해도 크지고 있다. 음주로 인한 대표적인 폐해가 알코올 중독자이다. 현재 알코올 중독에 관한 정확한 통계가 없다. 정부에서 350만명 정도로 추정해 사용할 뿐이다. 알코올 중독을 야기하는 술이 어떤 것인지, 어떤 술이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을 많이 발생시켰는지 조사한 적이 없다.알코올 중독자 600명을 설문조사해 중독을 야기한 술이 어떤 것인지를 조사했다. 국세청과 관세청의 자료를 활용해 2003년 국내 주류 공급량과 순수 알코올 공급량, 주종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의 비율을 산출했다.그 결과 알코올 중독자의 85.9%가 치료 서비스를 받기 한 달 전에 가장 많이 마신 술로 소주를 꼽았다. 맥주는 6.6%에 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탁주, 양주 등이었다.알코올 중독자들의 44%는 소주를 많이 마시는 이유로 값이 싸고 빨리 취해서라고 답했다. 입맛에 맞아서 소주를 마신다는 사람도 35.1% 였다. 구하기가 쉬워서라고 답한 사람은 7.1%, 주변에서 많이 마시기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은 6.2% 였다.소주를 마시다 알코올 중독자가 된 사람 중 42.7%가 월소득이 100만원을 밑돌았다. 101만~200만원인 사람은 33.4% 였다.2003년 기준으로 주종 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을 조사했다. 이를 산출하기 위해 먼저 주종별 알코올 공급량부터 조사했다. 2003년 국내에서 생산됐거나 수입된 알코올은 314만㎘로 맥주가 60.9%, 소주가 29.6%, 탁주와 약주가 6.02%, 위스키 1.2% 였다.술에 들어있는 알코올 함유량(맥주 4도, 소주 22도)을 뽑은 게 순수 알코올 공급량이다. 2003년 순수 알코올 공급량은 2537만6978㎏이다. 주종 별로는 소주가 63.6%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맥주가 23.8%, 위스키 4.8%, 탁주와 약주 4.1%, 청주 1.2% 등이다.연세대 보건대학원 이락현이 산출한 2003년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은 24조2719억원이다.순수 알코올 공급량의 주종 별 비율에 따라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을 나눠 주종별 비용을 구했다. 소주가 15조4345억원, 맥주가 5조7840억원, 위스키가 1조1724억원 등이었다.소주가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의 대부분을 야기하는데도 우리나라의 소주 주세는 맥주보다 18% 포인트 낮게 책정돼 있다. 소주는 주로 소득이 낮은 계층이 많이 마시기 때문에 값을 올릴 경우 소비를 줄일 수 있다.정부는 2005년 중순 소주세를 인상하려다 서민에게 부담을 준다는 반대에 부닥쳐 인상 방침을 철회한 적이 있다. 이번 연구는 소주 세율을 올리면 서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 수도 있지만 낮은 가격 때문에 서민들이 알코올 중독과 같은 사회 경제적 폐해를 더 본다는 점을 밝혀냈다.



[영문]Drinking population is growing every year. Ill effects due to alcohol is also increasing. The major ill effect caused by drinking is cultivating alcoholics. There is no concret statistics on alcoholics. Korean government suggests an estimated number of 3,000,000. There has never been any study on the types of alcohol that cultivate alcoholics or on the kinds of alcohol that costs socioeconomic expenses.This thesis analyses the socioeconomic expenses of alcohol in detail and depth. The result is that 85.9% of alcoholics ranked soju as the main type of alcohol they had drunk the most, a month before their medical treatment. Beer was counted by only 6.6% of alcoholics. Makkolli and whiskey came next. Asked why they drank soju the most, 44% of alcoholics replied that is was cheap and it made them get drunk faster. 35.1% of alcoholic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he taste. 5.8% answered it was easy to buy and 5.1% pointed out it was commonly drank by others.42.7% of alcoholics who preferred soju had monthly income of less than 1,000,000 won. Only 33.4% earned between 1,010,000~2,000,000 won. It could be easily understood that soju is the principle factor leading to alcoholics and the main reason for its popularity is the low price.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by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as of 2003 had been examined. First, amount of alcohol supply of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was calculated. Total amount of alcoholic beverages manufactured or imported in 2003 was 3,140,000㎘: beer accounted for 60.9%, soju 29.6%, makkolli and clear strained rice wine 6.02% and whiskey 1.2%.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is drawn from alcohol content in alcoholic beverages: beer 4% and soju 22%. 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in 2003 was 25,376,978㎏. By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soju had the largest portion, which accounted for 63.6%. Beer 23.8%, whiskey 4.8%, makkolli and rice wine 4.1% and clear strained rice wine 1.2% followed.Lee Lak-Hyun of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calculated that socioeconomic expenses in 2003 amounted to 24 trilllion won.Socioeconomic expenses of types of alcohol can be derived from dividing socioeconomic expenses by the portion of pure amount of alcohol supply of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Soju accounts for 15.4 trillion, beer 5.78 trillion, whiskey 1.17 trillion won.Liquor tax of soju is allotted 18% point less than beer although soju arouses most of the socioeconomic expenses of alcohol. Consumption of soju could be reduced by raising price since soju is usually drunk by the low-income bracket.In mid 2005 Korea government planned to raise tax on soju, but the policy had failed and withdrawn due to opposition that it would give burden on the common people. This thesis made clear that raising soju tax might put economic burden on the populace but at the same time the low price of soju could lead to more socioeconomi ill effects such as cultivating alcoholics.
Files in This Item:
T0090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9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