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 875

Cited 0 times in

응급 관상동맥 우회술의 원인과 임상결과 및 예후 분석

Other Titles
 Clinical results and prognosis of emerg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uthors
 김도균 
Department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흉부외과학교실)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학과 흉부외과/석사
Abstract
[한글]

목적 ;선택적 관상동맥 우회술의 예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응급으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응급 수술의 원인과 그에 따른 임상 결과와 예후를 분석하고자 한다.방법 ;1992년 7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응급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은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기록과 외래추적을 통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1.7±10.2(35-83)세 이었고, 남자가 64명(61.5%)이었다.결과 ;응급 수술의 원인으로는 좌주관상동맥 협착 환자가 27명 (26.9%)으로 가장 많았고, 급성 심근경색으로 내과적 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진행성 심근경색 환자가 25명(24.0%),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실패한 경우가 22명(21.2%), 경색 후 심실 중격 결손증을 보인 경우가 22명(21.2%)이었고, 그 외 7명이 있었다. 모든 환자들은 24시간 내로 수술을 받았고 그 중 89명은 고식적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았고 9명은 무인공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 받았다. 평균 수술시간, 인공심폐순환 시간, 대동맥 차단 시간은 각각 332.8±77.1(165-570)분, 133.4±62.2(27-250)분, 94.6±47.5(32-202)분 이었다 . 평균 사용된 이식편의 수는 2.5±1.2(1-5)개였다. 수술 사망률은 17.3% (18/104)이었고, 합병증은 34.6% (36/104)에서 발생하였다. 사망률과 관계된 수술 전 위험인자로는 70세 이상, 급성 심근 경색, 대동맥 풍선 펌프 사용, 심폐소생술의 시행, 쇼크 상태, 낮은 심장 박출 계수, 낮은 기능적 신체상태 분류 등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체외 순환시간이 연장될수록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나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위험 인자로는 인공호흡 기간이 길수록, 중환자실에 장기간 있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70명 (67.3%)의 환자에서 외래 추적이 가능하였고 10년 생존율이 61%이었다. 평균 외래 추적 기간은 36.8±44.6(1-145) 개월이었다.결론 ;응급으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의 사망률과 합병증은 선택적으로 시행 했던 수술에 비해서 높지만 성공적인 수술 치료를 받으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수술 전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얼마나 안정화 시키는가가 좋은 수술 결과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영문]Background: Emerg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has higher mortality rate than elective CAB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utcome of patients receiving emergent CABG in Severance hospital over a 14-year.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2 to May 2005, 104 patients underwent emergent CABG for the treatment of medically refractory unstable angina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evere left main disease, failed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We compared with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and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between survival group and mortality group. Mean age was 61.7(35-83) years, and 64 patients were male (61.5%). Preoperative clinical diagnosi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nclud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58), unstable angina (38), and stable angina (7).Result: All patients required emergent surgical revascularization within 24 hours. 89 patients underwent conventional CABG and 9 patients underwent off-pump CABG. Mean operation tim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and aortic cross clamping time were 332.8±77.1, 133.4±62.2, 94.6±47.5 minutes respectively. Mean number of distal graft was 2.5±1.2. In hospital operative mortality after emergent operation was 17.3%(18/104). The most common cause of mortality was low cardiac output.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were old age(>70), AMI, use of intra-aortic balloon pump, preoperative shock statu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low ejection fraction. The operative risk factor were long operation time, long ventilator time, and long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Mean follow up duration was 36.8±44.0 monthsConclusion: The mortality & morbidity of emergent CABG were worse than elective CABG. But, prompt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resulted in good long-term clinical outcome. Preoperative medical treatment for the hemodynamic stability ar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good clinical outcome.
Files in This Item:
T00897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흉부외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Kim, Do Kyun(김도균)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92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