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8 745

Cited 0 times in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치아 상실부위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upon analyzing patients' satisfactions by the areas of his/her dental losses followed by dental implanting 
Authors
 신철호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역학및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주질환은 치아우식증과 함께 구강 내에서 발생되는 흔한 질환으로서 전 인류의 대표적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상실된 치아에 대한 임플란트 식립의 요인을 분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내의 상실치아를 대상으로 하여 임플란트 시술시 환자의 삶의 질 변화에 대한 만족도를 시술 전과 시술 후, 그리고 이에 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임플란트 시술전과 시술후에 대한 기능별(저작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 만족도를 알아보고, 둘째 시술전과 시술후의 치아 상실 부위(전치부, 구치부, 최후방치아)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치아 상실 부위에 따른 기능별 만족도 및 요인을 조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02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임플란트를 시술받은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면접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치아 상실부위별 만족도와 상실 부위에 따른 기능별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능별 만족도의 요인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치아 상실부위별 임플란트 식립 환자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첫째, 시술전과 시술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임플란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둘째, 치아 상실 부위에 대한 만족도는 상실 부위, 즉 전치부, 구치부, 최후방치아가 거의 유사한 만족도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만족도는 전치부 상실시 임플란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치아 상실 부위에 따른 기능별 만족도의 경우에는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 저작 기능에 대해 전치부 상실 환자의 경우 사회적 기능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저작 기능이 가장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치부 상실 환자의 경우 저작 기능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최후방치아의 경우에는 저작 기능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사회적 기능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전에 비해 시술후 저작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더욱 높은 만족도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or literatures, this study concerns,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patients with intra-orally dental losses will have, not only his/her satisfactions with such change after their dental implanting, but also possible factors that could have some influences upon such satisfactions. First, concretely, the study covers each satisfaction bythe areas of the dental losses(anterior area, biting force bearing area, foremost rear teeth). Second, it aims at identifying functional satisfactions by the said areas and their factors. Finally, it tries to serve as a source which can provide objective and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dental implanting.



In this study, 120 patients who had gone through dental implanting were worked on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s by the areas of their dental losses, compared with their functional satisfactions including their possible factors with some influences on the functional satisfaction.



When it comes to identifying the former satisfactions, the result was that they showed a significant similarity by the areas of their dental losses; among those satisfactions, the satisfaction with the anterior implanting was highest. In working on their functional satisfactions, there can be a social function, a psychological function and a masticatory function classified into.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anterior implanting, their satisfactions with the social function were highest while the ones with the masticatory function lowest. Patients with implanting in the biting force bearing area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masticatory function in other cases, they showed a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in such order as the psychological function and the social function. Finally, patients with foremost rear implanting showed their highest satisfactions with their masticatory function while their satisfactions with the social function were lowest.



In conclusion, those satisfactions by such areas including functional satisfactions covered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serve as a source that could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possible patients in need of dental implanting.
Files in This Item:
T0085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8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