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4 1327

Cited 0 times in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을 이용한 사무직 근로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in office workers using transtheoretical model 
Authors
 한은주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사무직 근로자들은 다른 직종과 비교해 볼 때 과도한 피로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으며 장시간의 근무, 좌식 근무형태, 운동의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이미 알려진 만성질환의 유발요인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금연, 금주, 스트레스 관리, 체중조절 및 관리와 운동을 통한 건강생활의 실천이 요구되어진다.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운동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운동행위 변화단계를 변화 가능한 일시적인 것으로 보기 때문에 건강증진 프로그램 제공시 각 변화단계의 파악은 대상자가 어느 변화단계에 속해있는지 알게 됨으로써 각 단계에 적합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이용하여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운동행위 변화단계를 분석하고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예측하기 위함이며, 궁극적으로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일 대기업 내 6개 계열사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537명을 편의표집하여 2004년 4월 12일부터 2004년 4월 20일 사이에 자기기입식 구조적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행위에 대한 변화단계는 계획전 단계 12.29%(66명), 계획단계 47.86%(257명), 준비단계 14.53%(78명), 행동단계 14.15%(76명), 유지단계 11.17%(60명) 이었다.





2. 운동행위 변화단계의 계획전 단계에서 유지단계로 변화함에 따라 10가지 운동행위 변화과정들 중에서 반대조건부여(F=45.04, p=<.0001)와 자극관리(F=28.56, p=<.0001)가 가장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사회적 해방(F=0.6468, p=0.62)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증가하였다.

의사결정균형의 긍정적 요소(F=6.07, p=<.0001)와 부정적 요소(F=27.32, p=<.0001)는 운동행위 변화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계획전 단계에서 유지단계로 진행함에 따라 긍정적 요소의 총점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부정적 요소의 총점은 꾸준히 감소하였다.

자기효능감 점수는 계획전 단계 총점이 가장 낮았고, 계획전 단계 (21.50점± 5.43)에서 유지단계 (29.67점± 4.56)로 갈수록 점차 점수가 증가하였다.



3. 운동행위 변화단계에서 행동 ․ 유지단계와 관련된 요인들을 요약하면, 남자가, 연령이 많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평균 월수입이 많을수록, 직장근무 년수가 많을수록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사무직 근로자의 규칙적 운동실천을 위해서는 연령과 성별 및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를 제공해야 하며, 긍정적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Office workers have higher levels of stress and fatique than any other occupation. Additionally, they work long hours with little physical activity and are more susceptible to chronic diseases.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chronic diseases, they must abstain from tobacco and alcohol products, manage their weight, and exercise regularly. Studies suggest that the desire to exercise ranked the highest within health promoting programs for intent of participation. In order to better design health promotion programs, it is imperative to assess th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The stages of change are important in health promoting programs because it allows increased subcategories for individuals to identify with. Each stage is temporary, but the identification of a stage allows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to take place. This is a study of descriptive correlation that consisted of 537 office workers from Seoul, Korea on April 12 through April 20, 2004.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iv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12.29% (66) in pre-contemplation stage, 47.86% (257) in contemplation stage, 14.53% (78) in preparation stage, 14.15% (76) in action stage, and 11.17% (60) in maintenance stage.



As the pre-contemplation stage moves to the maintenance stage, counter conditioning (F=45.04, p=<.0001) and stimulus control (F=28.56, p=<.0001) received the highest score out of the 10 processes of change. All processes except social liberation (F=0.6468, p=0.62) were significant. As pros (F=6.07, p=<.0001) factors and cons (F=27.32, p=<.0001) factors in the decisional balance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tages of change and the pre-contemplation stage moves to maintenance stage, the total score of the pros factors increased while that of cons factors gradually decreased. The pre-contemplation stage showed the lowest score in self-efficacy and the score increased gradually when moving from the pre-contemplation stage (21.50±5.43) toward the maintenance stage (29.67±4.56).



The factors relating to stages of action

maintenance in stages of change showed that married, high-income, male, and older subjects who worked for more years exercised more periodic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ntervention and exercis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age, gender and stages of change to reinforce positive decisional balance and improve self-efficacy so that office workers will exercise more periodically.
Files in This Item:
T00837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