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4 1419

Cited 0 times in

뇌손상 환자의 초기 사정 도구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해리나-
dc.date.accessioned2015-12-24T09:55:28Z-
dc.date.available2015-12-24T09:55:2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47-
dc.description간호학교육 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외과 임상 현장에서 뇌 손상 환자에 대한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해 뇌 손상 환자의 초기 사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뇌 손상 환자에게 필요한 사정 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7개의 국외 문헌을 통해 뇌 손상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건강문제를 선정하였고 그 건강문제를 다시 8개의 신체 체계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건강 문제에 대한 사정은 다시 22개의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최종 11개 영역으로 선정 하였다. 이후 Y대학에서 신경계를 가르치는 간호대학 교수 2명과 C 대학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1인의 자문을 구해 예비 사정도구 내용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예비 사정 도구에 대해 2004년 5월10일부터 16일까지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 하였고, 타당도 결과 수정된 뇌 손상 환자의 초기 사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2004년 5월 18일부터 24일까지 서울 C대학병원 신경외과 병동에 근무중인 간호사 2인씩 5개 쌍을 만들어 동일한 환자에 대해 사정하게 한 후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뇌 손상 환자의 초기 사정 도구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도구는 뇌 손상 환자에 대한 7개의 국외 문헌을 통해 뇌 손상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건강문제를 선정하여 8개의 신체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사정 내용은 22개의 국내외 문헌 고찰을 분석한 후 11개 영역으로 다시 나누었다. 그 내용을 보면 일반정보, 건강 관련 정보, 신체 체계별로는 신경계, 근골격계, 호흡기계, 순환계, 위장계, 비뇨생식기계, 피부계, 기타부위, 검사이다. 2) 예비 사정 도구는 신체 체계의 각각의 건강 문제에 대해 사정해야 할 내용으로 167개의 사정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3)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총 167개의 사정 항목중 83% 미만의 낮은 타당도 점수를 보인 20개 사정 항목이 삭제 되어 총 147개의 항목이 뇌 손상 환자의 초기 사정 예비 내용으로 선정되었고 평균 84.5%로 비교적 높은 전문가 합의를 이루었다. 4) 본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채점자간 신뢰도로 검증 되었고 그 결과, 전체 의견 일치율은 87.9%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 결과 나타난 신체 검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사정 지침서를 따로 제작해 첨부하였다. 5) 전문가 집단 2차 회의 후 4개 항목을 삭제하고 3개 항목을 새로 추가하여 작성된 뇌손상 환자를 위한 초기 사정 도구는 11개 영역의 146개 항목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뇌손상 환자를 이해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낼수 있는 표준화된 초기 사정 도구를 개발하도록 시도 되었다. 이 초기 사정 도구를 사용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초기의 질적 자료를 많이 보존하게 될것이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초기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 계속 사정과 간호를 집중적으로 할수 있는 계기를 함께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itial assessment tool for the head injuried patients in a neurosurgery clinic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r them. The investigator selected some common health problems of head injuried patients via seven overseas literatures to find out some necessary assessment items for the patients. Those selected health problems were then classified into eight physical systems, and the assessment of each health problem was based on an analysis of twenty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s. And eleven areas were selected finally. And then in consultation with two nursing college professors who were teaching a nervous system at Y University and a neurosurgeon at C University Hospital, the investigator worked out the contents of a preliminary assessment tool. For the preliminary assessment tool, a content validity test was carried out from May 10 to 16, 2004.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a modified initial assessment tool for head injuried patients, the investigator had five pairs of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neurosurgery ward of C University Hospital assess the same patient from May 18 to 24, 2004. And then through an inter-grader reliability test, an initial assessment tool for head injuried patients was established. Detail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By examining seven overseas literatures on head injuried patients, some common health problem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eight physical areas. Corresponding assessment contents were divided into eleven areas after analyzing twenty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s. Final contents include demographic and health information. By physical systems, they were the tests of a nerve system, a musculoskeletal system, a respiratory system, a circulatory system, a gastrointestinal system, a genitourinary system, an integumentary system, and other areas. 2) The preliminary assessment tool was the contents that had to be assessed for the health problem of every physical system, and consisted of 167 assessment items. 3) By a specialist group''s test of 167 assessment items to verify assessment contents, twenty items of which validity were less than 83% were eliminated. The selected items for the preliminary and earlier assessment contents for head injuried patients, therefore, were 147 at last, and the mean value of them was 84.5%, showing relatively high consent rate among the specialist groups. 4) The tool was tested by an inter-rater validity test, and total consensus was 87.9%. In order to settle the difficulty of physical examination derived from the validity test, an additional assessment manual was worked out and attached. 5) After the second meeting of the specialist groups, four items were eliminated and three ones newly added. Thus, the initial assessment tool for head injuried patients consisted of 146 items in 11 areas finally.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initial assessment tool that could supply enough information to understand head injuried patients. Using this initial assessment tool, patients'' initial quality data can be saved in quantity, and an opportunity for providing an intensive assessment and nursing care focusing on patients'' initial problems can be prepared as well. Key words: head injury, nursing assessment, assessment tool-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뇌손상 환자의 초기 사정 도구 개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itial assessment tool for the patients with head injur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ae Ri N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