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4 695

Cited 0 times in

한국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대체보완의학 이용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uthors
 한민경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역학전공/석사
Abstract
연구배경 치료약에 대한 불만족이나 부작용에 대한 걱정 그리고 항상 통증을 완화 시키지 못한다는 불안함은 많은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에게 대체보완의학 선택을 야기 시킨다. 대체보완의학의 이용은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 되었고 다양한 질병에서 그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충분치 않을 뿐더러 효과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소수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다기관 코호트인 KORean Observational study Network for Arthritis (KORONA)를 이용하여 대체보완의학의 이용률 및 현황을 알아보고,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의 질병 진단 이후 대체보완의학을 선택을 하게 된 주요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대체보완의학의 이용률 및 현황 연구대상은 전국의 주요 대학병원에서 2009년 7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KORONA에 등록되었으며 대체보완의학 이용 여부에 응답한 5,371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체보완의학 이용 관련 요인 연구대상은 류마티스관절염 진단 전부터 코호트 등록되기 까지 대체보완의학을 사용한 적이 없었다고 응답한 환자 중 추적관찰 자료가 있는 2,17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체보완의학을 한약 복용, 치료, 보조식품의 세 범주로 나눠 대체보완의학의 이용률을 분석하였고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의 대체보완의학 이용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연구결과 연구대상자 5,371명 중 3,677명(68.46%)이 한약 복용 또는 치료 또는 보조식품을 이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대체보완의학 종류별 이용률(다중응답)은 1,494명(27.82%)이 한약 복용을 하였고, 치료 중 1,817명(33.83%)이 한의원 침을, 보조식품 중 비타민을 1,137명(21.17%)이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반면, 한 번이라도 대체보완의학을 이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환자는 전체의 31.54%이었다. 한국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대체보완의학 이용 관련 요인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대체보완의학을 이용할 오즈비가 1.73(95% 신뢰구간, 1.04-2.8 8) 높았고, 부모와 자녀가 사는 핵가족에 비해 부부가족이 1.57(95% 신뢰구간, 1.08-2.28), 3대 이상같이 사는 확대가족이 대체보완의학을 이용할 오즈비가 1.75(95% 신뢰구간, 1.05-2.90)로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우울증이 있는 환자는 우울증이 없는 환자에 비해 대체보완의학을 이용할 오즈비가 4.00(95% 신뢰구간, 1.88-8.49)로 유의하게 높았다.결론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코호트를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2/3 이상이 대체보완의학을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고, 여러 요인들 중 질병 자체의 요인보다 성별, 가족형태, 동반질환 등과 같은 일반적 요인들이 대체보완의학의 이용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았다. 향후 이번 연구로 밝혀진 일반적 요인들과 대체보완의학 이용의 관련성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대체보완의학을 주제로 구조화된 설문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A0174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6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