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83 1335

Cited 0 times in

신생아 울음의 의사소통 의도와 관련된 음향학적 특성

Other Titles
 Acoustic characteristic of crying infants related to communicating intent 
Authors
 장효령 
Issue Date
2012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생후 아기는 엄마와 중요한 의사소통의 도구로 울음(crying)을 사용한다. 그만큼 울음은 아기에게 생존을 위한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아기와 엄마의 소통은 매우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잘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의사소통 의도가 담긴 아기의 울음특성을 엄마가 청지각적으로 정확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며 나아가 울음은 엄마와 아기와의 상호작용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기존 국외 선행연구에서 부모의 청각적 지각력에 의한 울음 형태의 구별과 음향학적 분석 간이 일치 하였는데 이는 부모가 아이의 울음을 청지각적으로 인식하는데 있어서 울음의 음향학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음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판단하여 배고픔(hunger)과 통증(pain)에 따른 신생아 울음의 의사소통 의도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을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 주파수 변동률(jitter), 진폭 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 비율(noise-to-harmonic ratio, NHR), 습관적 피치(habitual pitch)와 강도(intensity)를 통해 음향학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에 거주하며 38-42주(full term) 기간을 거쳐 출생한 1주 이내의 건강한 정상 신생아 20명(남:여=11:9)이었다. 울음소리는 총 3분간 녹음하였다. 통증의 울음은 선천성 대사이상검사를 통하여 유도하였고 배고픔의 울음은 정해진 식사시간에 맞춰 기다렸다가 설근반사(rooting reflex)를 확인하였다. 녹음된 울음소리를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Real-Time Pitch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주파수에서 통증의 울음이 배고픔의 울음보다 더 높게 나타나 평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골격근(skeletal muscle)이 긴장하고 호흡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기본주파수가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결과이다. 둘째, 주파수 변동률과 진폭 변동률에서 통증과 배고픔 울음 간의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 두 울음에서의 주파수 변동률과 진폭 변동률은 모두 정상역치(주파수 변동률 1.04%, 진폭 변동률 3.81%)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음대배음 비율에서 통증의 울음이 배고픔의 울음 보다 더 높게 나타나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통증의 울음이 배고픔의 울음보다 더욱 긴박하며 비주기적인 소리가 산출되고 음성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거칠고 쥐어짜는 소리가 더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통증의 울음에서 소음대배음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습관적 피치에서 통증의 울음이 배고픔의 울음 보다 더 높게 나타나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성대 조직의 긴장과 경직성이 습관적 피치의 증가와 관련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결과이다. 여섯째, 강도에서 통증의 울음이 배고픔의 울음 보다 더 높게 나타나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기본주파수의 결과에서처럼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골격근(skeletal muscle)이 긴장하고 호흡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강도가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고픔과 통증에 따른 신생아 울음의 의사소통 의도를 총 6가지 매개변수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음향학적으로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배고픔과 통증에 따른 울음소리를 부모가 들었을 때 청지각적으로 인식하는지 확인해보는 과정을 통해 실제로 구별되는 울음의 음향학적 특성이 부모가 아이의 의사소통 의도를 인식하는데 영향을 주는지와 관련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Files in This Item:
TA0157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5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