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85

Cited 0 times in

대장암 예측인자로서 과립구/림프구 비를 이용한 코호트 연구

Other Titl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n granulocyte-lymphocyte ratio as a prognostic factor in colorectal cancer 
Authors
 전민지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역학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연구 배경대장암(결장 및 직장암)은 세계적으로 폐암, 유방암 다음으로 3번째로 발생 수준이 높은 종으로 세계 보건기구의 추산에 따르면 전체 암 발생의 약 9.4%를 차지하고 있다. 북미, 유럽, 그리고 호주 등 대부분의 서구 국가에 고 발생지역에 속하는 미국의 경우 전체 암 발생의 약 10%를 차지하며, 과거 발생수준이 낮았던 아시아 일부 국가(일본, 싱가폴 등)에서 최근 20 여 년간 대장암 발생률이 두 배 이상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 대장암은 발생하는 암 중 3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과거에 비하여 발생률과 사망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사회적 중요성이 크며 대장암 발생 빈도가 더욱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하여 과립구/림프구 비 증가가 대장암 발생과 독립적인 요인으로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본 연구의 대상자는 세브란스 건강증진센터에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최소 한번 이상 방문한 성인 남녀 70,8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이 중 30세 이상 대상자수 65,539명에 대하여 암,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간질환 과거력이 있는 대상자를 제외한 63,619명 중 흡연력, 음주력을 필수 혼란변수로 하여 대상자 58,954명만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체계측은 대상자들의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을 측정하였고, 세브란스 병원 건강증진센터의 구조화된 문진표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흡연력, 음주력, 신체활동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혈액검사는 12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시행하였고, 채취한 혈액은 -70°C의 상태로 저장되었다.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을 Hitachi-7600 analyzer (Hitachi Ltd.,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통계적 분석방법은 과립구/림프구 비를 4분위 구간으로 나누어 <1.10(Q1), 1.11-1.40(Q2), 1.41-1.8(Q3), >1.81(Q4) cells/uL로 구분하였고, 과립구-림프구 비가 1.0(Q1)미만인 집단을 비교 범주(reference category)로 사용되었다. 이변량 분석에서 과립구/림프구 수치와 과거 치료력, 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X2 검정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러한 변수를 동시에 통제한 상태에서 대장암이 관찰되기까지 인연(person-year)을 사용하여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① 남자는 52.7% 여자는 47.3%으로 상대적으로 남자가 많았으며, 대상자 남자의 평균 연령은 46.5±10.5으로 여자 평균 연령 47.5±10.5 보다 평균 연령이 유의하게 낮았다.② 남자는 나이, 키, 체중, 신체충실지수, 공복 시 혈당,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호산구 수치, 백혈구 수치, C-반응단백(CRP), 과립구 수치, 과립구-림프구의 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여자에서는 고밀도 콜레스테롤과 림프구 수치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④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운동여부, 음주여부, 과거력의 당뇨, 가족력의 암, 뇌혈관 질환, 심장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은 대장암 발생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⑤ 흡연 상태는 남자가 여자보다 현재 흡연자 비율이 유의하게 높고, 비흡연자의 비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낮았다.2) 비대장암과 대장암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① 대장암 발생 대상자는 남자 180명(0.6%), 여자109명(0.4%)으로 확인되었다.② 남자에서는 대장암 집단의 평균 연령 56.0±9.8으로 비대장암 집단의 평균 연령 46.5 ±10.5 보다 평균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자에서도 대장암 집단의 평균 연령이 55.3±9.4으로 비대장암 집단 평균 연령 47.5 ±10.5 보다 평균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③ 남자에서는 대장암 집단에서 비대장암 집단보다 나이, 수축기 혈압, 백혈구 수치, 과립구 수치,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키와 림프구 수치는 비대장암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여자에서는 대장암 집단에서 비대장암 집단보다 나이, 체중, 신체충실지수,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C-반응단백(CRP)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대장암 집단보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낮았다. ④ 남자에서 대장암 집단은 비대장암 집단보다 운동을 하는 군과 과거력의 당뇨와 고혈압이 있는 자, 가족력 중 암과 당뇨가 있는 자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운동을 하지 않는 군은 비대장암 집단보다 낮았다.⑤ 여자에서 흡연 상태는 대장암 집단이 비대장암 집단보다 비흡연자와 과거 흡연자 비율이 높았고, 현재 흡연자 비율은 낮았으며, 과거력의 고혈압이 있는 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3) 과립구 림프구 비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①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1.10 미만인 집단보다 1.81 이상인 집단이 평균연령이 유의하게(45.8±10.3세vs47.6±10.8세, P<.0001) 높았으며, 여자에서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1.10 미만인 집단 보다 1.81 이상인 집단의 평균연령이 유의하게(49.0±10.5세vs46.4±10.6세, P<.0001) 낮았다.②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1.81 이상인 집단이 과립구-림프구 비 1.10 미만인 집단보다 평균 연령, 공복 시 혈당,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백혈구 수치, C-반응단백(CRP), 과립구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1.81 이상인 집단이 과립구-림프구 비 1.10 미만인 집단보다 공복 시 혈당, 이완기혈압, 백혈구 수치, 과립구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③ 남자에서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운동여부, 음주여부, 과거력의 당뇨와 고혈압이 있는 자, 가족력의 고혈압이 있는 자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흡연 상태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1.81 이상인 집단이 과립구-림프구 비가 1.10 미만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현재 흡연자 비율이 높고, 과거 흡연자와 비흡연자 비율은 낮았다.여자에서 운동여부, 음주여부, 과거력의 당뇨가 있는 자, 가족력의 심혈관질환, 당뇨, 고혈압이 있는 자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흡연 상태는 과립구-림프구 비가 1.81 이상인 집단이 과립구-림프구 비가 1.10 미만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현재 흡연자 비율이 높고, 비흡연자의 비율은 낮았으나 과거흡연자 비율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4)과립구 림프구 비의 증가와 대장암과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①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10 미만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2.17(95% confidence interval, CI 1.36∼3.44)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에서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10 미만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0.99(95% CI 0.57∼1.70)으로 과립구-림프구 비(GLR)와 대장암 발생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② 연령, 흡연, 음주 여부, 운동 여부, 신체충실지수, 고혈압, 총 콜레스테롤과 당뇨를 통제한 다변량 분석에서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2.18(95% confidence interval, CI 1.37∼3.47)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③ 연령, 흡연, 음주 여부, 운동 여부, 신체충실지수, 고혈압, 총 콜레스테롤, 당뇨와 백혈구를 통제한 다변량 분석에서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2.02(95% confidence interval, CI 1.26∼3.23)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④ 연령, 흡연, 음주 여부, 운동 여부, 신체충실지수, 고혈압, 총 콜레스테롤, 당뇨와 C-반응단백(CRP)를 통제한 다변량 분석에서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2.17(95% confidence interval, CI 1.36∼3.46)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⑤ 연령, 흡연, 음주 여부, 운동 여부, 신체충실지수, 고혈압, 총 콜레스테롤, 당뇨, 백혈구와 C-반응단백(CRP)를 통제한 다변량 분석에서 남자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2.02(95% confidence interval, CI 1.26∼3.23)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⑥남녀 합치고 성별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0 미만인 집단과 비교했을 때 과립구-림프구 비(GLR)가 1.81 이상인 집단이 대장암 발생에 대한 비교 위험도(relative risk, RR)가 1.41(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99)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1387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4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