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62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고혈압 여부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가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 : the Korean heart study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lipid fractions and Stroke according to hypertension status among the Korean men : the Korean heart study 
Authors
 최은미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역학건강증진학과 역학보건통계전공/석사
Abstract
연구배경 혈중 지질 농도는 뇌졸중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혈중 지질 지표 종류와 뇌졸중의 세부 종류에 따라 이들의 연관성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또한 혈중 지질 농도가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고혈압 여부로 나누어 본 연구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고 아시아인에 대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대규모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중성지방(TG) 등의 혈중 지질 농도가 뇌졸중의 세부 종류에 따라 이들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고혈압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전국 18개 종합검진센터에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최소 한 번 이상 방문한 30-74세의 남녀 406,89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LDL-C, HDL-C, TG 농도는 남녀 구분하여 각각 4분위 수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를 다시 고혈압 여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각 군에서의 발생 위험비를 계산하였다.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누고 출혈성 뇌졸중은 다시 지주막하출혈성 뇌졸중(SAH), 뇌내출혈성 뇌졸중(ICH)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콜레스테롤과 LDL-C 농도가 높아질수록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하여 전체 뇌졸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뇌졸중 종류를 세분화하여 보면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에는 총 콜레스테롤과 LDL-C 농도가 높아질수록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반면(남자 Q4 : hazard ratio(HR), 1.27 (1.16-1.39); 여자 Q4 : HR, 1.18 (1.03-1.35)) 출혈성 뇌졸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남자 Q4 : HR, 0.72 (0.62-0.83); 여자 Q4 : HR, 0.90 (0.74-1.10)). 남자에서 출혈성 뇌졸중 중에서도 뇌내출혈성 뇌졸중은 총 콜레스테롤과 LDL-C 농도가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주막하출혈성 뇌졸중은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여자에서 HDL-C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체 뇌졸중 및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모두 위험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혈압 여부로 나누어 보았을 때, 남자에서는 고혈압 환자군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C 농도는 출혈성 뇌졸중의 발생 위험과 강한 역의 관계를 보인 반면 정상 혈압군에서는 이러한 경향성이 사라졌다. 여자에서는 고혈압 환자군에서 HDL-C 농도에 따른 뇌졸중 발생 위험이 경향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위험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정상 혈압군에서 HDL-C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세부 종류 뇌졸중의 위험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결론 한국인 남성에서 출혈성 뇌졸중, 특히 뇌내출혈성 뇌졸중은 총 콜레스테롤과 LDL-C 농도와 역의 관련성을 보였다. 고혈압 여부로 나누었을 때, 이러한 관련성은 고혈압 환자군에서는 지속되었으나 정상 혈압군에서는 사라졌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2981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3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