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2 324

Cited 0 times in

생활습관 패턴에 따른 심뇌혈관 질병 발생시기와 의료비크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the onset and medical expenses of cardiovascular disease 
Authors
 정명수 
Issue Date
2011
Description
보건정보관리학과/석사
Abstract
2010년도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으로 악성신생물(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이 총 사망자의 47.8%를 차지하고 있고, 심뇌혈관 사망률이 매년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질병부담이 급증함에 따라 국가에서도 2006년부터 건강증진 중점관리 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짝수년도, 홀수년도에 각각 실시한 남자 1,021,656명, 여자 317,348명의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건강위험요인(흡연, 음주, 운동, 피로도, 가족병력, 식습관)이 심뇌혈관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국민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인구사회학적, 건강위험요인 특성에 따른 뇌졸중, 심장질환 발생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X2-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차패턴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심뇌혈관 질환 발생유무에 따라 모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남자, 여자 모두 연령이 높을수록, 비 직장인 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심뇌혈관 질환 발생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별 최초 질환발생 특성에서는 남자와 여자 모두 50세 이상에서 뇌졸중 발생률은 1,000명당 평균 3.8명, 심장질환 발생률은 5.0명으로 40세 미만보다 3.0배~5.4배 높게 나타났으며, 50세 이상의 뇌졸중 발생률이 심장질환 발생률보다 1.4배 높았다. 건강위험요인별 뇌졸중 발생률은 흡연자의 경우 0.4명, 음주의 경우 0.1명, 가족력이 있은 경우 0.6명, 육식을 주로 하는 경우 0.3명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심장질환 발생률은 흡연의 경우 0.3명, 음주의 경우 1.4명, 비운동의 경우 1.1명, 자주 피로를 느끼는 경우 1.1명, 심장질환 가족병력이 있는 경우 0.3명, 육식을 주로 하는 경우 1.3명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았다. 연령을 표준화한 뇌졸중 발생률은 남자의 경우 흡연자, 자주 피로를 느끼는 자, 가족병력이 있는 자가 그렇지 않는 자 보다 높았으며, 여자의 경우는 비운동자, 육식자가 그렇지 않는 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위험요인의 기간과 의료비의 연간 추이 분석을 보면 뇌졸증 발생에서는 흡연 1.16배, 음주 1.68배, 흡연과 음주의 복합요인에서 1.03배 의료비가 증가하였고, 심장질환 발생에서는 흡연 1.17배, 운동에서 1.36배 의료비가 증가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그 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전 국민에게 실시하여 축적된 대용량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한 선행연구(김혜영 2004, 2005 용왕식, 2010 조해곤, 2010 문광자) 결과와 유사하게 흡연, 음주, 운동, 피로도, 가족병력, 식습관 등의 건강위험요인 유무와 기간에 따른 뇌졸중, 심장질환 발생률과 발생 시기, 의료비 크기가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보완, 활용한다면, 매년 증가하는 심뇌혈관 질병예방과 국민건강증진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A0135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3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