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1015

Cited 0 times in

Caffeic acid에 의한 간세포의 지방축적 억제와 인슐린 신호전달 활성화

Other Titles
 Caffeic acid inhibits in vitro lipid accumulation and activates insulin signaling in hepatocytes 
Authors
 김유나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의생명과학과/석사
Abstract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은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 환자의 간에 중성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일컫는다. 지방간 질환이 증가하는 이유는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 저항성 등 알려져 있다. Caffeic acid(CA)는 거의 모든 식물이나 과일, 커피 등에 포함되어 있으며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항돌연변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CA가 정상 마우스 간세포의 지방축적과 인슐린 신호전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AML12 세포를 배양하고 실험전에 CA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CA농도가 200μM까지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CA에 의한 간세포의 지방축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서 palmitic acid(PA)만을 처리한 AML12 세포와 PA와 CA를 함께 처리한 AML12 세포의 mRNA와 단백질을 분리하여 q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방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지방산 합성(FasN, HSL, SCD1, C/EBPα, PEPCK)과 지방산 수송(L-FABP)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CA처리 후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지방산 산화(AcadM, AcadL, AcadVL, UCP2)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는 변화가 없었다. 한편,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합성과 당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AMPK는 CA에 의해 활성화가 증가되었다. 또한 CA에 의한 IRS와 Akt의 인산화는 증가하였고 pIKK-β와 pJNK 그리고 소포체 스트레스 표지자인 BiP는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CA에 의한 간세포의 인슐린 신호전달 활성화와 지방축적 억제를 통해 지방간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2982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26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