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766

Cited 0 times in

담도암 암줄기세포의 생체표지자로서 TAGLN2의 동정 및 특성 분석

Other Title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GLN2 as a novel biomarker for cancer stem cells in biliary tract cancers 
Authors
 박병규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배경: 암줄기세포는 종양내의 소수로 존재하며 암의 발생, 진행 그리고 재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가재생력, 항암제내성, 암화능력을 특징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고형암에서 암줄기세포가 존재하며 그 역할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담도암의 암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목적: 본 연구에서는 담도암 세포주에서 sphere 배양법을 이용하여 암줄기세포의 존재를 입증하고, tumorsphere 와 담도암의 cDNA microarray를 통하여 암줄기세포와 관련된 생체표지자를 동정한 후 담도암의 암화과정에서 새로운 생체표지자의 역할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담도암 세포주 (SNU245, SNU1196)를 sphere 배양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tumorsphere에서 암줄기세포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집락형성 분석과 마우스에서 생체내 종양형성 실험을 시행하였고, tumorsphere에서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 발현을 알아보았다.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tumorsphere 와 담도암 조직에서 공통적으로 증가된 새로운 유전자 군을 획득하였다. 이중 선택된 유전자의 담도암 암화과정에서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담도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유전자 억제 후 전이능력 및 항암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연관된 신호전달체계를 알아보았다.결과: Sphere 배양법을 이용하여 담도암 세포를 배양한 결과, 자가재생에 의해 tumorsphere가 형성되었다. Tumorsphere 세포는 집락형성 능력이 증가되어 있으며 생체내 종양형성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줄기세포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tumorsphere 세포에서 증가되어 있어 tumorsphere는 암줄기 세 포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tumorsphere와 담도암 조직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한 61개의 유전자 군을 획득하였으며 이중 transgelin-2 (TAGLN2) 를 후보 유전자로 선택하였다. TAGLN2는 담도암 조직과 tumorsphere에서 발현이 증가되었다. TAGLN2의 억제 시에 암세포 전이가 감소하며 gemcitabine에 대한 항암제 내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c-Met 유전자 발현이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c-Met의 하위 신호전달체계도 함께 억제되었다.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담도암의 암줄기세포 동정은 담도암의 암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담도암 세포주에서 형성된 tumorsphere는 암줄기세포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담도암 암줄기세포의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TAGLN2는 담도암의 암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c-Met 신호전달체계와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TAGLN2는 암줄기세포와 관련된 신규 유전자로서 담도암 치료의 새로운 생체표지자로 기대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Files in This Item:
TA0122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Park, Byung Kyu(박병규)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2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