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4 794

Cited 0 times in

학령전 말더듬 아동이 보이는 수반행동과 비유창성의 연관성

Other Titles
 Relationships of disfluency and associated behavior characteristics o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uthors
 이혜란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박사
Abstract
[한글]수반행동은 비유창성과 연관되어 관찰될 수 있는 행동으로서 그 시작 시점은 비유창성이 진행되는 동안 혹은 그 이전부터일 수 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수반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반행동은 말더듬는 사람이 더듬는 순간에 보이는 행동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들에서 이루어진 분석들은 말더듬는 순간에만 보이는 수반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둘째, 수반행동은 말더듬을 오랜 기간 동안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행동으로서, 말더듬는 순간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탈출행동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최근 일부 연구에서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즉, 말더듬 아동이 아닌 정상아동이 유창하게 말하는 동안에도 다양한 신체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수반행동이 말더듬 출현후기간이 짧은 어린 아동에게도 나타나며, 수반행동의 출현빈도와 말더듬 출현후기간은 연관성이 없다고 보고된 바 있다.이러한 최근 연구 결과들에 기초할 때 수반행동은 말더듬 아동의 정상비유창성 동안에도 나타날 수 있고, 말더듬 출현후기간 자체보다는 중증도를 반영하는 다양한 비유창성과 더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다음의 두 가지에 두었다. 첫째, 말더듬 아동의 수반행동이 비유창성 종류(긴장성 비유창성, 경련성 비유창성, 정상비유창성-긴장, 정상비유창성)에 따라 다른 출현빈도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수반행동이 비유창성 시작점을 기준으로 언제 시작되는지가 비유창성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15명의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이 보인 총 515개의 비유창성 동안에 관찰된 2,092회의 수반행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유창성 유형에 따라 수반행동은 출현빈도가 서로 다르지 않았다. 둘째, 비유창성의 유형에 따라 수반행동의 시간적인 특성이 서로 달랐다. 즉, 수반행동이 비유창한 말 이전부터 시작되는 경우, 긴장성 비유창성이나 경련성 비유창성은 정상비유창성보다 더 이전부터 수반행동이 시작되고 있었다. 이는 아동들이 중한 형태의 비유창성에서 말에 대한 어려움을 더 먼저 예측하고 미리부터 반응을 보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이러한 결과에 기초할 때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수반행동의 다양한 기능의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수반행동이 더듬는 순간뿐만 아니라 정상비유창성 동안에도 출현하였고, 그 빈도가 다르지 않았던 결과는 수반행동이 탈출행동 혹은 투쟁행동뿐 아니라 인지적인 처리상의 어려움을 반영한 결과로서도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수반행동은 단순히 말더듬 출현후기간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비유창함의 정도와 연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기존의 말더듬의 통시적인 진행경로 및 최근의 말더듬 출현후기간이 길지 않은 아동들도 심한 말더듬 유형이나 수반행동을 보인다는 결과를 동시에 해석하는데 뒷받침이 될 수 있다. 셋째, 수반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 틀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말더듬의 진행경로와 수반행동의 출현과의 관계를 설명하거나, 거시적으로 말더듬/비유창성 당 수반행동의 빈도를 살펴보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비유창성 및 수반행동이 나타나는 ‘순간’의 미시적인 특성도 함께 살펴보았다.또한, 유창함의 중증도를 반영하는 수반행동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더듬기 이전부터 시작되는 수반행동들을 집중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임상 현장에서 진단 시 시간적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Associated behavior is shown during disfluent speech, since it started act, or it can start earlier. The views of previous studies on associated behavior are as followings. First, associated behavior appears after stuttering moment has started, which previous studies on associated behavior have mostly focused on stuttering moment. Second, associated behavior has been known as a learned behavior by operant conditioning after long time experience of stuttering, and it is worked as an escape behavior. However, recent studies on earl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stuttering show that post stuttering onset time is not related with associated behavior, and even children who do not stutter show them during fluent speech.This study assumed that associated behavior may appear during normal disfluency, and they may be related with disfluency typ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the frequency of associated behavior is related with disfluency type firstly,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ssociated behavior is related with disfluency type secondly.This study analyzed 2,092 times of associated behaviors on total 515 stuttering duration of 3-5 years old children who stutter. The results are that the frequency of associated behavior was not related with disfluency type, but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ssociated behavior was related with disfluency type. In other words, behavior associated with tonic or clonic disfluency was initiated more before than normal disfluency when associated behavior had started earlier than disfluency.This results hav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theoretically. First, the results propose the possibility of various functions of associated behaviors. Behavior associated with normal disfluency may reflect cognitive demands as well as escape function. Second, associated behavior is related with the extent of difficulty for fluent speech, not with post stuttering onset time. Third, it is useful method to analyz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ssociated behavior. Also, this results can help clinicians to save time in diagnosis of children who stutter.
Files in This Item:
TA0107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Medical Engineering (의학공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Lee, Hye Ran(이혜란)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1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