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8 1143

Cited 0 times in

노년층의 최대발성시간, 조음교대운동속도 및 표준문구발화속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천사라-
dc.date.accessioned2015-12-24T09:35:36Z-
dc.date.available2015-12-24T09:35:3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07-
dc.description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이하 MPT), 교대운동속도(Alternation Motion Rate: 이하 AMR)와 일련운동속도(Sequential Motion Rate: 이하 SMR)를 포함하는 조음교대운동속도(articulation diadochokinetic rate: 이하 DDK), 표준문구읽기 등을 포함한 말과제의 수행력은 말운동 장애의 감별진단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말운동장애의 감별진단 시 노년층의 수행력이 청·장년층의 수행력과 구별하여 다루어져야 함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년층의 규준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 남녀 총 176명을 세 연령군(55~64세, 65~74세, 75세 이상)으로 나눈 후 연령군 및 성별에 따라 MPT, DDK 및 표준문구읽기의 발화속도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MPT의 경우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75세 이상에서는 그 감소 정도가 유의하였다. 성별요인에 있어서는 남자의 MPT가 여자의 MPT보다 유의하게 길었다.2. AMR과 SMR 수행력은 남자의 경우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여자의 경우에는 /퍼/와 /퍼터커/는 75세 이상에서, 그리고 /터/와 /커/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수행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연령대에 있어서는 성별차이는 보이지 않았다.3. 표준문구발화속도는 남자의 경우에 세 연령군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여자의 경우는 75세 이상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연령대에서 성별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말과제의 수행력은 과제 종류에 따라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MPT의 경우에는 연령과 성별의 두 가지 요인에 따른 수행력 차이가 두드러졌고, DDK 및 표준문구발화속도의 경우에는 연령 요인만 영향력 있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각 군의 연구대상자 수가 제한적이었고, 규준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대표성에 대한 정확한 검증이 필요하다. [영문]Performance of speech tasks such as maximum phonation time(MPT), articulation diadochokinetic rate(DDK)(consisting of alternating motion rate(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SMR)), and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assessing and diagnosing motor speech disorders.Although many people recognize that performance of the elderly should be dealt with differently compared with that of the young and middle aged groups, standards for them have not been properly made out.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performance of MPT, DDK and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among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after dividing 176 healthy Korean elderly into three group(aged 55~64, 65~74, and over 75).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MPT tended to decline with age overall but only in the oldest group it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gender factor, males’MPT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females??.2. For performance of AMR and SMR,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in male groups. But for females, /pa/ and /pataka/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performance in the aged over 75 group, and /ta/ and /ka/ did among the three age groups. Gender difference was not found.3.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diminished significantly with age in all male groups and the oldest female group. Gender difference was not found.With these results, performance of speech tasks among the aged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age, gender and a kind of task. In particular, MPT showed a sharp difference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wo factors - age and gender. For DDK and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only age factor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This study was meaningful as it provided basic data which could be used in clinical settings considering age and gender. But the number of subjects in each group was restrictive and more specific verification for representation of a population was necessary to provide with standard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년층의 최대발성시간, 조음교대운동속도 및 표준문구발화속도-
dc.title.alternativeMaximum phonation time and articulation diadochokinetic rate, speech rate of standardized passage in the healthy Korean elderl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eon, Sa R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