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4 654

Cited 0 times in

전신 전이가 있는 위암환자의 치료형태와 생존률

Authors
 조연희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역학통계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전신 전이가 있는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제 치료형태를 파악하고 치료형태에 따른 생존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연구대상은 우리나라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종합병원 이상의 진료기관에서 최초로 전신 전이가 있는 위암환자로 진단받은 총 44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04년 1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전신 전이가 있는 위암대상자는 총 4463명이였고 이들의 성별 분포는 남자 2974명(66.6%), 여자 1489명(33.4%)으로 남자가 1.99배 많았으며 호발 연령은 60대가 전체 대상자의 33.7%를 차지하였다. 전이부위는 발생빈도로 보면 간, 후 복막 및 복막, 복부 내 림프절, 뼈 및 골수, 폐 등으로 나열된다.2. 치료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변수인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에 대해 조사하였고 방사선 요법은 조사 내역에서 제외하였다. 수술은 전체 대상자 중에서 1563명(35.0%)이 시행하였으며 수술을 시행 받은 그룹의 연령분포를 보면 70세를 기점으로 뚜렷하게 시행여부가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수술의 목적에 따라 위절제술이 704명(45.8%), 근치적 병합절제술 179명(11.7%), 고식적 수술 680명(42.5%)이었다. 항암화학요법에 대해서는 1차 요법과 2차 요법 까지만 조사하였다. 총 4463명중에서 1차 요법은 2789명(62.7%)이 시행 받았으며 이 중에서 2차 요법은 1226명(43.8%)이 시행 받았다. 1차 요법을 시행한 그룹의 연령분포를 보면 64세를 기점으로 뚜렷하게 시행여부가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1차 요법의 단독?복합요법에 따른 분포를 보면 단독요법은 788명(28.2%)이고 2제 복합요법은 1814명(64.8%)이고 3제 복합요법은 196명(7.0%)으로 2제 복합요법이 가장 많았다. 2차 요법 또한 1차 요법과 비슷한 분포로 단독?복합요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약제의 종류를 보면 1차 요법에 비해 2차 요법에서 irinotecan의 투여가 많았다.3. 치료형태에 따른 그룹은 무 치료군, 수술만 시행한 그룹,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그룹, 항암화학요법만 시행한 그룹으로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무 치료군은 1226명(27.5%), 수술만 시행한 그룹은 439명(9.8%),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그룹은 1124명(25.2%), 항암화학요법만 시행한 그룹은 1674명(37.5%)이었다.4. 우리나라의 전신 전이가 있는 위암대상자의 생존기간을 본 결과 총 4463명의 중앙생존기간은 7.3개월이고 성별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고령일수록 생존기간이 짧았다. 수술시행여부에 따라 수술을 시행한 그룹의 중앙생존기간은 10.9개월이고 시행하지 않는 그룹은 5.8개월 이었다. 항암화학요법시행 여부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그룹의 중앙생존기간은 10.8개월이고 시행하지 않는 그룹은 3.6개월로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시행여부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있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5. 우리나라의 전신 전이가 있는 위암대상자의 치료그룹에 따른 중앙생존기간은 무 치료군은 2.93개월이고 수술만 시행한 그룹은 5.76개월이고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그룹의 중앙생존기간은 13.8개월이고 항암화학요법만 시행한 그룹은 9.1개월로 이들 그룹간의 생존기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6. 비례위험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술을 시행한 그룹이 수술을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사망위험이 0.609배 낮았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그룹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사망 위험이 0.275배로 낮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치료그룹에 따른 생존기간의 비교위험도를 보았을 때 무 치료군을 기준으로 수술만 시행하였을 때 사망위험은 0.480배,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을 때 사망위험은 0.170배, 항암화학요법만을 시행하였을 때 사망위험은 0.243배이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에서 전신에 전이가 있는 위암환자의 전체 생존기간은 7.3개월이고 치료형태에 따라 생존기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아직 표준 치료가 없는 4기 위암대상자의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의 분포를 보았을 때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형태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항암화학요법에서 여러 가지 항암제 조합들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위암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환자를 진단 할 당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하는 형식에 맞춰 주상병인 위암과 전이 상병만을 확인 할 수 있어서 정확한 위암의 부위, 종양의 크기, 조직병리검사결과를 알 수 없다는 점과 치료내역을 확인 하는 과정에서 급여 가능한 부분만을 확인 할 수 있어서 비 급여 부분이나 임상시험연구 대상자의 정확한 치료 내역은 알 수 없었다는 제한점이 있다.향후 연구 방향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항암화학요법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1차?2차 요법의 항암화학요법의 내역 뿐 만 아니라 모든 과정의 항암화학요법내역을 조사하고 그 패턴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Background : In systemic metastatic gastric cancer, standard treatment have not been established and diverse treatment modalities have been introduced in South Korea. The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is still less than one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pattern and survival analysis in patients with systemic metastatic gastric cancer.Method :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as gastric cancer from Jan. 1, 2004 to Dec. 31, 2004. in South Korea were 20785 and they were registered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HIRA). A total number of 4463 patients who had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systemic metastasis were selected among 20785 patients.The overall survival curve was estimated from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s an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risk factors.Results :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all patients were composed of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s, 27.5% of non-treatment group, 9.8% of operation only group, 25.2% of operation and chemotherapy group, and 37.2% of chemotherapy only group.Second, in patients who had the oper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aim of the operation 45.8% in palliative aim gastrectomy(gastrectomy), 11.7% in curative aim gastrectomy (gastrectomy and metastectomy) and 42.5% in palliative operation (open and close or bypass surgery etc). Among 4463 patients, 62.7% were treated with the first-line chemotherapy. The second-line chemotherapy was 43.8% among who were treated by the first-line chemotherapy.Third, the median survival time of enrolled 4463 patients was 7.3 month. A median survival time in four treatment groups were 2.9 month in non-treatment group, 5.8 month in operation only group, 13.8 month in operation and chemotherapy group and 9.1month chemotherapy only group by Kaplan-Meier metho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log-rank test(p=<.0001). Any type of treatment, if possible, might be increase the survival time.Forth, as a result of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the older the age was, the more the risk increased(p=0.0349).The hazard ratios was 0.609 in patients with operation compared to patients who had not operated. The hazard ratios was 0.275 in patients with chemotherapy compared to patients who had not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When non-treatment group was recognized as a reference group, the hazard ratios according to treatment group were 0.480 in operation only group case, 0.170 in operation and chemotherapy and 0.243 in chemotherapy only group(p=<.0001).Conclusions :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systemic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four treatment group.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standard treatments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we could find that various treatment methods were resulted in various survival time.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might be useful for medical specialists to treat patients suffering from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systemic metastasis.
Files in This Item:
TA0105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0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