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8 685

Cited 0 times in

학령기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발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하나-
dc.date.accessioned2015-12-24T09:34:42Z-
dc.date.available2015-12-24T09:34: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073-
dc.description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생성이름대기 검사는 1분이라는 제한시간 동안 주어진 범주 내 단어를 산출하는 검사로서 크게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 검사와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검사로 분류할 수 있다. 생성이름대기 검사는 언어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신경학적 및 발달적 정도 제공의 가치를 갖는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생성이름대기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와 정상 규준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정상 규준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으로 유용성을 갖는다.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생성이름대기 능력을 양적·질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여 학령기 아동의 정상 규준을 위한 기초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학령기 아동을 대상군으로 설정한 까닭은 학령기의 어휘력은 듣기와 읽기를 통해 낱말의 습득이 가능해지며, 11~12세 정도가 되면 성인 수준에 거의 도달하는, 어휘력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므로 학령기 생성이름대기 능력의 발달 특성을 양적·질적으로 평가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생성이름대기 검사는 의미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동물』과 『슈퍼마켓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을, 음소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ㄱ/과 /ㅂ/음소를 하위범주로 설정하였다. 양적 측면은 총산출단어수로 측정하였고, 질적 측면은 군집 수, 군집 크기, 그리고 전환의 횟수로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음소 범주 생성이름대기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총산출단어수를 분석하였다.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총산출단어수와 군집 크기, 군집 수 및 전환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이는 전체적 어휘력의 발달과 함께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군집과 전환이 학년에 따른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질적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2.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총산출단어수와 군집 수 및 전환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이는 학년에 따른 전체적 어휘력 발달인 총산출단어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단어 인출 전략적 지표인 군집 수와 전환 횟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3. 의미범주와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모두 학년이 증가할수록 총산출단어수는 증가하였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이와 같이 학년에 따른 생성이름대기 능력의 차이는 어휘집 내 단어의 양적인 증가와 함께, 군집과 전환이라는 단어 인출 전략의 효율성의 향상이라 할 수 있다.본 연구 결과는 학년과 성별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함으로써 규준 자료 제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학령기에 해당하는 언어발달장애 아동이 치료실에 왔을 때, 유용한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들은 낱말을 산출 할 때 학년에 따라 총산출단어수와 단어 인출 전략인 군집과 전환 능력을 함께 발달시켰다. 이는 생성이름대기 검사에서 아동이 특정범주의 낱말 산출을 적게 한다면 결과를 분석하여 아동의 어휘치료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앞으로 의미범주 단서로서 성차가 없는 중립적인 항목을 찾는 후속 연구와 지역적 요인과 피험자의 부모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지위 등 환경적인 요인들은 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Generative naming test is categorized by the semant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and phonem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as the test which orally produces as many words from a given category within one minute. Generative naming test is useful to evaluate language functions and has a value by providing neurologic and developmental degree. In addition, it is clinically useful by providing the standard criterion of fundamental data for school-aged children. But, th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naming ability for current school-aged children and the studies of fundamental data for standard criterion are insufficien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tandard criterion for school-aged children by analyzing the ability of generative naming for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1 through 6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is study, school-aged children were selected as target groups. Students aged from 11 to 12 are suit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al characters of school-aged students’ generative naming abilities because the period is important for them to develop their vocabulary abilities which almost reach the adults’ level.In generative naming test, “animal test” and “supermarket test” were used in semantic category and two phonemes of /ㄱ/ and /ㅂ/ were used in phonemic category. In the quantitative aspect, the total number of words was measured and in the qualitative aspect, the number of clusters, the size of clusters, and the number of switch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total number of word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grades and gender in semantic and phonemic generative naming.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1. As students’ grades were higher, the total number of words, the size of clusters, the number of clusters, and the number of swit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cabulary ability and clusters and switch in the semant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characters with regard to grades.2. In the phonem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as students’ grades were higher,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clusters, and swit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actors which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words as the ability of using vocabulary were the number of clusters as a strategical word retrieve index and the number of switch.3. Although the semantic category and the phonem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increased as students’ grades were hig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Therefore, the differences in generative naming ability with regard to students’ grades was the effectiveness of inducing strategy of words of cluster and switch as the quantity of words in vocabulary groups increased.The results of the study is meaningful to form the groundwork for suggesting standard data by provid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generative naming scores with regard to students’ grades and genders.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evaluation tool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In addition, when children generate words, they develop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ability of cluster and switch with regard to the grades. If children orally produce words in a certain category, the words can be analyzed to instruct them.Further studies which examine a neutral category as the clue of a semantic category and consider locational factors,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social statu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warrant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학령기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발달-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Generative Naming Ability in School-Aged Childre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u, Ha N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