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2 1259

Cited 0 times in

말기 암 환자에서 여명 예측지수(PPI, PaP)의 타당도 검증

Other Titles
 Validation of the Scoring System(PPI, PaP) for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uthors
 김영성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역학통계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여명이 6개월 정도 예측되는 호스피스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명 예측지수(PPI, PaP)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연구 대상은 2006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호스피스 병동을 운영하는 경기 소재 종합병원에서 입원했던 22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06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대상자는 총 226명 이었고 남자는 118 명(52.21%), 여자는 108명(47.79%)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5.49±12.84세였고 평균 생존기간은 32.14±47.27일 이었다. 원발 병소는 폐 69명(30.53%), 간 24명(10.62%), 위 52명(23.01%), 자궁 18명(7.96%), 대장 25명(11.06%), 췌장 26명(11.50%), 유방 12명(5.31%) 이었다.2. 완화의료 예후지수(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 완화의료 예후점수(Palliative Prognostic Score: PaP)와 실제 여명과의 관계는 점수가 낮을 수록 생존일수가 증가함을 보였다.3. 전문의가 계산한 PPI, PaP와 실제 생존일수를 상관분석으로 비교하였다. PPI의 경우 Person‘s 상관계수가 -0.371, PaP는 -0.447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즉 예후지수의 총점이 작을수록 오래 생존하였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4. 완화의료 예후지수(PPI)의 타당도 검증은 기존에 사용하던 PPI와 본 연구에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커브를 이용하여 정해진 Cut-off point를 비교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6점을 기준으로 하여 6점 이상일 때 여명이 3주 미만이라는 예측에 대한 민감도는 76%, 특이도는 81.7%이었고, 5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민감도 82%, 특이도 75%였다, 이외에 각각의 원발 병소 별로 각각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정해진 Cut-off point를 기준으로 하여 Kaplan-Meier 방법으로 생존곡선을 얻었으며, 로그변환 분석에서 5점 이하인 군이 5점 이상인군에 비해 의미있게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2).5. 완화의료 예후점수(PaP)의 타당도 검증은 본 연구에서 ROC커브를 이용하여 정해진 Cut-off point를 기준으로 하여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7점 이하 일때 여명이 30일 이상이라는 예측에 대한 민감도는 78%, 특이도는 80%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정해진 Cut-off point를 기준으로 하여 Kaplan-Meier 방법으로 생존곡선을 얻었으며, 로그변환 분석에서 7점 이하인 군이 7점 이상인군에 비해 의미있게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6. CoX's 비례함수를 이용하여 실제 생존일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PPI, PaP의 각각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항목별 생존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였다. PPI의 경우 5가지 항목 중 나이와 성별을 통제한 경우, 부종(HR=1.366, P<0.0344)의 유무가 가장 생존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aP의 경우에는 백혈구 수치(HR=1.370, P<0.0062)가 생존일수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여명 예측지수(PPI, PaP)는 우리나라 말기 암 환자의 여명예측에 타당한 도구로 증명되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예후지수와 새로운 기준 값을 구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용하여도 민감도, 특이도의 상대적인 비율의 차이가 있었으나 역시 타당도가 입증되었다.향후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지역과 기관에 걸쳐 원발병소, 증상, 수행 능력, 임상 병리 검사 결과, 합병증 등을 포괄하는 예후예측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Background: Accurate prediction of survival in terminal cancer patients is important for planning on effective palliative care. But the prediction of survival most often relies on the physicians' prediction. Recently, simple prognostic scores such as Palliative Prognostic Index(PPI) and Palliative Prognostic Score(PaP), have been developed to estimate the duration of surviv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se prognostic scores and physicians’prediction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Korea to determine its value in clinical practice.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6 terminal cancer inpatients of 1 hospital who had died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07. All patients’PPI, PaP, physicians’prediction were recorded on admission by physicians.Results: When a PPI of more than 6 was adopted as a cut-off point, 3 weeks’survival was predicted with a sensitivity of 76% and a specificity of 81.7%, When a PPI of more than 5 was adopted as a cut-off point, 3 weeks’survival was predicted with a sensitivity of 82% and a specificity of 75%, When 3 groups were made by PaP(group A : ≤5.5, group B: 5.6-11, group C: >11), the mean survival days were 67days for group A, 32 days for group B, and 11.62 days for group C. When a PaP of more than 7 was adopted as a cut-off point, 30 days survival was predicted with a sensitivity of 78% and a specificity of 80%. Physicians’ prediction of survival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PPI = -0.371, PaP = -0.4772).Conclusion: PPI was proved as a reliable survival prediction tool in Korea. Physicians’survival prediction had a correlation with actual survival and presumed to be more accurate when combined with an other prognostic score.
Files in This Item:
TA010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0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