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7 745

Cited 0 times in

기본문법기 정상아동의 연령과 발화 길이에 따른 조사의 산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나영-
dc.date.accessioned2015-12-24T09:32:39Z-
dc.date.available2015-12-24T09:32:3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93-
dc.description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정상아동은 한 낱말 시기를 지나 두 세 낱말로 연결되는 발화로 발전하면서 문법형태소를 획득하는데,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사나 어미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산출하여야 한다. 정상아동의 조사 산출에 대한 자세한 발달 자료는 언어장애아동과 관련하여 조기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데, 특히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조사의 오류를 빈번히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자료가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만 2세 6개월부터 4세 6개월까지의 정상아동을 6개월 단위의 네 집단으로 나눈 뒤, 자발화를 수집하여 그들의 조사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상아동의 생활연령 및 평균발화길이(MLU)에 따라 조사의 총유형수, 총빈도수, 실수 횟수, 실수 유형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의 총유형수와 총빈도수는 2세 후반부터 3세 후반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지만, 3세 후반과 4세 전반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평균낱말길이(MLU-w)와 평균형태소길이(MLU-m)가 길어질수록 조사의 총유형수와 총빈도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조사의 실수 횟수는 2세 후반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여 3세 전반부터 4세 전반에 이르기까지 비슷하였다. 조사의 실수 유형을 살펴보면, ‘대치(substitution)’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생략(omission)’과 ‘이중사용(duplicative use)’의 경우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평균낱말길이(MLU-w)와 평균형태소길이(MLU-m)는 조사의 실수 횟수 및 실수 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2세 후반에서 4세 전반 아동들의 조사 발달을 평가하는 데 평균낱말길이나 평균형태소길이가 적절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사 산출의 실수 자료는 정상아동을 통해 조사의 오류가 빈번한 SLI 아동들을 변별해낼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정상발달과정의 조사 산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언어장애아동의 진단 및 치료에 준거(criteria)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Detail information related with particle production in normal children could be an important index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 This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because they frequently show errors in the use of particles. In this study, children aged from 2 years 6 months to 4 years and 6 months residing in Seoul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 an age increment of 6 months and their spontaneous utterance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ir development in particle produc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analyzing the number of total particle types, number of total particle frequencies, number of particle errors, and types of particle errors according to their chronological age and mean length utterance(MLU) in these normal children. First, the number of total particle types and number of total particle frequencie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late part of 2 years to the late part of 3 yea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children in late 3 years and those in late 4 years. Second, as MLU-w and MLU-m increased, the number of total particle types and number of total particle frequenc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ird, the number of particle errors was the highest in children in late 2 years and decreased afterwards. It was similar in children in early 3 years to those in early 4 years. In the case of the error types, substitution decreased as chronological ages increase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case of omission and duplicative use. Fourth, MLU-w and MLU-m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article errors and types of particle errors. MLU-w or MLU-m could be useful as a reference in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particles in children in late 2 years to early 4 years. Furthermore, errors related with particle production could be a criterion in differentiating normal children with SLI showing frequent errors in particle produc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ignificant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nguage impairment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with particle production in normal childre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기본문법기 정상아동의 연령과 발화 길이에 따른 조사의 산출-
dc.title.alternativeProducing particles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length of utterance of normal children in the period of basic gramma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Na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