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875

Cited 0 times in

13세와 16세 간의 생성이름대기 비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방영임-
dc.date.accessioned2015-12-24T09:31:05Z-
dc.date.available2015-12-24T09:31:0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31-
dc.description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생성이름대기 검사(generative naming test)란 제한시간 동안 주어진 범주 내의 단어를 산출하는 검사로 크게 의미 범주와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 검사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이름대기의 질적 평가를 시작할 수 있는 시기인 13세 군과 언어발달 면에서 13세 군과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는 16세 군의 생성이름대기 능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의미 범주(『동물』, 『가게에서 살 수 있는 물건』)와 글자 범주( ㄱ, ㅇ, ㅅ )에서 산출된 단어를 양적(총 산출 단어의 수), 질적(군집, 전환, 군집의 평균크기, 군집의 범주화)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성별 및 글자의 출현빈도가 연령에 따라 생성이름대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1. 16세 군이 13세 군보다 의미 및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총 산출 단어 수가 유의하게 컸다. 이러한 차이에는 효율적인 인출 및 탐색 전략, 전체적인 어휘력의 향상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2. 16세 군이 13세 군보다 의미 및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군집의 개수와 전환의 횟수가 유의하게 컸다. 이러한 차이에는 정보처리속도의 발달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군집 내의 평균 단어 수에서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3. 의미 범주 생성이름대기의 하위 범주인 『가게에서 살 수 있는 물건』에서 범주의 개수와 통칭·실례의 비율 상에는 연령차가 없었다. 그러나 두 연령 군 모두가 총 10개 가운데 약 5개의 범주를 이용하고 실례의 비율을 통칭의 비율보다 크게 하여 생성이름대기를 하였다. 4. 의미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는, 13세 군과 16세 군 모두에서 여자 군이 남자 군보다 『가게에서 살 수 있는 물건』항목의 단어 산출을 유의하게 많이 했으며, 총 산출 단어 수도 여자 군이 남자 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는 두 연령 군 모두 여자 군의 총 산출 단어 수가 남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남녀간의 어휘 증가율의 차이와 성별에 따른 사회적 생활반경에 따른 차이로 설명할 수 있었다. 5. 두 연령 군 모두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하나의 범주로 묶일 수 있는 군집의 개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글자적 범주를 사용하되, 한 가지 하위범주에서 다른 범주로 넘어갈 수 있는 전환에 있어서는 의미적 범주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따라서 글자 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의미 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와는 달리 2가지 범주에서의 단어 탐색 전략을 동시에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 13세, 16세 군은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 시 글자의 출현빈도와 제시순서에 따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6. 두 연령 군 모두 의미 범주 생성이름대기의 총 산출 단어 개수가 글자 범주 생성이름대기의 총 산출 단어 개수보다 더 많았다. 이와 함께 의미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와 글자 범주의 생성이름대기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를 통해 머릿속 어휘집은 의미적, 기능적으로 구성되어 있되, 글자적 탐색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부분이 있다고 유추할 수 있겠다. [영문]The generative naming test requires respondents to produce as many words in a category as possible within an allotted time and is divided into semantic generative naming and letter generative naming t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tive naming ability of two age groups: 13- and 16-year-ol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otal number of words in both semantic and letter generative naming tes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2. The number of clusters and switches in both semantic and letter generative naming tes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However, the mean cluster siz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3. In both age groups, categories sampled and labels·exemplars ratio during 『items in stores』, which is a subcategory of semantic generative naming te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a sample of approximately five categories was the most relevant size in both age groups. In addition, the exemplars ratio was higher than the labels ratio. This might indicate that both 13- and 16-year-olds were apparently able to access a large hierarchical category set at the exemplars stage. 4. In the semantic generative naming test, girls in both age groups produced a significantly larger, total number of words and more words of 『items in stores』 category. In addition, in the letter generative naming test, girls in both age groups produced a significantly larger, total number of words than boys did. 5. In the letter generative naming test, both age groups used more letter clusters than semantic clusters. Furthermore, they used more semantic switches than letter switches. This might mean that they used two kinds of strategic retrieval processes. The frequency of letters did not affect the total number of words in either age groups. 6. In both age groups, the total number of words during the semantic generative naming test was larger than that during the letter generative naming test. Furthermore, the two-way interaction, including semantic and letter generative naming, was reliably significant. This might show that the mental lexicon is organized semantically and functionally but is also flexible enough to search for letters.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both semantic and letter generative nam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During these generative naming tests, strategic retrieval processes and vocabulary might have affected the resul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13세와 16세 간의 생성이름대기 비교-
dc.title.alternative(A) comparison of generative naming between 13- and 16-year-old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ng, Young Im-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