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 1099

Cited 0 times in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의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the「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박사
Abstract
[한글]조음-음운장애는 아동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의사소통 장애로서 자발적인 발화를 분석하거나 공식적인 검사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이 중에서 공식적인 검사는 또래 아동과의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고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그러나 기존의 우리말 조음검사들은 우리 말소리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고 아동에게 부적절한 검사 낱말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서 새로운 조음검사의 개발이 요구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조음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검사를 제작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새로운 검사를 이용하여 정상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정확도 차이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을 알아보았다.

새로 개발한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는 총 70개의 말소리를 37개의 낱말로 검사한다. 70개의 말소리는 우리말의 음운 특성, 음운 발달, 음운 빈도를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말 자음을 다양한 음운 환경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또한 37개의 낱말은 학령전 아동이 그림을 보고 자발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것들로 선정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언어발달이 정상인 222명의 2세 6개월에서 6세 5개월까지의 아동 자료를 수집하였다. 70개 문항 중에서 바르게 산출한 문항을 1점으로, 생략, 대치, 왜곡이 있는 문항을 0점으로 채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22명 자료를 이용하여 내적 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 문항의 경우 .94의 일치도 계수를 보였고, 문항을 조음방법별로 나눈 경우 .77-.90의 일치도 계수를 보였다.

2. 30명 자료를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본 결과, 문항별로 77%-100%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3. 30명 자료를 이용하여 채점자간 신뢰도를 알아본 결과, 문항별로 80%-100%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4. 30명 자료를 이용하여 공인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본 검사의 자음정확도는 ‘그림자음검사’의 자음정확도와 .90의 유의미한 상관계수를 나타내었고 자발적인 발화의 자음정확도와도 .89의 유의미한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한편 정상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정확도 차이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능적 조음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이나 연령 그룹 경계에 있는 아동을 제외한 160명의 자료를 6개월 단위로 분석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정확도와 습득 연령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에 따른 차이를 잘 드러낸 정확도는 전체 자음정확도였다. 전체 자음정확도는 2세 후반이 다른 모든 연령과 차이가 있었고, 3세 전반이 4세 후반 이후의 연령과 차이가 있었으며, 3세 후반이 5세 후반 이후의 연령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어떠한 정확도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2. 가장 먼저 완전습득 연령에 도달한 자음은 파열음 중 경음 /ㅃ,ㄸ/였다. 75%의 아동 수를 기준으로 할 때, 종성 /ㄱ,ㅇ/을 제외한 파열음과 비음, 파찰음, 종성 유음, 성문마찰음이 모두 3세 전반 이전에 습득되었다. 그리고 종성 연구개음 /ㄱ,ㅇ/은 4세 전반에 습득되었고, 초성 유음은 5세 전반에 습득되었으며, 치조마찰음은 6세에 습득되었다. 그러나 왜곡을 오류로 보지 않을 경우 초성 유음은 4세 전반에, 치조마찰음은 5세 전반에 습득되었다.

참고적으로 222명 아동의 다양한 원점수에 대해 연령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오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음운변동 검사를 추가하고 인구분포에 맞게 표집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의 아동 자료로 규준을 제시한다면,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는 아동의 조음-음운발달을 진단하는 유용한 공식검사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are common communication disorders among children, and these disorders are generally evaluated by spontaneous speech samples or by formal tests. The latter have good clinical value because testing may provide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allow for objective comparison of children with their peer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ology a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on the previously available tests, and words that are unsuitable for testing children have been included on these tests. Thus, I wanted to develop a new formal test that measures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I then examin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scores across age groups and gender for children, and the age of acquisition of Korean consonants were examined.

The new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K-TAC)''investigates 70 speech sounds. These items were selected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development and frequency of Korean consonants in order to test for the 19 Korean consonants in various phonetic contexts. A total of 70 speech sounds were elicited through 37 words that preschool children could spontaneously produce.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I collected the data of 222 children from the age of 2;6(years;months) to 6;5. The items that were correctly produced were scored as 1, and those items that were omitted, substituted or distorted were scored as 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internal consistency, the Cronbach''s coefficient regarding the scores of the 222 children was .94 for the total items and .77-.90 if the items were divided by the manner of articulation.

2. For test-retest reliability, the percentage of agreement regarding the scores of 30 children was 77%-100% per item.

3. For interscorer reliability, the percentage of agreement regarding the scores of 30 children was 80%-100% per item.

4. For concurrent validit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arding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PCC) of 30 children was .90 with the PCC of the ''picture consonant test'', and it was .89 with the PCC of spontaneous speech.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ross ages and gender, and also to look into the age of acquisition of Korean consonants, children at the border of the age groups or thos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were excluded, and the resulting data of 160 children were analyzed into 6-month interv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CC revealed the differences across the ages the most clearly. The PC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ate 2-year-old group and all other groups, between the early 3-year-old group and the late 4-year-old group or older, and between the late 3-year-old group and the late 5-year-old group or older. However, none of the score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2. Fortis stops /p*,t*/ were mastered at the earliest age. Nasals and stops except syllable-final velars, affricates, syllable-final liquid and glottal fricatives were acquired before the early 3 years of age. Syllable-final velars were acquired at early 4, syllable-initial liquid was acquired at early 5, and alveolar fricatives were acquired at 6. However, if the distorted sounds were scored as correct, the syllable-initial liquid was acquired at early 4, and alveolar fricatives were acquired at early 5.

If a test of phonological process could be added to analyze the error patterns and if a norm could be deriv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is test to children of various socioeconomic classe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istribution, this test could become a useful tool in diagnosing children with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Files in This Item:
TA0078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2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