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34

Cited 0 times in

한국인의 정상 안저의 형태학적 연구

Authors
 장혜란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안저검사가 눈의 질환 뿐 아니라 전신질환의 진단과 경과의 판정에 중요하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병적인 안저의 연구를 위하여 정상 안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안저검사 방법 중 가장 흔히 손쉽게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직상검안경 검사를 들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조작이 간편하고 이동이 손쉬워서 편리하나

, 검사자의 주관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며 영구히 확실한 실제적인 기록을 보존할 수 없

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안저사진기가 임상에 도입도니 이래 안저검사에 큰 공헌을 하

였으며 직상검안경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여 주었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검사방법을 이용하여 정상 안저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나,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는 직상검안경 검사가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지고 있는지

에 대하여서는 아직 연구보고가 없으며, 정상 한국인의 시신경유두와 망막혈관의 실제 크

기에 대한 연구도 없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정상 한국인 125명(250안)에서 직상검안경과 안저사진기를 사용하

여 안저검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신경유두의 형태는 직상검안경 검사와 안저사진 검사에서 모두 수직타원형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원형이었고, 수직타원형과 원형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

으며, 시신경유두의 수평경은 평균 1.29mm, 수직경은 평균 1.39mm였다.

2. C/D비는 두가지 검상서 모두 0.3 이하인 경우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

3. 시신경유두부에서의 망막중심동맥 기시부위는 두가지 검사에서 모두 비측중앙부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중심부였고, 비측중앙부와 중심부에서 깃하는 경우가 전체의 90

%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망막중심정맥의 함입부위는 두가지 검사에서 모두 중심부가

전체의 80%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망막중심동맥은 96.4%에서 망막중심정맥의 함입부위보

다 비측에서 기시하고 있었다.

4. 시신경유두부에서의 망막중심정맥 기시형태는 시신경유두부에서 상·하의 제1분지를

내면서 기시하는 제2군이 60.80%로 가장 많았고, 망막중심정맥의 함입형태 역시 제2군이

37.60%로 가장 많았다.

5. 시신경유두부에서의 망막중심정맥 분지의 분포형태는 두가지 검사에서 모두 제9군(

대칭)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제5군(비측 및 상이측)이었고, 망막중심정맥 분지의 분

포형태 역시 비슷하였다.

6. 망막중심정맥 제1분지의 크기는 평균 83.42μ이었으며, 동반되는 정맥의 크기는 111

.52μ이었고, 정맥/동맥비는 1.34였다. 망막중심정맥 제2분지의 크기는 평균 60.87μ이었

으며, 동반되는 정맥의 크기는 87.17μ이었고, 정맥/동맥비는 1.43이었다.





The Morphologic Study of the Normal Fundus in Korean



Hae Ran Cha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or Prof. Ouk Choi, M.D.)



The examination of the fungus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prognosis of the ocular and systemic diseases.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about themorphology of normal fundus for the investigation of

abnormal fundus.

Among the various methods us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fungus, the direct

ophthalmoscopy is the most useful, convenient, and simple method, but the obvious

disadvantages were subjective estimation and lack of document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undus photography, it has compensated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direct ophthalmoscopy an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of

investigation of the fungus of the eye.

Normal fundus has been investigated by various methods, but the direct

ophthalmoscopy has never been compared with the fundus photography in the

examination of normal picture of the fundus.

In this study, the direct ophthalmoscopy and the fungus photography were

performed on 125persons (250eyes) to evaluate following aspects ;

1) The shape of the optic disc

2) The C/D ratio

3) The portion of the origin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C.R.A.) from the optic

disc, and the central retinal vein (C.R.V.) into the optic disc

4) The shape of the origin of the C.R.A. from the optic disc, and the C.R.V. into

the optic disc

5) The distribution of the branches of the C.R.A. and the C.R.V. in the optic

disc

6) The diameter of the branches of the C.R.A. and the C.R.V.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either the direct ophthalmoscopy or fundus photography, the most common

type of the shape of the optic disc was vertically oval, and the next was round,

and these two types included over 80%.

The mean horizontal diameter of the optic disc was 1.29mm, and the vertical

diameter 1.39mm.

2. The C/D ratio was 0.3 or less in over 77% of the subjects.

3. The most common portion of the origin of the C.R.A. from the optic disc was

nasal center, and the next was center, and these two types comprised over 90%.

The most common portion of the C.R.V. into the optic disc was center (over 80%).

The C.R.A. were nasal to the C.R.V. in the optic disc in 96.40% of the subjects.

4. The most common shape of the origin of the C.R.A. from the optic disc was

class 2(60.80%), which bifurcates on the optic disc, whereas the most common shape

of the C.R.V. on the disc was also class 2 (37.60%).

5. The most common type of the distribution of the branches of the C.R.A. as well

as C.R.V. was class 9 (symmetric), and the next was class 5 (nasal-temporal up).

6. The mean diameter of the first branches of the C.R.A. was 83.42μ, and

accompanying vein, 111.52μ. The V/A ratio was 1.34.

The mean diameter of the second 7ranches of the C.R.A. was 60.87μ, and

accompanying vein, 87.17μ. The V/A ratio was 1.43.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50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0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