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60

Cited 0 times in

심방 및 심방중격의 전기전파 양상과 이에 대한 냉동수술요법의 영향

Authors
 장병철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방실결절 주위조직과 심방중격은 여러 상 심실성 빈맥(上心室性頻脈)의 주요한 기질이

될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방실결절은 심방 및 심실중격 접합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우심

방측 심방중격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방실결절 주위의 조직과 심방중격에서의 전기전파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동 율동, 심방페이싱 및 심실페이

싱 동안 심방뿐 아니라 우측 및 좌측 심방중격의 전기활성도를 작성하여 심방에서의 전기

전파를 분석하고, 둘째 방실결절 희귀성 빈맥을 치료하기 위하여 도입된 냉동수술요법이

심방 및 심방중격의 전기전파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고, 심실자극시 역행성 실방(ventri

culoatrial)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6.0-34.5kg사이의 잡견 11마리를 이용하였으며 이중 대조군 5마리

에서는 정상심방에서의 전기전파를 분석하였고, 6마리에서는 방실결절주위 냉동수술한 다

음 8주이상 지난후 전기전파양상을 분석하였다. Pentobarbital sodium으로 마취하고 개흉

한 다음 정상체온 및 완전 체외순환하에 좌,우심실을 절개하고 방실판막을 통하여 심내막

전극형판(좌, 우심방에 도합 252개의 양극성 전극 부착)을 삽입하였다. 동 율동, 심방페

이싱 및 심실페이싱을 하면서 256채널 전산화시스템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

과를 얻었다.

1.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사이의 전기전파는 우심방의 분계릉과 심방중격의 난원와 전상

부에 위치한 굵은 심근대를 따라 빨리 일어났다.

2. 전기생리적으로 심방중격에서의 전기전파 양상은 우심방측과 좌심방측 두층의 경로

로 구분되었다.

3. 심실페이싱으로 우심방측 코호(Koch)삼각형 중앙 심내막이 가장 빨리 활성화되었고,

그다음 비대칭형으로 심방중격 및 좌·우심방이 활성화되었으며, 좌심방측 심방중격은

우심방이 활성화된 다음 평균 12.4±2.4msec (10-15 msec)후에 활성화되었다.

4. 방실결절주위 냉동수술 8주후에 AH(atrio-His)간이 다소 연장되었으나, 통계적 유의

성은 없었으며, 심실페이싱시 실험동물 6마리중 3마리(50%)에서 심실-심방 전기전도가 차

단되었다.

5. 냉동수술후 동 율동시에 검사한 심내막전기활성도상에서 우심방 종절개를 했던 우심

방의 전벽(anterior wall) 전기전파는 대조군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결절간 전기전파

양상에는 영향이 없었다.

6. 냉동수술후 실시한 심방중격 전기활성도검사 결과 심실페이싱시 냉동병소의 우측 바

깥쪽의 심방중격이 활성화되었으며, 좌심방측은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우심방측의 전기활

성화가 일어난 다음 6-19msec후에 활성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동방결절과 방실결절 사이의 전기전파는 심방의 굵은 심근

대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일어나고 심방중격은 전기적으로 두층으로 되어 있으며, 좌심방

측 심방중격은 방실결절과 직접적인 전기전파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방실결절

주위 냉동수술은 50%에서 심실-심방 차단을 일으키나, Atrio-His(AH)간이나 심방 및 심방

중격 전기전파 양상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Electrical Propagation of the Atrium and the Atrial Septum and Effect of Perinodal

Cryosurgery



Byung-Chul Cha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yung Hwan Kim, M.D.)



The AV node is a structure in the atrial septum at the atrioventricular junction.

The atrial septum is important for various types of supraventricular arrhythmia

especially for AV node reentrant tachycardia. In this study, it was aimed to

understand the electrical propagation in the atrium and the atrial septum, as well

as the effects of perinodal cryosurgery.

Eleven mongrel dogs weighing between 26.0 and 34.5kg were divided into control(5

dogs) and cryosurgery(6 dogs) group. The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pentobarbital sodium(30 mg/kg) and under a normothermic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endocardial electrodes template (left atrium; 124, right atrium; 128

bipolar electrodes) were placed into the both atria. The endocardial electrical

activation was recorded using a 256 channel computerized mapping system during

normal sinus rhythm, atrial pacing, and ventricular pacing. For the cryosurgery

group, the endocardial electrical activation was recorded after eight weeks of

perinodal cryosurger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electrical propagation from the SA node to the AV node occurred mainly

through thick muscle band of the crista terminalis and anterior limbus fossa ovalis

of the right atrium.

2. Electrophysiologically, the atrial septum appeared to be 2 layers

3. During ventricular pacing, the center of the Koch triangle was the first to

respond to activation. When the atrial septum of the AV nodal area was activated,

the electrical activations propagated asymmetrically and the activity of the left

atrium was propagated through the Bachmann'a bundle. The left atrial side of the

atrial septum was activated 10-15 msec later than the right side during ventricular

pacing.

4. The cryosurgery did not chang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H, HV, AV

node effective refractory period and AV node Wenckebach period. However, the

ventriculo-atrial conduction was blocked in 57% of the animals.

5. In cryosurgery group, the electrical propagation from the SA nodal area to

both atria was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except along side the vertical right

atrial incision site.

6. The endocardial activation map in the cryosurgery group showed that the

activation was spread out from the lateral atrial tissue outside of the

cryolesions. The left atrial side of the atrial septum was activated 6-19 msec

later than the right atrial side.

In conclusion, electrophysiologically the atrial septum appears to be composed of

2 layers and there is no direct electrical propagation between the AV node and the

left atrial side of the atrial septum. The cryosurgery did net influence the

electrial activation sequence from the SA node to the AV node except the site of

cryoles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40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흉부외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Chang, Byung Chul(장병철)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