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615

Cited 0 times in

소아혈압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태룡 
Issue Date
1990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소아혈압을 결정하는 요인과 정상군 및 상대적 고혈압군을 구분하는 요인을 찾고자 198

9년 4월부터 6월까지 원주군의 4개 국민학교와 1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621명과 학생

의 부모 926명을 대상으로 혈압과 이에 관련된 변수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

과를 얻었다.

첫째, 아동의 혈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축기혈압은 남아에서 연평균 2.4mmHg, 여

아는 3.3mmHg가 높아졌고, 이완기혈압 Ⅳ는 남아에서 연평균 1.2mmHg, 여아는 2.O mmHg로

여아의 혈압증가율이 남아보다 높았다. 9∼10세 이전에는 남아의 혈압이 여아보다 높다

가 11∼12세를 전후하여 여아가 높아졌다.

둘째, 가족집적현상을 발견하였으며, 높은 퍼센타일 뿐만 아니라 낮은 퍼센타일의 혈압

분포에서도 존재하고 있었다.

셋째, 정상군과 상대적 고혈압군간에 차이가 있는 신체계측적 변수는 아동의 체중, 앉

은키, 팔둘레, 피부두께, 퀴텔레지수가 있는데 아동의 체중은2.7kg, 앉은키 2.5kg, 팔둘

레 0.9cm, 피부두께 1.7mm, 퀴텔레지수가 0.9로 상대적 고혈압군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

로 유의(p<0.05)하였다. 그러나 신장은 두군이 비슷하였다.

생화학적 검사물질은 총단백질 0.1g/dl, 혈당 2.4 mg/dl, 트리글리세라이드 11.1mg/dl

의 차이로 상대적 고혈압군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p<0.01)하였다. 또한 맥박도

분당 약 4회정도 상대적 고혈압군이 높았다.

부모에 관한 변수에서 부의 관련 변수인 연령, 체중, 맥박,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에서

는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모에 관련된 변수중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에서 상대적 고혈

압군의 모가 정상군의 모보다 수축기혈압 4.9mmHg, 이완기혈압 3.8mmHg가 높았다.

넷째, 소아혈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축기혈압은 신체계측요인, 아동의 맥박, 부모의

맥박, 모의 이완기 및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Ⅳ는 신체계측요인과 아동의 맥박, 그리

고 이완기혈압 Ⅴ는 아동의 맥박과 혈액형이 있었다.

다섯째, 정상군과 상대적 고혈압군을 판별하는 요인은 신체계측요인, 아동의 맥박, 부

모의 맥박, 단백질요인, 지질요인, 부의 혈압요인으로 예측확률은 86.0%이었다.

소아의 혈압을 결정하는 요인은 체중, 신장, 팔둘레 등과 같은 신체계측치와 아동의 맥

박, 모의 교정혈압과 부모의 맥박이 있었으며, 정상군과 상대적 고혈압군의 판별시에도

이들 변수가 중요하였다. 생화학적 물질이 전체 아동의 혈압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큰 영

향을 미치지 못하나 상대적 고혈압군을 판별하는데는 중요하였다.





Factors Affecting Children's Blood Pressure



Tae Yong Le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Il Soon Kim, M.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blood pressure and

factors differentiating normal and relative hypertensive group among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621 school children aged 6 to 16 years and their 936 parents

from April 1 to June 30, 1989 in Wonju county.

The following results of analysis were obtained :

The mean blood pressure was increased by age in both sexes. Average annual

elevation rate of systolic blood pressure was 2.4mmHg in boy and 3.3mmHg in girl;

that rat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Ⅳ was 1.2mmHg in boy and 2.OmmHg in girl.

Elevation rate of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girl than boy.

2.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eight, arm circumference and Triceps

skinfold were increased by age, but skinfold in boys were thinned among 15years or

older. Boy's pulse rate was decreased by age, but girl's pulse rate was increased

by age.

3. Total protein,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increased by age, cholesterol was

decreased by age in boy but not changed in girl. Uric acid increased by age in boy

but not changed in girl.

Albumin and HDL(high density lipoprotein) were net changed; and LDL(low density

lipoprotein) were decreased.

4. Familial aggregation of blood pressure was identified based on binomial

goodness-of-fit test.

5.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normal and relative hypertensive

groups for weight, sitting height, arm circumference, Triceps skinfold, Quetelet

index, total protein, glucose, triglyceride, pulse and mother's blood pressure.

6. Determinants of children's blood pressure were: physical characteristics,

pulse, parental pulse and maternal blood pressure in systolic pressur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ulse in diastolic pressure(Korotkoff sound phase Ⅳ), pulse

and blood type in diastolic pressure(Korotkoff sound phase Ⅴ).

7. Factors differentiating the normal and relative hypertensive goups were

physical characteristics, pulse, parental pulse, lipids and paternal blood

pressure.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was 86.0%.

Futher research should be directed toward tes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s in blood.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