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569

Cited 0 times in

물리치료사의 요통발생 위험요인 분석

Authors
 이충휘 
Issue Date
1990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물리치료사의 요통유병률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고, 둘째. 요

통유무와 관련된 변수들과 그 관련정도를 알아보며. 셋째, 요통재발과 관련된 변수들을

선정하고 그 관련정도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대한물리치료사협회에 등록된 회원 중 1989년 6월에 취업하고 있는 물리치

료사 1,952명이었다. 이 중에서 우편설문지에 응답한 1,005명 (51.5%)을 분석하였다. 조

사기간은 1989년 12월 13일부터 1990년 3월 5일까지이었다. 연구변수로는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 근무환경 요인, 심리적인 요인, 행동적인 요인, 요통에 관한 변수들이었다.

사용된 분석방법은 단일변량분석방법과 다변수로지스틱 회귀 분석이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리치료사의 요통유병률은 남자가 46.2%. 여자가 56.7% 전체 52.6% 이었다.

2. 물리치료사의 요통재발율은 72.5%이었다.

3. 요통의 원인은 "원인은 모르지만 오랫동안 물리치료직에 종사하였기 때문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2.2%이었다.

4. 요통경험자 중에서 취업후 1년 이내에 요통이 발생한 백분율은 53.5%이었다.

5. 요통군과 비요통군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 근무경력, 과거의 요통경험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6. 요통군과 비요통군의 근무환경 요인을 비교한 결과 일일치료환자수, 근무자세, 환자

이동, 환자들기동작, 서 있는 시간, 앉아 있는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7. 요통군과 비요통군의 심리적인 요인을 비교한 결과 직무만족과 업무관련성 스트레스

가 관련이 있었다.

8. 다변수로지스틱 회귀분석시 요통유무와 관련된 변수는 남자물리치료사의 경우 과거

의 요통경험, 직무만족 여부. 그리고 허리유연성체조의 실행여부이었고 각각의 비차비는

3.48, 1.49, 0.45이었다. 여자물리치료사의 경우 요통유무와 관련된 변수는 과거의 요통

경험. 물리치료경력이 1년 이상인 경우, 그리고 일일치료환자수가 20명 이상인 경우이었

다. 각 변수의 비차비는 각각 5.13, 1.65, 1.47이었다.

9. 재발성 요통 혹은 만성요통과 관련된 변수는 남자물리치료사의 경우 일일치료환자수

이었고 비차비는 1.64이었다. 여자물리치료사의 경우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일 때 비차비는

1.61이었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변수들이 요통발생, 그리고 재발여부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성립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변수들이다. 좀더 명확하게 인과

관계가 성립되는 변수들을 파악하여 요통발생을 줄일 수 있는 예방대책이 마련되려면 이

연구에서 선정된 변수들을 근거로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 이다.





Riak Factors Related to Low-Back Pain in Korean Physical Therapists



Ch'ung-hwi Yi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ae-il Chun, M.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present the distribution of low back

pain(LBP) prevalence rates according to sex, age and treatment facility type, (2)

to ascertain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therapists with and without job-related

LBP in rela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work-relate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and (3) to identify and compare risk indicators in cases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LBP and those with first time LBP.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December 13, 1989 to March 5, 1990.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1,952 registered physical therapists and 1,005(51.5%)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Informations on job-related LBP, general

characteristics, work-environm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were

gathered.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most

informative combinations of indicators for prediction of job-related LBP and to

calculate the odds ratio for LBP risk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respondents,52.6% reported job-related LBP. The initial onset most

frequently occurred between the ages of 21 -30 years and within the first1 year of

job experience(53.5%) as a physical therapist. The rate of LBP recurrence was

72.5%. The most common cause of LBP was 'insidious attack'(62.2%).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 job

experience, past LBP experienc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orking

postures, patient lifts, patient transfers, time spent standing, time spent

sitting, job satisfaction, job-related stress and present L8P.

3. For men, significant indicators related to present LBP were past LBP

experience, job satisfaction, and back-flexibility exercise. For women, past LBP

experience and job experience longer than 1 yea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sent LBP. In cases of physical therapists who had LBP experience, odds ratio for

present LBP sufferers was 3.48 for men, 5.13 for women and 4.06 for the total

group.

4. For men, high risk for recurrence or persistence of LB? was associated with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For women, corresponding risk indicators were

age and job experience longer than 1 year. Odds ratios of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and job experience for LBP recurrence were1.64 and 1.61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only suggest the possibility of direct or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Further prospective research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LBP and selected factors through the

present study and to investigate preventive measure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job-related LBP.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